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정호 Nov 30. 2024

처가와 뒷간은 멀수록 좋다?

한국과 베트남의 처가에 대한 인식 차이

 매장에 들른 지인 형님이 급히 김밥 한 줄을 빨리 싸달라고 하길래, ‘어디 가시냐?’고 묻자 바리아에 있는 처가에 간다고 한다. “지난 주말에도 간 것 같은데 또 가시냐? 애기 생기고 처가에 꽉 잡혀 사는 것 아니냐?” 라고 장난말을 하다 문득 떠오른 생각이 있다. 한국과 베트남, 두 나라의 처가에 대한 인식은 놀라울 정도로 다르다는 점이다.


 한국의 50대 이상의 남성분이라면 ‘처가와 뒷간은 멀수록 좋다’는 말을 들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시집가면 그 집 식구’라는 말은 지금도 자주 사용하곤 한다. 

 한국과 베트남, 양국은 ‘가족 중심의 문화’가 강하지만, 처가에 대한 인식과 가족 간의 역할은 문화적, 역사적 배경에 따라 크게 다른 듯하다. 특히 결혼한 신랑의 입장에서 처가와의 관계는 두 나라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한국에서의 처가에 대한 인식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처가는 결혼 후 부차적인 위치로 여겨져 왔다. 신랑은 결혼 후 자신의 가족(친가)을 중심으로 생활하며, 처가는 명절이나 특별한 날에나 방문하는 곳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처가와의 관계는 신랑에게 있어 "적당한 거리 유지"가 중요하다는 생각이 강했다. 이는 가족 중심 문화에서 신랑의 역할이 자신의 친가를 중심으로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신랑이 외가를 자주 방문하는 것은 흔치 않았다. 이는 과거 유교적 가부장제 영향으로 신랑의 가족이 우선시되었던 전통에서 기인한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서, 처가와의 관계가 단순한 의무를 넘어 더 평등하고 자유로운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신랑이 처가를 방문하거나 도움을 받는 것에 대해 부담이 줄어드는 추세이다. 맞벌이 가정이 늘어나면서 처가, 특히 장모가 육아나 가사 지원의 중심적 역할을 맡는 경우가 많아졌다. 처가가 더 이상 단순히 방문하는 곳이 아니라 중요한 지원 네트워크로 인식되면서, 처가와 신랑의 관계도 더욱 가깝고 실용적으로 변하고 있는 것이다.


 베트남에서의 처가에 대한 인식

 베트남에서 처가는 결혼 후에도 중요한 역할을 지속적으로 담당한다. 특히 처가와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베트남의 가족 문화에서는 자연스럽게 받아 들여진다. 결혼 후에도 신부의 가족과의 관계를 중요시하며, 처가는 경제적, 정서적 지원을 주고받는 주요한 가족 단위로 여겨진다. 

 베트남에서는 신랑이 처가를 자주 방문하거나 처가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인 일상이다. 신랑은 장모나 처가 친척들 또한 존중해야 하며, 처가 행사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요청받는다. 베트남의 가족 문화는 공동체 중심적이기 때문에, 처가는 신랑에게도 두 번째 가족으로 받아들여지는 경우가 많다.


  신랑의 처가에 대한 태도: 한국과 베트남의 차이점


 한국에서는 신랑이 처가와 적당히 거리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는 경우가 많지만, 베트남에서는 처가와 가까이 사는 것을 오히려 장점으로 여기기도 한다. 특히 자녀 양육, 생활 문제에서 처가가 큰 역할을 하므로 신랑이 처가를 돕거나 처가의 도움을 받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이다. 

 한국에서는 유교의 영향으로 친가가 중심이 되는 가족 구조가 자리 잡혔다. 결혼 후 신랑은 자신의 친가를 우선시하고 처가는 부수적인 관계로 여겼다. 그러나 현대에는 가족 간의 평등과 개인의 행복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면서, 처가와의 관계도 유연해지고 있다.

 베트남은 전통적으로 가족과 공동체가 생존과 경제활동의 중심이 되어 왔다. 결혼 후에도 신랑와 신부 양측 가족의 유대가 매우 중시되며, 처가 역시 신랑에게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베트남은 모계사회적 특징도 갖고 있어, 처가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더 강조된다. 베트남의 '모계사회적 특징'은 처가의 역할을 더욱 강조한다. 특히 북부 지방에서는 결혼 후 남편이 처가 근처에 머무르며 경제적으로 협력하는 경우가 흔하다.


 처가에 대한 한국과 베트남의 인식 차이는 두 나라의 가족 구조와 문화적 가치관에서 비롯된 것이다. 한국은 전통적으로 처가와의 적당한 거리를 중시했지만, 현대에 들어서는 처가의 역할이 점차 커지고 있다. 한국에서는 최근 처가에서 육아를 지원하거나, 맞벌이 부부가 처가와 함께 사는 경우가 늘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30% 이상 가정이 처가의 도움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베트남은 전통적으로 처가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신랑도 처가를 중요한 가족으로 인식하고 있다. 처가와 함께 사는 것이 자연스러울 뿐 아니라, 자녀 교육이나 가사 분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결국. 한국과 베트남 모두 가족 중심의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세대가 변함에 따라 처가의 역할도 변화하고 있다. 이는 전통과 현대적 가치가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과정이라 볼 수 있겠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