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why Sep 04. 2015

공감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먼저 판단하지 않기 그리고 내가 없이 그(녀)에게만 집중해보기

며칠 전 어느 까페에서 있었던 일이다.


누구를 기다리며 건물로비에 앉아있는데 초등생으로 보이는 여자아이와 조부모로 보이는 어르신 두 분도 누구를 기다리는지 내 근처에 앉는다.


아이가 조잘거리자 할머니가 말씀하신다.

할머니 “조금만 빨리, 또박또박 이야기해보자. 할.아.버.지”

아이는 천천히 또박또박 말하려 애쓴다.

아이 “하…ㄹ..아아아…버…지”


고개를 들어 여자아이를 유심히 본다. 아주 약간은 고정되지 않은 시선, 굼뜬 행동이 지체장애아로 보인다. 자세히 보지 않으면 알 수 없는 수준인 듯하다.


그사이 할머니는 다시 아이에게 물어한다.

할머니 “000아 먹고 싶은 거 없어? 말 좀 해보자.”

아이 “아….이….스…끄..리..ㅁ”

할머니 “정확히, 빨리 이야기해보자”

아이 “머고 시퍼, 아이…스…끄림”

할머니 “잘했다. 앞으로는 조금씩만 빨리 해보도록 노력해보자”

할머니 목소리는 약간은 애타는 듯 했다.


이후로도 비슷한 상황은 반복되었다. 아마 그 여자아이는 할머니 손녀이리라. 지체아인 손녀에 대한 할머니의 복잡다단한 마음이 온전히 느껴진다. 


‘공감한다’는 의미는 이런 것이 아닐까.


판단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를 느낄 수 있는 거 말이다. 정상아처럼 만들고 싶어하는 '조급한' 할머니를 비난하지도, 지체아 손녀와 할머니에 대해 '반사적'으로 동정하지도 않은 채 통합적으로 느낄 수 있는 것이 '공감' 아닐까 싶다.


우리는 어릴 적부터 쌓아온 엄청난 기억과 지식, 가치관 등을 잣대로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쉽고 빠르게 판단내려버리는 경우가 많다. 특히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그런 경향은 더욱 강해진다. 그런 상황에서 둘 사이에 충분한 공감과 소통이 가능하지는 않다. 그런 거다.

공감한다는 건 상황 자체를 온전히 그대로 받아들이고 복잡함은 복잡함 그대로, 단순하게 쉽게 평가하지도 않고 통합적으로 보는 것이다.


진정으로 공감하지 않은 채 뭔가를 인식한다는 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 오히려 빠른 판단력과 뛰어난 실천력을 장려하는 사회에서는 더더욱 ‘공감’능력을 퇴화시키는 것 같다.

매거진의 이전글 "수학은 왜 공부하는 거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