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십견과 달리 어깨 가동 범위의 제한이 경미한 관절 질환
중년에 접어들면 관절 건강에 신경을 쓸 필요가 있다. 특히 어깨는 허리나 무릎에 비해 관리가 소홀해지기 쉽기 때문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 어깨 관절 질환 중 40대 이상 중장년층이 특히 조심해야 하는 '어깨충돌증후군'에 대해 알아보자.
어깨충돌증후군은 팔을 들 때 찌릿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주로 팔을 위아래로 반복해 움직이는 동작에서 발생하며 어깨 관절의 균형이 흐트러지고 염증과 손상이 생긴다. 이 때문에 어깨 관절의 바깥쪽 및 삼각근 부위에 통증이 나타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어깨 병변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44만 6860명에 달했다. 이 중 50세 이상 69세 이하 환자가 60.4%를 차지했다. 40대 환자도 12.6%로 30대의 3.4%보다 4배가량 많았다.
어깨충돌증후군은 팔을 위로 반복해 들어 올리는 동작, 어깨 근육 불균형, 퇴행성 변화로 인한 견봉하 골극 형성, 외상 등으로 발생한다. 수영, 배드민턴, 야구 등 팔을 위아래로 반복해 움직이는 운동을 무리하게 하면 관절의 기계적 충돌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사무 작업, 대형 차량 운전, 스마트폰 사용 등을 장시간 지속하면 어깨가 둥글게 말리는 라운드 숄더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팔을 앞쪽으로 들어 올리고 작업을 진행하면 어깨 관절이 비정상적 위치에 놓이며 관절 내 충돌이 발생하기 쉽다.
오십견과 달리 어깨충돌증후군은 어깨 가동 범위의 제한이 경미하다. 대신 팔을 30도에서 120도 사이로 들어 올릴 때 통증이 유발된다. 누워있는 자세에서 통증을 느끼거나 야간통을 겪기도 한다.
어깨충돌증후군은 초기 통증이 심하지 않지만, 염증성 질환이기 때문에 자연 치유가 어렵다. 방치하면 회전근개의 손상 및 파열로 이어질 수 있다. 비수술적 치료로도 증상이 호전되지만, 호전되지 않거나 재발하면 수술치료가 필요하다.
재발을 막으려면 치료 및 수술 후 올바른 생활 습관을 유지해야 한다.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견갑골 주변 근육 운동과 관절가동 범위 회복을 위한 스트레칭을 병행하는 것이 좋다.
김태정 강남베드로병원 정형외과 과장은 "어깨충돌증후군이 오십견과 혼동될 수 있지만 두 질환은 통증 및 치료법이 다르다"며 "어깨충돌증후군은 무리한 동작 반복으로 인한 염증과 손상이 주원인이다. 따라서 정확한 원인을 찾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치료 후에도 팔을 반복해 들어 올리는 활동을 지속하면 재발할 우려가 있다"며 "의식적으로 주의하고 생활 습관을 고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