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보라체 Sep 09. 2020

나는 자꾸만 그때 그 자리에 선다.

내가 겪은 성폭력

성폭력 상담원 100시간 교육 - 서울동북여성민우회
조직 내 성폭력 사건 지원자 교육 - 한국성폭력상담소
발달장애인 성교육 - 발달장애청년허브 사부작
인권강사 양성교육 - 안양여성의전화
성교육활동가 양성교육 - 서울동북여성민우회 성교육활동가모임 성장통
청소년지도사/사회복지사 관련 학점: 청소년문제와보호, 청소년문화, 청소년복지론, 청소년심리및상담, 청소년육성제도론, 청소년지도방법론, 청소년프로그램개발및평가, 청소년활동론, 가족복지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학개론, 아동복지론


지난 3개월 동안 내가 듣고 있는 강의목록이다. 나름대로 세 번째 인생으로 폭력 예방 강사를 준비하고 있다. 많은 것들을 배우고 있다. 공부는 즐겁다. 머리로 하는 공부가 아니라 마음으로 하는 공부다. 이론도 채워야 하지만 그 이론을 몸에 습으로 스며들게끔 소화해야 한다. 그러다 보니 계속 내 인생을 반추하며 강의를 듣게 되고, 그러다 보니 과거 인생의 몇몇 장면이 풀어야 할 숙제로 내 마음속에 급부상하고 있다.


첫 번째 숙제. 친척의 성폭력

초등학교 고학년이었다. 4, 5, 6학년 즈음? 친척집에서 무료함을 이기지 못하고 낮잠을 자면 슬며시 와서 내 옷 속에 손을 넣고 나를 만지는 친척이 있었다. 20년은 된 일임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생생한 장면. 이렇게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으면서 아직도 그 친척과는 웃으면서 인사하는 사이로 지내고 있다. 물론 내가 다 기억하고 있다는 것은 말로 꺼내보지도 못했다. 이제는 꺼내야 할 것 같아. 타인이 성폭력 당했을 때 돕는 게 내 역할이 될 것인데, 과거의 나를 아직도 돕지 못하고 있다는 건 역설이다. 과거의 경험이지만 현재의 기억이다. 그 일은 내겐 마주하고 풀어내야 할 현실이다.


두 번째 숙제. 학교폭력

중학교 때였다. 소위 말해 학교에 일진이 있었다. 키와 골격이 매우 발달한 여성이었다. 다른 반 학생이었던 그는 어느 쉬는 시간에 우리 반 문은 벌컥 열어젖혔다. "야!" 큰 목소리로 소리를 질러 우리 반 모두가 뒷문을 쳐다봤다. 그는 갑자기 내 친구에게로 갔다. 키 150 내외의 작은 내 친구, 멋 부리는 것, 노래하고 춤추는 것, 연애하는 것을 좋아하던 내 친구에게로 다가가 뺨을 후려쳤다. 내 친구는 교실 나무 바닥에 나뒹굴었다. 아이들이 모두 얼었다. 그의 손은 멈추지 않았다. 내 친구의 뺨을 후려치고 내 친구는 넘어지고 일어났다. 그러면 또 뺨을 때렸다. "네가 먼저 꼬리 쳤지?" 계속 빰을 때리며 내뱉는 말 몇 조각으로 상상해야 했다. 왜 내 친구는 마른하늘의 날벼락을 온몸으로 맞고 있는가. 교실 맨 뒤부터 시작된 폭력은 내 친구가 교실 맨 앞 구석으로 몰릴 때까지 수십대가 계속됐다. 아무도 말리지 못했다. 나도 마찬가지였다. 일진도 무섭고 폭력도 무서웠다. 내 친구가 뭔가 맞을 짓을 했나? 아니 세상에 맞을 짓이란 게 있나? 이건 분명 잘못된 일이야. 그럼 난 어떻게 해야 하지?


난 아무것도 하지 못했다. 선생님에게 말하는 선택지는 아예 머릿속에 있지도 않았다. 당시 나는 선생님을 믿지 않았다. 수업이 시작되고 아이들은 아무 말 없이 수업을 들었다. 아마 나처럼 수업을 듣는 것처럼 하지만 속으론 각자 별 생각을 다 하고 있었겠지. 그 수업이 끝나고 내 친구는 나에게 왔다. 평소처럼 웃으면서 나에게 와서 어제 있었던 재밌는 얘기를 미주알고주알 풀어내었다. 나는 그런 친구를 보며 평소처럼 또 웃어주었다. 못 본 척해달라는 것만 같았다. 그래야 할 것 같았다. 그 친구는 지금 아기의 엄마가 되어있다. 나와 그 친구, 그 친구의 폭력 현장을 목격했던 또 다른 친구들 그 누구도 그 일에 대해서 지금까지 이야깃거리로 삼은 적 없다. 그냥 이렇게 묻어두고 가면 되는 걸까.


