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Younggi Seo Jul 14. 2019

Infant Cognition

: Acquired or Innate?

위의 제목으로 제시된 지문의 IELTS 리딩 문제를 풀었는데, 총 13문제 중에 4개 맞고 나자빠져서 복습 겸 지문의 내용을 환기시켜본다.


지문의 부제는 아래와 같다.


If infants are born with cognitive abilities, genetics may play a more significant role in development than environmental factors

            

만약 영아가 인지적 능력을 가지고 태어난다면, 유전학적인 요소가 아마 환경적인 요소보다 영아의 발달에 더욱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1 Throughout history; psychologists have debated whether people are more strongly influenced by genetics (nature) or their environment (nuture). Because newborns are as close to 'nature' as a human can be, they have often been the object of study by experts attempting to better understand the cognition, infants acquire intelligence only through the physical actions they perform with objects around them.


지문의 발단은 대강 이렇다. 천성적으로 타고난 인지 요소(유전학)보다 후천적인 영향으로 인한 영아의 인지능력의 발달을 강조한 장 피아제의 이론을 근거로 하여, 영아는 오직 물리적 행위를 그들 주변의 물체와 함께 행함으로써 지능을 얻게 된다고 한다.

Q1. According to Piaget, infants gain knowledge solely through     A observing the world around them.     B interacting with things close to them.     C learning to repeat actions. (X)     D interacting with other people.


(... 첫 문단 나머지 생략...)


2 Through such actions, infants learn cause and effect and begin to realise that their own action can create subsequent reactions. To Piaget, these were no more than conditioned responses to the connections between newly acquired actions and their effects on objects, and because these actions are undifferentiated, he believed that they were not goal-directed activities and, thus, they are not intentional. Therefore, only gradually do babies begin to realise that objects have an independent existence outside of their own perception. Piaget argured that infants have extremely limited cognitive ability until around nine months of age but reasoned that, by then, they have usually acquired the ability to recognise object permanence.


3 Piaget used object-hiding tasks to demonstrate this acquisition. For example, he would show babies an object and then hide it under a cloth or cup and analyse whether infants perceived that the object had disappeared or was merely hidden from view. Piaget based his conclusions on whether the infancts responded by removing the cloth or cup to find the concealed item. If they did, he surmised that they had at least a limited apprehension of object permanence; however, he also suggested that this ability was immature and limited because if the object was moved to another location, the infant would still try to find it by removing the original item that obscured it. Nonetheless, according to Piaget, this stage represented the first truly intelligent behaviour in human cognitive development, and believed it was the basis for all future problem solving.


피아제는 물체 숨기기 과제를 이 인지(습득)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했다. (이 인지(습득)란 다음 문장에서 언급하기를 영아가 감춰진 물건을 찾기 위해 천이나 컵을 치움으로써 반응한 과제를 통해 그들이 대상 영속성에 대해 적어도 한정된 이해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 추정했다고 하였는데, 이 '한정된 이해력'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그는 아기에게 물체를 보여주고 그것이 천이나 컵에 가리고 영아가 그 물체가 사라졌었는지 또는 시야에서 가려줬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피아제는 영아가 천과 컵을 치운 뒤 숨겨진 물체들을 찾으려고 하는지 또는 그 물체가 사라졌다고 인식하는지를 결론의 근거로 두었다. 만약 그들이 찾으려고 했다면 그는 그들이 물체의 영속성에 대해 적어도 한정된 이해력을 가지고 있다고 추측했다. 하지만 그는 이 인지 능력은 만약 그 물체가 다른 장소로 이동했을 때, 영아가 가려진 본래 물체가 제거되어도 여전히 그것을 찾으려고 시도한다면 미성숙한 한정된 능력이라고 제안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아제에 따르면 이 단계는 맨 처음 인간의 인지 발달의 지능적 행위로 대표된다고 했다. 그리고 이것이 미래의 문제 해결의 기초가 된다고 믿었다.


Q2. Why did Piaget believe infants have some understading of object permanence?      A. They had no difficulty determining what was hiding an object.      B. They recognised when an object was moved to a different location.      C. They were not deceived when an object was replaced with another.      D. They uncovered the object that had been hidden.  (o)          


Still, not everyone thought that Piaget's analysis was entirely correct. Canadian-born psychologist Renee Baillargeon's studies of cognitive development in infants challenged Piaget's beliefs. She pointed out the importance of conducting experiments and test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developmental level of infants, arguing that the limited motor skills of young infants may be responsible for their perceived lack of cognitive abilities. In other words, Baillargeon disagreed with Piaget and accused him of confusing motor skill limitations with cognitive limitations. To test this hypothesis, she focused her studies on visual tasks rather than manual tasks.


