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youtoo Oct 27. 2015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 에 대한

개인적인 영화평입니닷~스포일러 有


홍상수의 영화. 홍상수의 영화는 그야말로 인간 본연의 모습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알몸 같은 영화이다. 그의 영화 속 배우들은 ‘찌질해 보일까봐’, 혹은 ‘남에게 미움 받을 까봐’ 말하고 싶지만 말하지 못하는 말과 행동들을 여과 없이 뱉어낸다.


배우의 한명 한명은 그래서 실제 일상에서의 사람들처럼 복잡하기 보단 본능에 가까운 감정의 한 파트씩 맡아(마치 인사이드 아웃의 머릿속 감정 캐릭터처럼) 연기해 그것들이 부딪일어나는 해프닝 모두 느낄 법한 복잡함으로 만들어 공감을 자아낸다.  


자신의 속내를 들키는 듯한 낯 뜨거움 때문에 홍상수 영화를 보기를 꺼리는 관객 또한 상당하다는 것은 감정의 정곡을 찌르고 있다는 말로도 풀이 할 수 있지 않을까.

그리 화려하지 않은, 아니 촌스럽다고 표현하는 편이 맞을 정도의 촬영 테크닉의 영상기법, 그리고 다른 곳에서는 항상 화려하게 관객들의 로망을 대변해주었던 배우들이 어색하지 않은 일반인 코스프레를 하며 등장해 준다. 에피소드 역시 인간의 속내를 파고들어 누구나 한번쯤 겪어봤음직한 감정의 경험을 건드리는, 자극적인 설정이 난무하는 요즘의 트렌드를 따르지 않는다.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 2부로 구성되어 있는 이 영화를 혹자가 홍상수식 틀린 그림 찾기로 표현하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말 그대로 장소나 일어나는 사건들은 모두 같다. 그것을 이끌어가는 두 남녀의 말투, 스타일, 행동만이 약간 다를 뿐. 시놉시스만으로 누군가한테 설명을 한다면 이 두 에피소드는 그다지 차별을 두지 못할 것이다. 늘 그래왔듯 마치 이 들의 대화를 옆에서 쭉 지켜보고 있는 느낌을 받도록 움직이지도, 그다지 컷이 나뉘지도 않는 촬영기법은 자연히 이들의 대화에 빠져들게 한다.    


예술영화 감독인 춘수는 자신의 영화 상영회를 하러 수원에 오게 되는데 하루 일찍 도착 한 탓에 혼자 시간을 때우러 수원의 사찰을 둘러보게 된다. 사찰에 진입할 때 잠깐 스쳤던 한 젊은 여자를 사찰의 안에서도 발견하고 호감을 느껴 말을 건다. 처음에 어색함에 감돌던 두 사람은 같이 커피를 마시고, 화가인 여자의 작업실에서 이야기 하고, 술을 마시고, 모임에 참석하며 서로 가까워진다. 다음날이 되어 춘수는 예정대로 영화 상영회를 마치고 서울로 돌아간다.


1, 2부의 구조 자체는 다르지 않다. 여기에 달라지는 것은 그들의 말투와 태도. 그리고 카메라에 비춰주는 메인이 되는 주인공의 시점, 그리고 그 태도나 말투 등으로 파생되어 첨가되거나 삭제된 한 두 가지의 에피소드가 전부이다.


1부의 부제는 “그 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

1부에서 두 사람은 전반적으로 무언가 어리숙하다. 말하는 것도 답답하고 하고 싶은 이야기도 쑥스러워서 인지 잘 전달하지 못해 표정에서 다 드러나는 자신들의 감정을 쉽사리 입에 담지 못한다. 어렵사리, 어렵사리 전달된 자신의 감정들. 그것을 서로 눈치 채는 것으로 이야기는 전개된다.


