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W렌즈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데일리타임즈W Jun 19. 2020

[W렌즈 꼰대의 재구성①] 선 너머에 꼰대가 있다

‘라떼는 말이야’라며 꼰대를 저격하고 놀리던 현상이 이제는 ‘혹시 나도 꼰대?’라는 공포로 뒤바뀌어 꼭 해야 할 충고까지 속으로 삭이고 넘어가는 지경에 이르렀다. 참다못한 기성세대들은 <회사는 유치원이 아니다(조관일 저, 21세기북스)>라며 밀레니얼 세대에게 일침을 가하는가 하면, <나는 그냥 꼰대로 살기로 했다(임영균 저, 지식너머>며 따뜻한 꼰대, 세련된 꼰대가 되기를 선언하기도 한다. 이제 맹목적인 비판과 공격에서 한 발짝 물러나 세대 간의 차이를 ‘틀림’이 아닌 ‘다름’으로 이해하고, 서로 공존하는 스킬을 배워야 할 때다. 국내 유일 워라밸 전문 매체 <데일리타임즈W> 5월 W렌즈에서는 애매한 꼰대질에 대한 설문부터 20대와 40대 직원의 꼰대 대담, 내가 겪은 최악의 꼰대질, 꼰대의 이유 있는 변론, 꼰대와 MZ세대가 공존하는 방법 등을 소개한다. 모쪼록 무의미한 꼰대짓은 청산하고, 진정한 조언과 충고를 통해 양 세대 모두가 성장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나이 불문, 직급 불문 누구나 꼰대가 될 수 있다.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꼰대가 주목받자 온라인에서는 “후배의 이런 행동이 거슬리는 저도 꼰대인가요?”라는 질문이 심심치 않게 올라오기 시작했다. 흥미로운 점은 애매한 꼰대로 구분되는 40대보다도 20~30대가 더 꼰대를 두려워한다는 점. <데일리타임즈W> 기자들이 온라인에서 가장 많이 눈에 띄었던 질문들과 주변 직장인들의 의견을 모아 가장 애매한 질문 10개를 20~40대, 대기업부터 스타트업 회사까지 다양한 조직에 근무하는 총 200명의 직장인에게 물었다. 


20대, 30대, 40대 모두 한 번쯤 자신이 꼰대가 아닐지 생각해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그래프=박현호 기자

COMMENT 전체 응답자의 62%가 그렇다고 답해 세대를 불문하고 누구나 한 번쯤 꼰대에 대해 고민해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로운 것은 30대가 40대보다 더 많이 꼰대가 될까 봐 걱정한다는 것이다.

 

선배보다 후배가 먼저 출근해야 했던 예전과 달리, 대부분 지각하지만 않는다면 상관없다고 생각했다. / 그래프=박현호 기자

COMMENT 30분 일찍 출근해야 한다는 것은 이제 옛말. 전 연령대 모두 과반수 이상이 정시에만 출근하면 된다고 생각했다. 특히 각박한 신입 시절을 보냈던 40대의 75%가 아랫사람에게 너그러워졌다는 것에 주목할 만하다. 

사무실에서 이어폰을 끼고 일하는 것은 거슬리지 않는다는 쪽이 우세했지만 '그래도 아니다'라는 의견도 꽤 많았다. / 그래프=박현호 기자


COMMENT  온라인에 자주 등장하는 질문 중 하나인 이어폰 논란. 59%의 응답자가 거슬리지 않는다고 답했지만, 의외로 30대보다 20대가 더 많이 이어폰을 마음에 안 들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한쪽만 끼면 괜찮다', '볼륨이 낮아서 외부 소리를 들으면 괜찮다', '업무상 교류가 없다면 괜찮다' 등의 기타 의견도 많았다.