Q3. According to Baillargeon, it is important to carry out experiments that are      A. easily repeatable and objective.      B. focused on innate rather than acquired skills.      C. suitable for infants' stage of developemnt. (o)      D. undertaken with infants of varying ages.



매스는 이 정도만 들이대고, 지금부터 또 잡다한 영어 공부에 관한 썰을 풀어보고자 한다.


본인이 이 지문을 풀기 전에 어느 정도 어휘 테스트를 했는데, 생소한 단어는 거의 없었다. 이와 반대로 앞서 연습문제로 풀어본 문제들은 채점한 결과, 모르는 단어가 적을수록 더 많은 문제를 맞히는 확률을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대한민국 영어교육에서 흔히들 착각하는 공부 순서가 "단어 -> 독해"라는 명제이다.


왜냐하면, 앞서 말했듯이 어휘력이 높을수록 지문을 이해하는 데는 도움이 될 수도 있지만 이 글이 무슨 말을 하려는지 필요한 맥락의 이해와는 별개이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의 시중에 나와 있는 영어 독해 문제집을 전부 풀어 제낀다고 자신의 네이티브 영어적 뉘앙스가 늘까? 당신이 아무리 수능 영어나 편입 영어에서 만점을 받는다고 혹은 치대, 약대, 통번역 영어 시험이라 한들, 해리포터 원서를 읽는데 처음부터 무리 없이 이해가 된다고 보장할 수 있을까?


아닐걸. 해리포터 첫 두장 페이지 넘기면서, 아마 지금까지 영어를 공부한 건지, 영어시험을 위한 꼼수만 늘린 건지 한동안 자괴감에 빠져있는 그림이 빤히 보인다. 당신이 시험문제를 맞히기 위해 죽어라고 풀어제낀 스피드 리딩은 당신의 영어 감각과는 아무 상관이 없다고 감히 영여 교육자도 아닌 내가 말하고 싶다.


이유는 간단한다. 당신이 영어 독해를 하기 위해 그동안 열심히 공부한 것은 제한 시간 내에 필요한 답을 고르기 위한 요령과 그리고 함께 쌓인 해당 지문에 관한 영어적 뉘앙스의 배경지식이 아닌, 국어적 뉘앙스의 배경지식이기 때문이다. 물론 이러한 배경지식이 단순히 '해리포터'와 같은 영어 원서를 읽는데 전혀 도움이 안된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토익이나 수능 독해에서는 아주 물불 가릴 것 없이 쾌속으로 답을 찾아내면서, 겨우 미국 유아기의 아이들이 쉽게 읽는 동화 수준의 원서를 읽는 데는 헤매는 것은 왜일까?


그러니, 영어 어휘량이 독해 실력의 9할이라며, 처음부터 단어집이나 붙잡고 서술적 암기에만 그치게 하는 한국어 배경지식만 공부하지 말고, 영어 원서를 처음부터 본인의 수준에 맞는 것부터 꾸준히 읽는 습관이 정말 평생 남는 영어를 체화하는 길임에 잊지 말자. 그 이유는 알겠지만, 당신이 국어를 배울 때와 같은 단계를 거쳐야 점차 어려운 수준의 글도 굳이 생소한 단어가 많이 나온다고 낯설어하지 않고(꼭 영어에서는 어려우면, 그것이 마치 외국어처럼 느껴지는 수준에 머물지 말자라는 말이다), 대강의 맥락은 이해하면서 그저 다른 분야의 글이구나 하면서 웃어넘길 수 있는 수준이 되려면 말이다.


모든 습관은 처음이 중요하듯이 혹은 처음에 어렵더라도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라고 영어 원서를 애써 번역하면서만 보지 말고 꾸준히 읽고 몰라도 크게 말하면서 읽으면, 그러한 문장 구성력이 습득되고 영어식 사고방식(단어 배열 순서, 어순)이 몸에 체화되는 것, 이것을 우리는 한 번씩 안 들리던 영어뉴스가 명쾌하게 들린다고 말하는 '영어 귀가 뚫렸다'는 말과 같은 소리이다.


이 대한민국 영어 공부의 맹신교에 빠진 처자들아... 평생을 영어공부에 투자하고도 심지어 미국 대학 박사 학위까지 따고도 '해리포터' 수준의 원서 하나 제대로 이해 못하는 수준은 무엇...?  



 












 



































매거진의 이전글 환경 vs 의지력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