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승섭 Jul 15. 2020

[논문 읽기] 우크라이나에서 영어로 연구하기

https://www.jkms.org/DOIx.php?id=10.3346/jkms.2020.35.e216



1.

언어적 부정의(lingustic injustice)라고 표현한다.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학자들은 그런 부정의와 함께 살아가고 있다.


Nowadays, scientists experience unprecedented pressure to publish in indexed journals, the majority of which come out in English. These new communication realities cause “linguistic injustice” by imposing an additional burden on nonnative authors who face essential multilevel difficulties in English research writing. Some of these difficulties, identified, in particular, in Asian research context, have already been analyzed in the literature


2.

우크라이나의 연구자들도 (한국과 동일하게) Web of Science나 Scopus에 등재된 학술지 논문을 출판해야 한다. 그로 인해 점차, 영어로 논문을 출판하는 것은 동유럽 학자들에게 standard가 되어 가고 있다.


The present article considers the concerns of nonnative English researchers coming from a different part of a globe, namely Ukraine, an East European country with speakers of several Slavic languages. Like their peers worldwide, Ukrainian researchers are obliged to publish in the journals indexed in WoS or Scopus to advance in their career. Currently (as of April 2020), Ukraine publishes 123 quality journals in hard and soft sciences (https://openscience.in.ua/ua-journals). The majority of them (including those 15 which specialize in medicine) accept articles in three languages‒English, Ukrainian, and Russian, with some considering only English-language articles. In view of this and with regard for international publishing demands, presenting research results in English is therefore becoming a standard for Ukrainian researchers, as well as for their counterparts from Central and Eastern Europe. However, they face not only pleasant career prospects related to this situation but also writing problems and challenges, often rather serious. These difficulties will be addressed below based on the professional experience of the author of this article as a researcher of scientific communication,6 developer of the training sessions and teaching materials in English for Research Purposes,7 and an ad hoc editor of English research papers produced by Ukrainian scientists in the fields of biology, veterinary medicine, and mathematics (the texts of the papers served as sources of mistakes exemplified below).


3.

논문의 저자는 우크라이나어를 일상어에서 사용하는 학자들이 영어로 논문을 쓰는 과정에서 생겨나는 기술적인 어려움들을 대해 논한다. 그리고 또 다른 문제점으로 아래와 같이 말한다. 마치 내 마음속으로 들어갔다 나온 것 같은, 불편하고 고통스러운 이야기다. 그렇기 때문에, 우크라이나의 연구자들은 자신의 연구들을 보다 문제적으로 (학계의 주목을 받을 수 있는 형태로), 비유나 효과적인 언어적 장치를 사용하기보다는 연구결과를 정확하게 제시하는 데 집중하게 된다. 그리고, 이로 인해 기존의 연구와 맞서기보다는 기존 연구를 재확인하고 따라가는 연구를 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진다.


Overall, Slavic scientists seem to be preoccupied more with content of writing rather than with the ways of presenting their findings. Putting it differently, they rarely focus on how to frame their research in an engaging and interestingly problematic way, make few attempts to appeal to wider audiences,8 and use rather limited rhetorical options. This can be traced, for instance, in research paper introductions: while Anglophone researchers often justify the undertaken research as a response to knowledge gaps in the discipline, Ukrainians prefer less confronting strategies and often present their studies as those which continue research traditions or as confirmatory ones,6 thus underplaying their novelty and contribution to the field. The following example illustrates such rhetorics: The seeds, collected from elite trees, should be stored in optimal conditions for preserve their viability. The present paper focuses on cryopreservation of such seeds.


4.

논문의 결론은 현실적이고 안타깝다. 영어 글쓰기를 더 잘하기 위해 훈련을 받고, 대학으로부터 editing 서비스를 받고, 국제 학술계와 더 적극적으로 교류하라고 저자는 권한다.


Summing up, it should be noted that problems experienced by Ukrainian and other East European scientists are not unique and are, in many respects, similar to those of their peers in Asian countries. For example, it has been reported that Korean researchers possess problems in the organization and development of the content of their papers,4 while Japanese scientists lack vocabulary resources and are so preoccupied with grammar accuracy that become unable to think about their readers and make strategic rhetorical and linguistic choices.5 Such difficulties and challenges arise from authors’ insufficient awareness of norms and standards of English research writing and the influence of national writing styles. These problems can be alleviated by the following measures: 1) participation in appropriate training sessions, seminars or webinars, 2) obtaining assistance from the university-based editing systems, the development of which has recently been advocated,11 and 3) deeper involvement into professional life and activities of international research communities.