단체 카톡 역시 일의 연장선이라고 생각하는 직장인들이 많았다. / 그래프=박현호 기자

COMMENT 직장인들은 ‘넵, 넹, 네~’ 등으로 속마음을 표현할 만큼 상사와의 카톡에 신경을 많이 쓴다. 이때 쿨하게 ‘읽씹(읽고 씹는)’하는 후배는 당연히 눈 밖에 날 수밖에. 세대별로는 30대의 57%가 그렇다고 답해 가장 단체 카톡을 신경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이하게도 30대 중에서도 공무원이나 공기업 종사자들은 100% “아니오”라고 답했으며, 스타트업 종사자들 역시 ‘아니오’ 비율이 월등히 높았다. 


수저 통이 가까이에 있으면 세팅하는 것은 나이를 떠나서 매너의 문제다. / 그래프=박현호 기자

COMMENT 유일하게 40대만 거슬린다는 응답이 58%로 과반수를 넘었다. 특히 40대 중 대기업의 과장급 이상이 월등히 거슬린다는 응답이 많았으며, 유일하게 40대의 공무원만 거슬리지 않는다고 말했다. 30대보다도 현재 막내일 가능성이 높은 20대가 더 거슬린다고 답하기도 했다.


20대 응답자는 압도적인 비율로 '혼밥'을 지지했다. / 그래프=박현호 기자

COMMENT  전체적으로 부정의 응답이 많았지만, 전 질문을 통틀어서 가장 압도적인 비율인 96%의 20대가 혼밥을 지지한다고 답해 MZ세대의 개인주의 성향을 잘 엿볼 수 있었다. 40대의 스타트업 회사 중 임원급 이상도 대부분 거슬리지 않는다고 답했다. 반면, 30대 중소기업 종사자나 개인사업자 대표의 경우 혼밥을 좋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역시 반말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 그래프=박현호 기자

COMMENT 전 연령대 고르게 ‘그렇다’와 ‘아니다’의 비율이 50:50으로 나타나 개인별 성향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급별로 보면, 중소기업의 사원~대리급에서만 거슬린다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작은 규모의 회사에서 직원 간 경력과 스펙이 모호한 경우에 생기는 불만이 많은 것으로 해석된다.


승진이나 인사고과에 영향이 있는 40대가 더 '줄타기'에 민감했다. / 그래프=박현호 기자

COMMENT  세대 간 생각의 차이가 나타난 질문이다. 자신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면 남에게 큰 관심을 보이지 않는 MZ세대는 타 직원의 관계에 크게 관심을 두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령대가 올라갈수록 거슬린다는 응답 비율이 높아져 40대는 86%에 달하는 비율이 그렇다고 답했다. ‘줄타기’나 ‘아부’가 승진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보았기 때문에 더욱 민감할 것으로 추측된다. 직종별로는 특히 공무원과 공기업 종사자들이 거슬리지 않는다고 응답해 승진이나 인사고과 상관없이 롱런하는 직종 특징을 잘 보여주었다.


시도 때도 없는 연락은 사절이지만, 급한 연락이라면 휴가 중에도 수용한다는 것이 전반적인 의견. / 그래프=박현호 기자

COMMENT 전 연령층 모두 그렇다는 비율이 높은 반면, 스타트업 종사자들은 대부분 “아니다”라고 답해 일손 부족으로 휴가 중에도 일해야 하는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직급별로는 역시 과장~부장급이 그렇다고 답했고, 대리 이하급은 아니라고 답해 세대 차이가 나타났다. 


아무리 꼰대가 싫어도, 할 말은 해야 한다. / 그래프=박현호 기자

COMMENT 아무리 꼰대 검열 시대라 해도 할 말은 한다. 20대 중 그렇다고 답한 17%는 모두 중소기업 종사자로 나타나 작은 규모의 회사에서 위아래 관계를 더욱 신경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무원과 공기업의 경우 타 문항에서는 대부분 의견이 일치했던 반면, 지적 부분에서는 의견이 갈렸다. 30대 공무원은 전원 회피한다고 답한 반면, 30대 공기업은 전원 회피하지 않는다고 답한 것. 공기업보다도 공무원 문화가 더욱 개인주의 성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데일리타임즈W 김수영 기자 dtnews1@naver.com



매거진의 이전글 [W렌즈 집콕의 세계⑦] 매일 골라 하는 홈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