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뜨거운물 찬물 May 02. 2023

아파트도 위험하다

강남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강남도 반포, 개포동(대치동), 압구정동 등 각자 사정은 다르다.     


하지만 공통점은 이번 하락장으로 ‘하락 폭’이 커졌다는 점인데,

핵심은 하락 폭보다 ‘하락 금액’이다.

같은 하락 폭이라도 고가 주택이 몰려있는 강남에서는 금액이 매우 크다는 것이다.

반포자이, 래미안 퍼스티지의 84㎡ 전셋갓 하락 금액은 10억에 육박한다.      


강남 집주인이라고 해서 10억 현금 가진 사람은 드물다.

여유자금, 추가 대출, 월세 전환 등이 안 되는 집주인도 부지기수다.

결국 역세전, 깡통주택 문제에서 강남도 예외일 수 없다.      


올해 강남권 입주 물량은 1만 호에 달한다.

강남발 보증금 미반환은 다른 지역으로 번질 수 있고

또 다른 연쇄 도미노가 우려되는 시점이다.

강남발 깡통주택은 그 금액이 큰 만큼 파장도 클 수 있다.     


빌라 전세사기로 온 나라가 뜨겁다.

문제의 근본을 막기 위해 전세 보증한도 축소, 공시가 하락으로

빌라 사기는 잡을 수 있을지 모르지만

임대 사업자의 발목을 잡아 전체 오피스텔, 원룸, 다세대로 보증금 미반환이 번질 수 있다.

여기에 아파트 역전세는 또다시 서민들의 주거 불안을 압박할 수 있다.

      

정부 대책은 전세를 넘어

금융의 쇠사슬로 얽혀있는 집 전체를 봐야 한다.

급한 불만 끄다가 집 전체가 불탈 수 있다.

아파트, 빌라, 다세대가 공존하는 잠원동 일대


작가의 이전글 빌라사기는 예견된 '살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