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영화관에 심리학자가 떴다!

<2018 심리학 읽는 영화관> 소개

  영화관 메가박스에서는 현재 매우 흥미로운 기획 실험을 한 가지 진행 중이다. 이른바 <2018 심리학 읽는 영화관>. 심리학적 함의가 풍부한 영화를 하나씩 매달 선정, 심리학자와 관객들이 함께 영화를 보는 시간을 갖는다. 영화가 끝나고 나면 이제 무대의 주인공은 영화 속 인물이 아닌, 심리학자에게로 향한다. 심리학자의 시선으로, 영화 속 인물들의 성격, 상황, 과거 등이 영화 기법들과 어우러져 빚어내는 각종 심리학적인 맥락들을 짚는 시간들이 있어, 영화를 보고 난 관객의 감상에 특별함을 더한다.



http://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432885


http://www.megabox.co.kr/?menuId=specialcontent-planning&majorCode=06&minorCode=0604



  어느 덧 다섯 번째다. <라보엠>, <파수꾼>, <월터의 상상은 현실이 된다>, <미드나잇 인 파리>에 이어 7월에 상영될 영화는 존 카니 감독의 <싱 스트리트>다. 테마는 '사랑이 성장에 미치는 효과'. 명작 영화에 흥미진진한 해설이 이어진다니 개인적으로 무척 기대가 크다. 내친 김에 2018년에 상영 예정인 나머지 영화들도 한 번 훑어봤다. 8월부터 12월까지, 차례로 <살인의 추억>, <폭스캐처>, <우리들>, <유스>, <아티스트> 가 이어진다. 잘 알려진 영화도 있고, 작품성이 훌륭함에도 미처 대중의 관심을 많이 받지 못한 수작들도 있다. 해외 영화만 있는 것이 아니라 국내 영화들도 있어, 큐레이터의 고른 안목이 빛을 발하는 듯하다.


  약 20여년 전, 인터넷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고 이제는 유튜브, 페이스북 등 SNS 시대가 되고 나니 영화에 대한 대중의 '할 거리'도 늘어났다. 과거에는 단순히 보는 것, 조금 더 나아가자면 물리적으로 가까운 지인들과 감상을 나누는 것 정도로 그쳤지만 이제 대중은 보고 난 영화들을 적극적으로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긴다.' 자유분방한 인터넷 세상의 연결과 그 특유의 동시성은 그 유희에 감칠맛을 더한다. 그런 흐름을 읽었기 때문인지, 최근 국내 주요 영화관에서는 단지 영화를 상영하는 것을 넘어, 영화 그 이상의 경험을 전달하려는 활발한 움직임들을 보여주고 있다. <2018 심리학 읽는 영화관>과 같이 말이다.



그간 심리학은 어떻게 '팔려' 왔나?



  크게 두 가지의, 전통적 경로가 있지 않았나 한다. '힐링'으로 흐르든지, 아니면 '가십'으로 흐르든지. 힐링은 두말할 필요도 없이, 심리학 전문가들의 주요 대중화 상품으로 자리잡은지 오래다. 심리상담에 대한 관심 및 저변 확대, 힐링을 주제로 한 심리학 책들의 약진 등이 대표적이다. 한편으로 심리학이 소비되던 경로는 이른바 '발칙하고 기발하지만서도, 이걸 왜 하는 거지?' 싶은 생각이 드는 각종 최신 심리학 연구들을 소개하는 기사들이다. 혹은 과학적 근거를 찾아볼 수 없는, '독심술틱한' 인터넷 심리테스트들. 가십성이 짙기에, 순간적으로 대중이 '씹고' 지나가면 그만인 가벼운 컨텐츠들이 많다. 그러고보면 참 오랜 시간 동안 변한 것은 없었다. 대중사회 속 심리학은 단기적인 진통제 처방이다. 혹은 가십거리이거나.


  그래서 작금의, 심리학과 관련된 새로운 기획들이 무척이나 반갑다. 사실 심리학은 오래전부터 문학, 영상 비평 영역에서 자주 활용되어 오던 소스다. 예를 들어 국어국문학과 수업에서 학생들이 으레 배우게 되는 비평 관점이 바로 '정신분석학적 비평'이다. 프로이트라든가, 융이라든가, 라캉이 나오는 그런 내용들. 영화라는 예술 양식 또한 심리학과 매우 궁합이 좋다. 영화에는 인물이 담기고, 인물이 처한 상황이 담긴다. 몽타쥬와 미장센, 카메라워킹을 통한 각종 기법들이 인물의 심리와 상황 및 예측들을 은밀하게 감싼다. 그래서 영화는 소설 못지 않게, 심리학적으로 파고들기 좋은 맛을 지니고 있다. 부디 더 많은 사람들이 팝콘 대신 심리학으로, 영화 즐기는 법을 맛볼 수 있기를.




앞으로도 <심리학 읽는 영화관>이 계속, 많은 대중의 사랑을 받았으면 좋겠다.
소설, 영화, 그 다음에는 과연 무엇일까? 심리학의 다음 변신이 궁금해진다.

매거진의 이전글 손가락 길이로 성호르몬을 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