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위키트리 WIKITREE Mar 04. 2021

태국 여행 뽐뿌 온다는 디즈니 ‘라야와 마지막 드래곤’

겨울왕국, 모아나 제작진이 만든 신작 오늘(4일) 개봉

[광고] 월트디즈니컴퍼니 코리아


“영화 보고 나서 재작년 호이안 여행 사진 뒤져봤다“

“라오스에서 툭툭 타고 놀러 다니던 추억이!”

유튜브, 디즈니


후기가 온통 동남아 여행의 향수로 가득한 이 영화. 디즈니 최초로 동남아시아 문화에 영감을 받아 영화를 보는 내내 태국, 베트남 등을 둘러볼 수 있다는 '라야와 마지막 드래곤'이 오늘 4일 개봉했다. 


월트디즈니컴퍼니 코리아


영화 ‘라야와 마지막 드래곤’은 개봉 전부터 동남아시아 배경과 문화를 제대로 살린 비주얼로 큰 기대를 모았다. 주인공 ‘라야’가 ‘쿠만드라 왕국’의 평화를 찾아 모험을 떠나는 장면 곳곳에서 동남아시아의 모습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유튜브, 디즈니
이하 월트디즈니컴퍼니 코리아


형형색색의 홍등으로 꾸며진 배경은 베트남의 호이안을 연상시키며, 수상마을은 캄보디아, 미안마, 태국 등을 떠오르게 한다. 이 밖에도 신비로운 바위산은 라오스와 말레이시아를, 장엄한 사원은 태국을 모티브로 했다.


배경뿐만 아니라 익숙한 음식도 만나볼 수 있다. 영화 속에서 ‘라야’가 새우 경단, 레몬그라스, 죽순 등을 넣고 쿠만드라의 수프를 만드는 장면은 태국 전통 수프 ‘똠얌꿍’에서 영감을 얻었다. 



실제로 제작진들은 동남아시아의 식문화에 가장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전했다. 특히 여럿이 모여 음식을 나누는 동남아시아의 식문화가 영화 속에서 화합의 의미를 상징적으로 담아내는 데에 큰 역할을 했다.

 

주인공 라야의 가장 친한 친구인 ‘툭툭’의 이름 또한 태국과 라오스의 교통수단인 삼륜차와 동일하다. 라야가 쓰고 나오는 뾰족하게 솟은 모자는 동남아시아 사원에서 발견되는 스투파를 오마주했다.


월트디즈니컴퍼니 코리아 / 픽사베이
이하 유튜브 디즈니


영화 전반에 걸쳐 등장하는 격투씬에도 동남아시아의 문화를 흠뻑 느낄 수 있다. 격투에 사용된 무기는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의 전통 무술에서 착안했다. 라야의 격투 스타일 역시 동남아시아의 무예에서 비롯됐다.


여기서 좀 더 살펴볼 점은 바로 라야의 독특한 검이다. 라야의 검은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지에서 추앙받는 칼날 ‘케리스’에서 영감을 얻었다. 


이하 월트디즈니컴퍼니 코리아


영화가 많은 이들의 관심을 모을 수 있었던 것은 비주얼에 뒷받침된 탄탄한 세계관과 스토리 덕분이었다. 주인공 라야의 모험 속에서 디즈니는 그야말로 독보적인 세계관을 풀어냈다. 


왕국을 집어삼킨 세력 드룬과 그에 맞서는 인간과 드래곤. 인간을 위해 희생을 자처하고 드룬을 ‘드래곤 젬’으로 봉인한 마지막 드래곤 ‘시수’까지. 그야말로 “디즈니가 디즈니했다”라는 말이 절로 나올 수밖에 없는 스토리로 중무장했다. 특히 영화를 더욱 화려하게 만들어주는 판타지 요소도 더해졌다.



한 영화에 스토리, 비주얼, 세계관까지 삼박자가 어우러질 수 있었던 데는 제작진의 역할이 컸다. 먼저 스토리부터 OST까지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았던 ‘겨울왕국’의 제작진들이 모였다. 더불어 기존 디즈니 캐릭터와는 또 다른 새로운 주인공의 모습을 보여준 ‘모아나’의 제작진이 합류했다. 


이처럼 디즈니 대표작으로 손꼽히는 ‘겨울왕국’과 ‘모아나’의 제작진이 의기투합해 올 상반기를 장식할 또 하나의 대표작을 만들어냈다.



이름만으로도 기대감을 더하는 디즈니 제작진들은 인류학자, 건축가, 댄서, 언어학자 등 다양한 분야의 동남아시아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위원회의 도움을 받았다는 후문이다. 


로튼토마토 홈페이지 캡쳐


이에 영화는 개봉 전부터 로튼 토마토 지수 97%를 기록했을 뿐만 아니라 애니메이션 예매율 1위를 기록했다. 개봉하자마자 ‘역시 디즈니’라는 극찬을 얻으며 기분 좋은 출발을 알린 ‘라야와 마지막 드래곤’. 디즈니의 또 다른 도전이 궁금하다면 이번 주말 극장에서 직접 확인해보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