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손윤 Sep 22. 2022

흠칫흠칫이 아닌 힘껏 '후크'

과거에 박제된 우상의 종말

수많은 흥행작을 만든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 여기에 아카데미 남녀주연상을 받은 로빈 윌리엄스와 더스틴 호프만, 줄리아 로버츠와 귀네스 팰트로. 또한, 연기력이 돋보이는 매기 스미스, 밥 호스킨스, 글렌 클로즈 등. 이 초호화멤버가 한자리에 모인 영화가 '후크'(Hook/1991년)다.


그런데 돌이켜보면, 카메오 출연이든 뭐든 그 재능을 낭비한 배역이라는 생각이 강하게 든다. 팰트로가 순식간에 지나가거나 클로즈가 남장 해적으로 나오거나 한 것은 이해할 수 있다고 해도, 분장을 해서 누군지 알아보기 어려운 후크 선장 역에 호프만을, 육감적인 몸매를 전혀 느낄 수 없는 팅커벨 역에 로버츠를 기용한 것 등은 받아들이기 어렵다. 마치 야구 경기에서 홈런 타자인 박병호가 주자 만루 기회에서 '짜내기' 스퀴즈 번트를 대는 듯한 아쉬움이 남는다.


영화는 영원한 아이의 상징인 피터팬이 어른으로 성장해, 천적 후크 선장과 맞대결을 펼치는 내용이다. 피터팬의 아들 잭은 야구소년. 그러나 야구를 잘하지는 못한다. 특히, 커브에는 헛방망이질의 연속. 그런데 네버랜드에서 해적들과 펼친 경기에서는 커브를 받아쳐 홈런을 때려낸다. 그 장면을 보며 문득 예전에 아는 이에게 들었던 쿠바 야구가 떠오른다.



경기 전의 타격 연습 등에서 타자는 배트를 붕붕 휘두른다. 심하면 20개 안팎의 공 가운데 하나도 못 맞추기도 한다. 그런데도 감독과 코치는 잠자코 지켜보기만 한다. 우리나라라면, 헛스윙할 때마다 잔소리를 늘어놓거나 대여섯 개를 헛스윙한 순간 다른 선수로 교체할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그리고 그 선수는 '힘껏' 스윙하는 게 아닌 공을 맞히는데 주력하는 스윙으로 바뀐다. 그런데 왜 쿠바 지도자는 헛스윙을 가만히 지켜보기만 하는 것일까.


강하게 휘두르다가 보면 어쩌다가 한 번씩 배트에 맞아 나간다. 그 타구의 스피드는 엄청나다. 그렇게 시간이 흐르면 배트에 맞아 나가는 횟수가 늘어나며, 타구 스피드가 빠른 만큼 안타로 연결될 확률도 높아진다. 그래서 메이저리그에 진출한 쿠바 선수들만 봐도, 엄청난 타구를 때려내는 것이다.


'흠칫흠칫' 배트에 공을 맞히는 스윙과 '힘껏' 휘두르는 스윙. 어느 것이 무조건 옳다고 말할 수 없지만, 지금이 아닌 세월이 흐른 후에는 분명히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또한, 흠칫흠칫 스윙에는 아이의 '희망'이 아닌 어른의 '욕심'이 투영된 결과이기도 하다.


과거 피터팬은 네버랜드의 아이들처럼 저녁을 먹을 때, 예의범절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었다. 그런데 어른이 된 피터팬은 그것을 지적하며 옳지 않다고 말한다. 그가 바라는 식사예절이라는 것은 어디까지나 어른의 관점. 즉, 아이들의 장악해 자신이 옳을 것으로 생각하는 방식으로 이끄는 것이 어른의 역할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그런데 아이들이 즐겁게 식사하는 게 잘못된 것일까. 그것을 어른이 못하는 이유는 사회적 관념 등에 '관리'되고 있기 때문은 아닐까.



사실 이 영화의 주제는 한 시대의 종언이다. 후크 선장은 과거 피터팬이 그랬고, 지금의 루피오가 그런 것처럼 새로운 시대로 나아가기 위해 반드시 뛰어넘어야 할 '벽'. 그것을 뛰어넘기 위해 필요한 건 끊임없는 도전이다. 그리고 그순간은 어느날 갑자기 찾아온다. 후크 선장이 숨기고 싶었던 늙은 모습처럼 '세월'과 그에 따른 '변화'의 흐름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자신의 최대 실적인 악어박제와 함께 맞이하는 후크 선장의 최후. 과거의 공적에서 벗어나지 못한 우상은 세월의 변화 앞에 무너질 수밖에 없다. 그리고 그것을 통해 새로운 주역이 이끄는 또 다른 시대가 열리는 법이다.

작가의 이전글 야구는 실패를 통해 배우는 스포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