5.

영어가, 영어권 국가가 학계를 지배하는 문제점을 지적하는 우크라이나 학자의 이 논문은 영어로 쓰여졌다.



6. Episode I.


“부럽죠. 물론 개인의 능력도 있겠지만 미얀마에서는 한국처럼 부유하지 않아서 저런 공부를 할 수가 없어요. 저도 기회가 있었다면 (차별, 노동, 몸에 대한) 저런 공부를 하고 싶었어요. 차별이요. 24년 전 한국에 처음 왔을 때는 차별을 너무나 많이 겪어서 매일매일이 힘들었었어요. 그런데, 지금은 그 피부가 단단해지는 거 있잖아요. (굳은살이요?) 예. 마음에 굳은살이 생겨서 더 이상 예민하지 않아요. (그렇다고 괜찮아지지는 않잖아요.) 평온함이 필요해요. 처음에는 밤에 혼자 술을 먹고 그렇게 풀었는데, 계속 그러면 안 되겠더라고요. 어느 책에서 봤는데 평온함은 나무처럼 키워야 하는 거래요. 마음이 힘들고 괴로우면 사장에게 좋은 말로 할 수 있는 것도 더 거친 말로 하게 되고 내 몸도 해치게 되니까. 평온함을 길러내고 싶어요”


어젯밤 부산 민주노총 사무실에서 강연을 했다. 그 뒤풀이 자리에서, 내 강연을 듣고 어땠냐는 누군가의 질문에, 한국에서 24년째 일하고 있는 미얀마 출신 이주 노동자의 답변이다. 예상치 못한 곳에서 삶의 스승은 갑작스레 얼굴을 비추곤 한다.


7. Episode II.


‘승섭, 난 정말로 이렇게 말하고 싶어. 당신들 지금, 우리나라 사람들을 데리고 뭐 하는 거야?’


함께 논문을 쓰고 있는 마르시는 탄자니아에서 의대를 졸업하고 영국에 Global Mental Health를 공부하기 온 아프리카 여성이었다. 그녀는 어제 진행한 Zoom 미팅에서 쉬지 않고 내게 말했다. 내가 한국에서 진행된 연구가 과연 한국인들에게 얼마만큼 활용되고 있는지 모르겠다고, 함께 연구하고 있는 차별의 측면에서 일제 강점기 시절 한국인은 피해자였지만 지금은 인종차별 가해자에 가깝다고 말한 다음, 그녀의 입이 열렸다.


영국의 연구자들이 아프리카 여러 국가에서 10년 넘게 치매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세계적인 학술지에 여러 논문이 출판했다. 그런데 지역 정부의 보건 담당자들은 그 연구 결과가 나왔다는 사실조차 모르고 있었다. 영어로 쓰인 논문들이 탄자니아에서 읽힐 리 없었다. 무엇이든 해보겠다고 영국에 와서 공부를 하며 아프리카 현지 연구에 참여하겠다고 지원했는데, 자신보다 연구 경험도 없고 아프리카에 대한 어떠한 활동도 한 적 없는 백인 남학생이 뽑았다. 물론 그 학생이 자신보다 뛰어날 수도 있었겠지만, 마르시는 자신의 삶 속에서 이 모든 경험이 하나로 읽혔다.


‘그러니까, 유럽 국가들이 아프리카 점령을 그만둔 순간부터 새로운 식민주의(colonialism)가 시작된 것 아닌가 싶어’


8. Episode III.


승섭, 너는 미국에 공부를 하고 너희 나라로 돌아가서 대학에서 연구를 할 수 있어서 너무 좋을 것 같아. 나는 아프리카로 돌아가 일하고 싶지만, 내 나라에서는 그만큼 발전한 대학이 없고 그 곳에서 연구를 진행하기가 어려워. 그럼 다시 백인들의 세상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건데, 그건 정말 싫거든.


9.

육첩방은 남의 나라.


......


나는 무얼 바라
나는 다만, 홀로 침전(沈澱)하는 것일까?  

인생(人生)은 살기 어렵다는데
시(詩)가 이렇게 쉽게 쓰이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육첩방(六疊房)은 남의 나라,
창(窓) 밖에 밤비가 속살거리는데,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시대(時代)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最後)의 나,


- <쉽게 쓰인 시> (윤동주) 중-

작가의 이전글 [기고] 한국 쿠팡, 미국의 육류포장, 불평등한 재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