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왜 사십니까?”라는 질문을 받으면 어떻게 대답하겠는가? 여러 대답이 나올 수 있겠지만 누구나의 마음 속에 있는 대답을 모아보면 “행복하고 싶어서…”일 것이다. 그렇다. 인간은 행복하기 위해 사는 존재다. 아리스토텔레스 형님도 말하지 않았나. “인간은 행복하기 위해 산다. 행복은 인간의 최고선(善)이다”라고. 불행하기 위해 사는 사람은 없다. 심지어 자살하는 사람도 행복 하고 싶어서 하는 거다. 지금 이 상태로는 도저히 행복할 것 같지 않으니까, 죽으면 이 불행한 상황이 끝날 것 같으니까 극단적 선택을 선택하는 거다.
그러나 많은 한국인들은 행복하지 않다. 한국인의 행복지수가 OECD 국가 중에서 늘 하위를 차지하고 있음은 어제 오늘의 얘기가 아니다. 왜 그럴까? 행복에 대한 잣대가 문화권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유독 한국인의 삶의 만족도가 낮은 이유는 뭘까? 세계 10위권의 선진국가이면서도 왜 우리는 불행한 사람의 비율이 높을까?
삶에 대한 자신만의 정의가 없어서 그런 것 아닐까. 한국 전쟁 이후 한국인의 삶의 기준은 신분 상승과 경제력이었다. 전쟁의 폐허를 딛고 불과 60년 만에 세계 10위권 국가로 도약했으니 일면 이해도 간다. 그런 헝그리 정신이 없었던들 어떻게 이런 비약적인 발전이 가능했을까. 그러다보니 자신의 삶을 살지 못 하고 늘 남과 비교하며 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행복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거다. 그러니 어린 학생들조차 서로 아파트 평수를 따지고, 아버지 자동차가 큰지 작은지 따지며 우열을 가리는 거다. 그러면서 금수저, 은수저, 쇠수저, 흙수저 타령 하는 거다.
이걸 다른 말로 하면 내 삶의 각본이 없어서 그렇다. 자신만의 인생각본이 없어서 그렇다. 그런 사람들이 너무 많다. 영화감독에게 시나리오가 없다면 어떨까. 어느 감독이 시나리오 없이 대충 영화를 만들다 흥행에 성공한 다른 영화를 흉내 내고, 또 다른 영화를 따라 하고, 그러기를 거듭한다면 어떤 영화가 만들어질까. 멜로인지, 오락물인지, 액션물인지 모를 잡탕 영화가 만들어질 것이다. 그런 쓰레기 같은 영화를 누가 보겠는가. 인생도 마찬가지다. 내가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10년 뒤, 20년 뒤 어떤 모습의 사람이 될지 자신만의 각본이 없다면 이도 저도 아닌 인간이 된다. 반대로 자신만의 각본이 분명히 있다면 세상 또는 다른 사람들이 내 삶을 휘두르지 못한다.
인생각본이라는 게 뭔가. 인생 지도다. 인생 내비게이션이다. 가까운 여행지를 찾아가도 지도나 내비게이션을 이용해 목적지를 찾아가는데 100세 인생을 살면서 자신의 목적지가 없고, 지도가 없다는 건 얼마나 한심한 일인가.
똑 같은 환경에서 태어났어도 잘 되는 사람이 있고 잘못 되는 사람이 있다. 흙수저로 태어난 쌍둥이가 왜 한 사람은 성공하고, 다른 한 사람은 실패할까. 인생각본의 유무 차이다. 인간이 동물과 다른 점은 태어난 대로 살지 않는다는 것이다. 약한 동물은 평생 강한 동물에 쫓겨 다니다 일찍 삶을 마감한다. 그러나 인간은 다르다. 어떤 역경도 얼마든지 역전이 가능하다.
이런 말이 있다. “생각하는 대로 살지 않으면 사는 대로 생각하게 된다” 프랑스 소설가 폴부르제 Paul Bourget 의 말이다. 유명인이 한 말이라 많은 사람들에게 회자 되지만 나는 이 말이 틀렸다고 본다. 생각하는 대로 살지 않으면 아무 생각 없이 살게 된다. 내가 내 삶의 주인이 아니라 삶이 내 주인이 된다. 나는 내 삶의 하인이 될 뿐이다.
내 인생의 각본이 필요하다. 좋은 영화를 만들려면 치밀한 시나리오가 있어야 하듯이, 우리 인생에도 자신만의 인생각본이 필요하다. 각본 없는 인생은 대충 살 수밖에 없다. 좌충우돌 살아가다 어느 날 지난 삶을 돌아보며 “어, 이게 아닌데... 내 인생이 왜 이렇게 됐지?”하면 되돌리기가 쉽지 않다. 특히나 요즘 같은 VUCA 시대, 하루 자고 나면 많은 것이 달라지는 불확실한 세상일수록 흔들리지 않는 인생 지도가 필요하다. 인생각본은 내 인생의 지도다. 나만의 삶, 나다운 삶을 살게 만드는 (지)혜와 (도)리, 그게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