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전여진 Jul 23. 2021

우리 아빠 이제 횡성 산다.

50대 아빠의 횡성 살이 이야기(지만 인생살이 이야기도 첨가된)

<횡성의 하늘. 210717>


우리 아빠는 부산에서 태어나, 서울에서 대학을 다니고, 다시 부산에 내려와 결혼해서 나와 오빠를 키우고, 다시 서울로 올라와 내 뒷바라지를 했다.

편의시설 잘 갖춰진 대도시 간 이동이라고는 하나, 매 인생그래프 분기마다 달라지는 보금자리는 아빠에게도 스트레스가 아닐 리 없었다.


사실 내가 태어난 뒤로 아빠랑 떨어져서 산 기간은 그리 오래지 않다.

내가 고등학생일 때, 아빠는 서울로 향했다.

광고 일을 하던 아빠에게는 더 나은 자리였고, 특히 수중에 들어오는 자본이 더 나은 조건을 갖추었을 것이다.

그나마도 내가 기숙사 생활을 했었던 지라, 친구들과 북적북적 살기 바빴던 중 아빠의 빈자리가 그렇게 크지 않았다.


고3 시절, 치열한 경쟁에 치이던 때, 아빠가 보고 싶어 문자를 보낸 적이 있다.

아빠는 Lenka의 The show 노래를 들으라며, 인생은 언제나 미로 속에 있는데 그 과정을 즐기라는 답신을 보내왔다.

상투적이었지만 우리 아빠한테 받았던 문자라서, 울면서 읽었던 기억이 있다.

그 이후, 나도 서울로 대학을 오게 되면서 우여곡절 끝에 우리 가족 모두 서울에 모여 살게 되었다.


<우리 아빠 낙서. 191102>


아빠가 은퇴를 결심했다고 밝힌 날은 오빠가 수능을 친 저녁이었다.

죽상이 된 오빠를 끌고 외식하러 갔었는데, 아빠는 원래라면 다 같이 밥 먹으며 ‘화기애애’ 할 때 자신의 은퇴 발표를 하려 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어색하게 화목한 분위기 속에 은퇴 발표는 ‘존재하지만 존재하지 않는’, ‘물속에 가라앉은 종이처럼’ 흐지부지 되었다.

그리고 죄송하게도 나는 어느 정도 안도를 했다.

난 분명 아빠를 사랑하는데… 왜 아빠의 결정을 응원하지 못할까… 죄책감이 들었지만, 현실은 현실이었다.

고등학생 때 아빠가 서울로 떠나버린 것보다 더 큰 빈자리를 느끼게 될 것 같았다.

공간적 부재, 실체의 부재보다 숫자로 찍힌 것들의 부재가 무서웠다. 나 정말 한심하기도 하지.


하지만 그렇다고 물러설 아빠도 아니었다. 우리 아빠도 한다면 하는 성격 급한, 경상도 사람이기 때문에.

아빠는 은퇴했고, 숫자는 상관없는 게임이 되었다.

같이 오만가지 이야기를 할 수 있었다. 생각해보면 아빠에 대해서 더욱 궁금해하고, 알 수 있었던 유일한 시기였다.


그 속에서 계속해서 반복해 이야기하던 것이 있는데, 그게 바로 ‘자연인’이었다.

나는 모든 아빠들이 그런 거라고 여겼다. 그니까, 실제로는 일어날 리 없는 무언가 이상향 같은 삶의 이미지를 그리는 거라고.

아빠는 언젠가 모든 속세를 끊고, 자연을 바라보며, 자연 속에서 살 거라고 계속해서 이야기했다.


제목으로 알 수 있듯이, 짧은 글에서 아빠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듯이, 또 아빠가 해냈다.

아빠는 횡성으로 내려왔다.

가기 전 날, 아빠조차도 자신이 결정한 사안에 조금 걱정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아빠는 잘 지내고 있다.

참 이상적인 사람이라 블로그에 매일매일 일기도 쓰고, 서울서 축적해왔던 뱃살도 대폭 없애버렸다.


나는 아빠 일거리를 도우러 횡성에 잠시 들러 이틀 밤을 자고 가기로 했다.

오늘도 내려와 일 돕는단 핑계로 방에 누워 몇 자 아빠에 대해서 적고 있다.

지금 나를 둘러싼 이 시원한 밤공기는 서울에선 맛볼 수 없는 것이다.


저번에 내려왔을 때는 아빠가 정말 오랜만의 야식으로 치킨을 시켰다. 나를 위해서였다.

먹을 땐 실컷 먹었는데, 먹고 나서는 아빠가 은퇴한다는 소식에 내 걱정부터 앞섰던 내가 연상됐다.

아빠는 뭐가 그리 내가 예뻐서 해주려고만 할까.

언제나 나는 아빠가 진심으로 원하던 것 그 반대편에 서 있는 존재였을 것인데 말이다.


서울에서의 위로 메시지, 은퇴의 연기, 횡성에서의 치킨 모두 모두 똑같은 의미로 나에게 크게 다가온다.

아빠는 정말 나를 사랑하는구나.

그런 의미에서 아빠가 자신이 원하는 바를 계속해서 이룰 수 있는 사람이라는 것도 감사하게 다가온다.

아빠는 자기 것을 지킬 수 있는 사람이다.


아빠가 추천해준 Lenka의 The show 노래는 어쩌면 자신 스스로 위로받았던 노래일 것이다.

내가 지나치고, 마주치고, 만났던 수많은 사람들 중에 아빠만큼 긴 긴 미로를 즐기며 걷는 사람을 보지 못했다.

아빠는 지금까지도 그렇게 살고 있고, 횡성은 그런 아빠가 자발적으로 선택한 미로 속 쉼터다.


뭐 하나 제대로 이룬 것 없는 딸내미지만, 이번만큼은 아빠를 진심으로 응원해볼까 싶다.

아, 그렇지만 오늘 도착하자마자 아빠한테 짜증 낸 것도 사실이다…

아, 그리고 오늘 밤도 아빠가 치킨 시켜준다고 했다…

아빠가 이런 존재로 있는 게 나한테 너무 관성처럼 편하게 스며들어 있나 보다.


어찌 됐든, 우리 아빠. 이제 횡성에 살게 됐다!

나도 아빠처럼 살아야지!

작가의 이전글 스웨덴은 코로나로 타격 입지 않았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