실제로 많은 현대인들은 상대방을 배려한다는 명목으로 자신의 생각을 고스란히 입에 담고 있지 못하지 않은가. 가장 원초적인 본능중 하나일 이성에게 호감을 느껴 접근하는 장면으로 이를 녹여냈다. 여자의 작업실 장면에서 또한 여자의 그림을 본 남자는 그림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르겠다는 표정을 하지만 입으로는 남들이 하지 않는 것에 도전하는 용기가 있다는 둥 좋은 식으로 포장해 소위 “영혼이 없는” 칭찬을 해주기 바쁘다. 여자 역시 그것의 영혼 없음을 눈치 챘을지는 모르지만 그 어리숙한 거짓말 속의 본심을 눈치 챈 것인지 나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렇게 본능적인 감정전달 만을 위해 사소한 본심을 숨긴채, 뜬 구름 잡는 이야기만을 하는 두 사람. 결정적으로 다른 이들이 있는 모임에서 추궁을 당해 둘의 대화에서는 의도이든 아니든 ‘숨겼었던’ 자신이 유부남임을 밝히는 순간, 여자는 말로 할 수 없는 배신감과 당혹감에 표정이 굳어져 간다. 역시 표현을 하지 않고 자리를 피해 감정을 숨기려 한다. 감정을 숨기며 쌓인 오해들과 울분은 각자 다른 곳에서 폭발한다.     

2부의 부제는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

2부와 같은 경우, 상황은 모두 같지만 두 사람의 대화는 보다 직설적이고 논리적이다. 그야말로 그 상황에서 나옴직한 말들을 여과 없이 모두 입에 담는다. 일촉즉발의, 싸움으로 번질 듯한 아슬아슬함 마저 느껴질  정도이다. 서로의 감정을 상하게 하지 않기 위해 배려를 해주는 1부와는 다르게 본능의 감정은 유지하되 할 말을 꼬박 꼬박 다 해대니 다른 ‘오해’는 생기지 않는다.


1부와는 다르게 두 사람간의 대화 중에 자신이 유부남임을 밝히는 남자. 여자는 못내 아쉬워 하긴 하지만 남자에게 느끼기 시작한 호감을 감추지 않는다. 감정이 이어져 여자의 집까지 바래다주는 1부에는 없는 추가 시퀀스. 여자는 다음날 상영회에도 참석하며 남자에의 감정을 숨기지 않는다.        

“그 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 ”의 1부

“지금은 맞고 그 때는 틀리다” 의 2부     

2부로 나뉜 이 영화를 각각의 엔딩만으로 보자면 확연하게 나누긴 애매하지만 2부가 행복한 엔딩 쪽에 가깝다. 인간 감정 흐름의 표현 면에서 좋은 감정으로 잘 지내다 막판에 깨어지는 1부, 위태위태하지만 서로의 감정이 전달되어 좋은 감정으로 지속되는 2부.


감정의 교류 면에서 “좋다 / 나쁘다” 를 “맞다 / 틀리다” 로 치환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오해가 쌓이는 선의의 거짓보다 솔직함을 택하는 편이 더 낫다고 말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는 홍상수 자신이 이제까지 해왔던 작품세계에서 오롯이 드러났던 ‘지나치게 솔직한 캐릭터’ 기용에의 변명일 수도 있다.  

이 영화에서는 특히 연기들이 빛이 난다. 일상의, 일반인 코스프레를 하고 있는 배우들은 그야말로 어마어마한 공력을 뿜어낸다. 원래 일상의 연기를 자연스럽게 잘하기가 더 어렵지 않던가. 역시나를 연발하게 하는 정재영과, 이렇게 매력 있는 배우였나를 반추하게 되는 김민희의 순수 연기는 그야말로 압권.     

홍상수의 영화는 보고 난 후에 이렇듯 생각을 잔뜩 하게 하는 힘이 있다.


(지극히 개인적인 견해로 지껄였으니 사실 관계를 아시는 분들은 소리는 안 나게 맘껏 비웃어주셔도 됩니다.)










좋은 컨텐츠를 나름 해석하며, 훌륭한 이야기꾼이 되고싶어 이야기도 만들어가는 중 입니다. 괜찮으신 분들 방문 부탁 드리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https://brunch.co.kr/magazine/accidentally

http://m.novel.naver.com/challenge/list.nhn?novelId=628943&page=1#volume1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