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독한PD Jul 13. 2021

'방송국 콘텐츠' 말고 '내 콘텐츠'

독한PD 에세이

서민규 저자의 <회사 말고 내 콘텐츠>라는 책이 있다. 이 책 제목처럼 나는 이렇게 말하고 싶다. <방송국 콘텐츠 말고 내 콘텐츠>.


이게 무슨 말일까? 나는 프리랜서 방송 프로그램 제작 PD로 올해 14년째 일을 하고 있다. 정확히 말하면 작년 6월 이후로는 방송 프로그램 제작보다는 기관이나 기업에서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될 콘텐츠나 홍보 영상을 더 많이 제작을 하고 있다. 또한 나에게 '강의'라는 또 하나의 수입원이 생겼다. 개인 또는 기관이나 학교에서 유튜브나 1인 미디어 관련 강의도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 속 밑바탕에는 내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독한사람들>이 있었다.


나는 그동안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공중파 교양 다큐 프로그램을 꾸준히 제작해왔다. 2019년 가을, 더 큰 프로그램을 연출해보고 도전해봐야 하는 시점에서 '방송국 콘텐츠'가 아닌 '내 콘텐츠'를 만들어보기로 결심했다. 그 플랫폼은 유튜브였고 재작년 2019년 9월에 시작해서 지금까지 운영해오고 있다. 본업을 하면서 정말 바쁠 때 빼고는 꾸준히 일주일에 한 개씩 업로드해왔고 현재 구독자 5000명이 조금 넘는 채널로 성장했다. (유튜브 도전과 성장기를 블로그와 브런치에 기록 중이다.)



그동안 총 83개의 영상을 업로드하면서 터진 콘텐츠도 있었고 나름 채널 총 누적 조회 수 백만뷰를 기록했다. 감사하게도 몇 개월 전에 업로드했던 렌터카 대표님의 인터뷰 콘텐츠 하나가 조회 수 30만 회 이상이 나오면서 4월에는 구글에서 약 130만 원 이상의 광고 수익금이 내 통장으로 입금이 되기도 했다. 물론 그 이후로는 몇만 원 정도의 광고 수익금이 들어오지만 매일 많게는 5시간 적게는 1시간 정도 시청해 주고 있다.




본업을 하면서 내 콘텐츠를 만들어야 했기 때문에 방송국 콘텐츠를 만들 때보다 더 많이 바빠졌다. 내 콘텐츠를 만드는 작업은 돈도 안되고 에너지도 시간도 많이 소요됐다.


그럼에도 불구하는 나는 왜 '내 콘텐츠'를 계속 만드는 것일까?


언제 성장할지 모르는 내 유튜브 채널을 위해 소위 '존버'해야 하는 것일까? 아니면 당장 때려치워야 하는 걸까? 나는 일단 전자 쪽을 택했다. 그 이유는


첫째, 내가 미디어가 되는 시대, 나를 브랜딩 하기 위해서다. 아이러니하게 내 콘텐츠를 만들기 시작하면서 나는 오히려 돈을 더 벌고 있다. 방송국 콘텐츠를 만들어야 했을 때는 한 달에 정해진 급여를 받아 가며 오로지 그 일만 해야 했다.

하지만 유튜브를 하면서 내 수입원은 다양해졌다. 작지만 유튜브에서 나오는 광고 수익과 유튜브나 1인 미디어 강의로 버는 수익 그리고 다양한 콘텐츠 제작을 하면서 버는 수익을 합하면 방송국 콘텐츠를 만들 때보다는 확실히 수익이 더 높아졌다.


내가 유튜브를 하지 않았다면 강의 또한 하지 못했을 것이다. 하지만 내가 유튜브를 운영하면서 경험하는

것들을 강의에 녹일 수 있어서 더 도움이 되었다.


 또한 몇 개월 전에는 MBC에서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별다리 유니버스>의 담당 작가님으로부터 섭외가 오기도 했다. 내 블로그와 유튜브 채널을 보고 연락했다고 했다. 결국 나는 '세계의 극한 직업'이라는 토크 주제로 EBS 극한 직업을 연출했었던 PD로 출연했다. 출연료도 받았을 뿐 아니라 '나'라는 사람을 알릴 수 있는 계기도 되었다. 카메라 뒤에서 제작만 했었을 때는 경험해보지 못했을 새로운 경험이었다.



둘째, 나만의 콘텐츠 상점을 장기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다. 지금 당장 조회 수와 구독자가 늘지 않아서 감정적으로 속상해하지 않으려고 한다. 어차피 내 콘텐츠다. 내 철학을 가지고

콘텐츠를 꾸준히 만들어서 상점에 넣어두면 언젠가 내 콘텐츠를 알아봐 주고 좋아해 주는 수요가 늘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다른 유튜버들은 금방 성장해서 금방 돈을 많이 벌기도 한다. 하지만

다른 사람과 비교할 것이 아니라 그 시간에 내 콘텐츠를 어떻게 하면 더 재밌게 더 유익하게 만들 것인지 연구하는 편이 더 낫다.


셋째, 실패하더라도 지금의 경험은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매달 들어오는 안정적인 급여 때문에 내 콘텐츠를 만드는 것에 도전하지 않았다면 지금의 나는 없었을 것이다.


그동안 만든 방송국 콘텐츠는 내 피와 땀이 들어갔지만 콘텐츠의 주인은 방송국이었다. 하지만 내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되는 콘텐츠는 저작권이 나에게 있는 것이 아닌가. 그래서 '조회 수 안 나와도 내 콘텐츠야'라는 마인드로 내 채널에 하나씩 쌓여가는 콘텐츠만 봐도 배가 불렀다.


13년간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면서 늘 카메라 뒤에 있었다. 하지만 내 콘텐츠를 만들게 되면서부터

어색하지만 카메라 앞에 서면서 말도 해보게 됐다. 나는 내성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카메라 앞에 서는 경험들이 나로서는 큰 연습이 되었다. 그 경험이 <별다리 유니버스> 녹화할 때도 떨지 않고 차분하게 다른 게스트들과 토크를 할 수 있었다.


또한 내 콘텐츠를 만들게 되면서 방송 프로그램 제작할 때 못했던 기획도 해보게 됐다. 그동안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면서 주로 작가가 찾은 아이템 또는 작가나 CP가 기획한 아이템을 PD인 나는 제작만 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내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될 콘텐츠는 내가 처음부터 기획부터 해야 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 트렌드에 더 민감해져야 했고 이 시대가 어떤 콘텐츠를 원하는지 끊임없이 고민해야 했다. 이 모든 것이 나에게는 '방송국 콘텐츠'를 만들 때와는 또 다른 새로운 경험이었다.



이렇게 3가지 이유로 나는 '방송국 콘텐츠' 말고 '내 콘텐츠'를 계속 시도하고 만들고 있는 중이다. 그래도 이왕 시작한 거 10만 구독자를 가진 유튜버에게 주는 실버 버튼을 받는 것이 목표다. 그러한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나는 포기하지 않고 내 콘텐츠를 만들어보려고 한다.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두려워했다면 진작 포기했을 것이다. 나를 믿는다. 그리고 실패하면 어떤가? 실패하면 '내 콘텐츠' 말고 '방송국 콘텐츠' 만들면 되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