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위키트리 WIKITREE Nov 21. 2018

웜뱃은 왜 '네모네모' 주사위 모양의 똥을 눌까?

`웜뱃`은 `정육면체` 모양의 똥을 누는 지구상의 유일한 동물

웜뱃


호주을 상징하는 동물 중 하나인 '웜뱃'은 '정육면체' 모양의 똥을 누는 지구상 유일한 동물이다. 웜뱃은 하루 동안 한 변이 2㎝ 정도인 주사위 모양 배설물을 80~100개 정도 배출한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웜뱃이 어떻게 그리고 왜 그런 모양의 대변을 만들어내는지 알지 못했다. 


똥을 '벽돌처럼' 쌓아올려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서라는 주장도 있고, 매우 건조한 지역에 웜뱃이 살기 때문에 수분을 최대한 몸이 빨아들이다보니 그렇게 됐다는 주장도 있다. 


웜뱃의 배설물


내셔널지오그래픽 등 외신은 미국 조지아공대 페트리샤 양 박사팀이 웜뱃이 배설물을 만드는 원리를 처음으로 규명했다고 보도했다. 



페트리샤 양 박사는 지난 18일(현지시각) 미국 애틀랜타에서 열린 미국 물리학회(APS) 유체역학 분과 연례회의에서 '웜뱃 배설물 미스터리'에 대한 해답을 발표했다. 


양 박사는 "처음에는 항문 모양이 네모이거나, 아니면 위장에서 주사위 모양으로 만들 거라 생각했다. 하지만 둘다 사실이 아니었다"고 말했다. 


양 박사가 제시한 웜뱃의 비밀은 내장 소화기관의 모양과 신축성에 있었다. 양 박사에 따르면, 웜뱃은 골짜기 처럼 푹 패인 2개의 홈을 장에 지니고 있다. 게다가 이 홈에서 신축성이 더 좋다. 즉 배설물이 장에 있는 홈에 들어가 다지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주사위 모양'의 변을 만들낸다. 


총 14일이 걸리는 웜뱃의 배설 과정에서 '후반 8%'를 담당하는 장 조직이 느슨해졌다가 팽팽해지는 것을 반복하며 주사위 모양을 만들어낸다고 한다. 

    

연구는 호주 태즈메이니아에서 도로 사고로 죽은 웜뱃들 소화관을 해부해 돼지 창자와 신축성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양 박사는 "우리는 지금까지 말랑말랑한 고체를 다지거나 아니면 딱딱한 고체를 잘라내는 방식으로 정육면체를 만들어왔다. 이제 세 번째 방법을 알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아직도 안봤어? WIKITREE 오늘의 핫뉴스▼



작가의 이전글 인스타그램이 '좋아요', '팔로워' 조작에 내놓은 대응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