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기덕 Sep 28. 2021

읔, 입냄새~

나쁜 입냄새.

영어로 Bad breath 또는 Halitosis라고 하기도 하는데요, 

숨을 뜻하는 라틴어 halitus와 질병을 의미하는 -osis가 결합된 말로,

구강청결제 회사인 '리스테린(Listerine)'이 이 말을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Joseph William Howe라는 의사가 만든 말이라고 해요.

1874년 그가 쓴 책에 등장한다고 합니다.

제목이 "The Breath, and the Diseases Which Give It a Fetid Odor"

입냄새는 생기는 이유도 다양하구요

모두 다 문제가 있는 것도 아닙니다.

우선은 칫솔질이나 치실 사용을 하면서 수분을 충분히 섭취해보시구요.

호전이 없으면 치과를 방문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치과에서 다른 문제가 없다면 내과나 가정의학과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아요.

입냄새의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음식

음식 찌꺼기가 치아 주위에 남아 세균을 증식시키고 냄새를 만들어요.

양파나 마늘 같은 음식은 소화가 되고 흡수된 다음,

그 안에 들어있는 휘발성 황화합물(VSC)은 휘발성이 높아서

숨을 내쉴때마다 폐를 통해서 빠져나와요.

이런 경우에는 이를 아무리 닦아도 효과가 없어요. 폐에서 나오는거라.

- 담배

잇몸 질환도 잘 생기고, 담배에 나쁜 냄새를 유발하는 물질이 많아요. 

- 구강 위생이 나쁜 경우

양치질을 제대로 안 하거나 치실 사용을 잘 하지 못하는 경우

음식물이 입 안에 남아있어서 나쁜 냄새를 나게 만들 수 있어요.

치아에는 무색의 끈끈한 세균막이 있는데요. 

양치질을 하면 이 세균들이 씻겨나가지만, 

그렇지 않게 되면 잇몸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고

치아와 잇몸 사이 공간에 세균들이 자라날 수 있어요.

- 구강 건조증

침은 입 안을 씻어내고 나쁜 냄새를 만드는 물질을 없애요. 

입이 마르게 되면 찌꺼기나 세균들이 잘 씻겨지지 않아 

입냄새가 심해질 수 있어요. 

자는 동안에는 입이 잘 마르기 때문에 

아침에는 누구나 입냄새가 날 수 있어요.

특히 입을 벌리고 자는 경우에는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 약물

몇몇 약들이 입을 건조하게 해서 구취를 심하게 할 수 있어요.

또 마늘이나 양파처럼 약이 분해되면서 

휘발성이 강한 물질들이 폐를 통해 나오는 경우도 있어요.

마늘주사라고 알려진 비타민B1(thiamine) 주사도

숨을 내쉴때 폐에서 나오는 물질에서 마늘 냄새가 나기 때문에 

마늘 주사라고 해요. 

- 구강내 감염

발치와 같은 구강 수술, 충치, 잇물 질환이나 입이 헐어도 

구취가 심해질 수 있습니다.

- 인후부 문제

편도결석에 의해 냄새가 나기도 합니다. 

편도결석은 세균으로 덮여져 있구요 냄새가 많이 날 수 있어요.

코, 부비동, 인후부에 만성 염증이 있는 경우에도 구취가 있을 수 있습니다.

- 기타

간질환이나 암 등과 같은 대사성 질환에서도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하나하나 다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요.

본인의 생활습관 개선 노력 !

다시 말씀드리면, 

우선은 칫솔질이나 치실 사용을 하면서 수분을 충분히 섭취해보시구요.

호전이 없으면 치과를 방문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입이 마르는 경우라면, 

커피 같은 카페인을 줄이시는 것도 좋아요.. 

무설탕 껌이나 사탕을 이용하면 침이 고이면서 

건조함이 사라지고 입냄새가 줄 수 있어요. 

구강세정제를 너무 많이 이용해도 입이 건조해지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치과에서 다른 문제가 없다면 내과나 가정의학과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아요.

작가의 이전글 칸디다 질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