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러브 Feb 07. 2022

우리 모두는 가엾은 리어왕의 저주를 타고났다

셰익스피어 '리어왕'

셰익스피어는 어째서 리어왕을 이토록 극단적인 심성의 소유자로 표현했을까?



‘가난하고, 물러설 곳 없고, 병들고 멸시받는 이 늙은 사람 나.’

3막 2장부터 절규하는 리어왕의 모습은, 권력자도, 국왕도 아니라 그저 비애에 휩싸인 아버지의 모습이었다.


‘비, 바람, 번개, 천둥, 너희 그 누구도 내 딸이 아니다. 너희 (자연의) 원소들이여, 나는 너희들이 타락했다고 비난하지 않겠다.’


동시에 딸들을 저주하는 과격한 표현, 왕족의 품격과 교양에 뒤떨어지기까지 하는 리어왕의 숨겨진 광기로부터 누구나 지닌 원초적 비애와 슬픔을 엿볼 수 있다.

타인에게 배신당하는 것과 가족에게 배신당하는 것은 그 상처의 결이 너무도 다르다. 한평생 믿고 살던 나의 편에게만은 기대가 큰 것이다. 등장인물 리어를 군주(=자신에게 감히 대항하는 이 하나 없는 존재)로, 그리고 그 세 딸(코델리아는 일차적으로 '말'로써, 두 딸은 행동으로서 배신을 행했다)을 등장시킨 것은 그러한 마음이 어느 누구에게나 다름없음을 보여주고자 한 것일 테다.


가족으로부터 버림받았다는 공허함에 머릿속이 새하얘져 격하게 내뱉어버린 원망. 그러나 죽을 만큼 원망하는 것 또한 사랑이 있기에 비롯될 수 있다. 그 절절한 비애와 초조함에 독자로서 역시 가슴이 미어지는 듯했다. 그는 광적이었고 딸들에게 단 몇마디로 유산을 배분해버린 즉흥적인 성격을 지녔으나, 적어도 나에겐 안타까운 인물로 남는다.


'리어왕'은, 셰익스피어 극 중 유일하게 가족애에 대한 질문을 던져볼 수 있는 작품이었다(타 작품 역시 "가족애를 다루었다"고 볼 수 는 있지만, 극단적인 가문 전쟁과 근친상간은 공감대상이 아니었다). 막을 올리는 첫 질문부터 '나를 얼마나 사랑하느냐?'와 같은 원초적인 질문이었음에, 독자 개인의 경험까지 확장시켜 작품에 더욱이 이입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는 리어왕 역시, 여느 비극과 다름없이 후회와 한탄 속에 생을 마감했다. 그러나 그의 죽음이 더더욱 와닿은 이유는 누구나 한 번쯤은 공감할 수 있을 '핏줄, 가족이란 존재'와 '원망'을 다루었다는 데 있다. 실제로 - 1막의 유산 담화가 있었던 이래로 - 리어왕의 담화 하나하나엔 원망이 깃들어있다. (e.g. 나는 너희에게 왕국을 내주지 않았고 너희들을 자식이라고 부른 적이 없다. 너희는 내 앞에서 길 필요가 없다. 그러니 맘껏 퍼부어라 너희 참혹한 즐거움을…) 시대와 연령과 사회적 계층을 불문하고 우리 모두가 인간으로서 공감할 수 있는 마음은 가족애, 나아가 소속감. 그것이 리어왕이 4대 비극 중 명작으로 손꼽히는 이유가 아닐까.


필연적으로 서로가 서로에게 부대끼며 살아가는 인간이란 삶에, 누구나 소중한 존재와 원망하는 존재가 생기곤 한다. 자신의 목숨만큼 소중한 사람이 생기게 되었을 때 이전과는 다른 감정을 느끼기도, 때로는 의도와 관계없이 소중했던 이로부터 내쳐지기도 한다. 나아가 언젠가는 분명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보내게 된다. 인간의 삶이라는 게 다 그렇다.


숨을 쉬고 주체적일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경이로운 삶이지만, 그만큼 고통이라는 감정을 수반하게 되는 과정이다. 배신과 질투와 원망이라는 감정을 불가피하게 견뎌내야만 하는 우리 모두가 리어왕의 저주를 타고난 것은 아닐까.

작가의 이전글 꿈도 열정도 없는 삶은 비운의 삶일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