난 사실 그 친구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말 많은 사람을 불편해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자주 '만나자'는 얘기를 꺼내는 친구이기 때문이다. 누군가와 만나는 건 좀처럼 하지 않는 나란 인간. 그런 내가 아직도 그 친구와의 연락을 끊지 못했던 것은 그때 그 일 때문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이번에 교육을 들으며 하게 됐다. 그때 내가 아무것도 하지 못해서, 그때 내가 잘못된 것을 보고도 못 본 척했던 것이 어떤 감정으로 그 친구와의 관계에 내려앉은 것이다. 죄책감, 미안함. 아무렇지도 않은 척 나에게 와 일상을 털어놓던 그 친구의 사랑스러움.


그때로 돌아간다면 난 뭘 어떻게 할 수 있을까. 가해자의 손목을 잡으며 하지 말라고 말하고 싶다. 덩치로는 꿀리지 않았으니 당하진 않았겠지만 그 이후에 후폭풍은 좀 있었을 거다. 값나가는 소지품이 없어진다거나, 열심히 필기한 노트가 찢어져 있다거나, 사물함 자물쇠가 파손된다거나 하는 그 일. 내 친구에게 일어났던 그 일들이 어쩌면 나에게 일어났을지도 모르겠다. 그땐 그런 게 무서워서 아무것도 하지 못한 거겠지.


세 번째 숙제. 직장 내 성희롱

남초 직장에서 성희롱은 공기였다. 대전에서 직장 생활하던 시절 야유회에서 있었던 일이다. 전 직원 15명이 한 테이블에서 밥을 먹는 자리였다. 연봉 3억은 받는다던 센터장님이 우리 팀 다른 여자 박사님을 향해 큰 목소리로 물었다. (중저음) "000 박사는 질염이 있다며?" 우리는 모두 놀라 센터장을 쳐다봤다. 눈치가 없는 건지 모르는 채 하는 건지 센터장의 입은 말인지 똥인지 모를 것을 계속 뱉어댔다.


"빨리 애인 만들어. 애인 없으니까 거미줄 생기잖아. 껄껄 껄껄"


질염을 보고 거미줄이라 칭한 것이다. 모두가 있는 공적인 자리에서 한 여성의 사생활을 아주 짧은 문장으로 모두 폭로한 것이다. 그리 오래된 일도 아니다. 2015년 정부출연연구소 센터장의 발언이다. 부하직원의 건강검진 결과를 모두 살펴본 것이었고 모든 직원이 있는 곳에서 당당히 말한 것이다. 이 세상 텐션이 아니다.


난 이때에도 아무 말하지 못했다. 물론 회사 막내인 내가 뭘 할 수 있겠느냐 생각해버리고 끝낼 수 있지만 그게 그렇지가 않다. 난 입사 4개월 만에 병이 나서 퇴사했고, 퇴사하면서도 아무 말 못 했기 때문이다.


슬픈 지점은 성희롱 발언을 들었던 여자 박사님이었다. 뭔가 잘못됐다는 것조차 느끼지 못했다. 센터장님이 건강검진 결과를 본 건 잘못이지만 볼 수도 있는 것이라 받아들였다. 뭘 어떻게 하겠느냐, 이게 다 였다. 그저 농담이었다고 받아들였다. 거미줄이 왜 잘못됐는지 같은 건 정말 모르는 걸까?

 



요즘 생각나는 것만 해도 이 정도다. 과거의 일부다. 다들 이 정도는 겪은 채 살아가고 있는 걸까? 나만 유난스럽게 과거를 놓지 못하는 걸까? 남들에겐 겨우 이 정도 과거인 걸까? 이 정도 과거는 정돈하지 않고 지나쳐도 괜찮은 걸까?


혼자 있을 때면 나는 자꾸만 그때 그 자리에 선다. 과거의 고민은 아직도 현재의 고민으로 살아있다. 그때의 나는 어떻게 하면 좋았을까. 어떻게 하면 좋을까. 이제 숙제를 해야 한다.


다른 사람은 후회하지 않으면 좋겠다. 폭력의 순간을 붙잡고 사는 건 하지 않아도 되면 좋겠다. 선택의 순간이 닥쳤을 때 뭘 해야 할지 이미 알고 있으면 좋겠다. 당신들은 평생 마음속에 숙제를 갖고 살지 않아도 되면 좋겠다. 그때 아무것도 하지 못했던 내가 이제라도 방법을 찾고자 한다. 나라도 괜찮다면 내가 방법을 찾아보고 싶다. 공부 열심히 해야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