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popofilm Mar 17. 2021

[영화 리뷰] 라야와 마지막 드래곤 (2021)

동남아 배경의 판타지 어드벤처 (디즈니 애니메이션/줄거리/쿠키x)

동남아 배경의 첫 디즈니 애니메이션, <라야와 마지막 드래곤>

 픽사 영화 최초로 흑인 주인공을 내세운 <소울>, 히스패닉계 인물을 주인공으로 설정한 <코코>에서처럼 최근 디즈니는 백인 중심의 영화에서 벗어나 최대한 다양성을 반영하려는 시도들을 보이고 있다. 디즈니의 신작 <라야와 마지막 드래곤> 역시 맥락을 같이 하는데, 이 작품은 디즈니 애니메이션 최초로 동남아시아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여지껏 애니메이션 영화를 통해 쉽게 볼 수 없었던 동남아시아 문화를 디즈니의 그래픽으로 만나볼 수 있다는 것 자체가 퍽 신선하게 느껴진다. <코코>로 그려냈던 디즈니가 보여준 멕시코의 모습이 신비롭게 느껴졌던 것처럼 <라야와 마지막 드래곤> 속 동남아시아 배경도 익숙지 않은 이미지와 영상들이 가져다주는 독특한 매력이 있다.

<라야와 마지막 드래곤> 속 세계관

 <라야와 마지막 드래곤>은 동남아 지역의 가상의 섬나라 쿠만드라 왕국을 배경으로 스토리가 진행된다. 쿠만드라는 500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드래곤과 인간이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평화의 공간이었으나 살아있는 생명체의 생명을 삼켜 돌로 만들어버리는 '드룬'이 나타나면서 오랜 평화가 깨진다. 드래곤들의 희생으로 악의 세력을 막아내는 데에 성공했지만, 드래곤은 자신들의 힘을 '드래곤 젬'에 드룬과 함께 봉인시킨 채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드래곤들이 사라진 이후, 쿠만드라를 지켜주는 힘을 가진 '드래곤 젬'을 두고 사람들이 다투기 시작하면서 왕국은 5개의 부족으로 분열되어 버린다. 이 때, 각 부족들의 지역명은 드래곤의 신체 부위인 심장, 꼬리, 척추, 발톱, 송곳니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주인공 '라야'는 심장의 땅 사람이다. 오랜 갈등 끝에 '드래곤 젬'은 '심장의 땅'에서 계속 수호해왔다.

가상의 섬 쿠만드라, 분열된 왕국을 되찾기 위한 어드벤처

 주인공 '라야'가 속한 '심장의 땅'의 족장인 아버지는 분열된 왕국을 통일하고자 하는 평화의 꿈을 갖고 있는 인물이다. 그래서 호의적인 마음을 갖고 각 지역의 족장들을 자신의 땅으로 초대한다. 겉으로는 서로에게 우호적인 척 대했으나 초대받은 모든 이들은 심장의 땅에서 수호 중인 '드래곤 젬'을 빼앗으려 했고, 결국 이들의 욕심이 화를 불러와 '드래곤 젬'은 5개의 조각으로 쪼개지고, 500년간 봉인되었던 드룬이 부활해 왕국을 쑥대밭으로 만든다. 위기 속 아버지의 희생으로 생존한 라야는 왕국을 되찾고, 아버지를 구하기 위해 드래곤을 찾아 나선다.

 6년 간의 모험 끝에 한층 성장한 '라야'는 유일하게 살아남은 드래곤 '시수(목소리_아콰피나)'를 찾는 데에 성공한다. 하지만, 예상했던 것과 달리 '시수'는 드래곤임에도 그저 헤엄을 잘 치는 드래곤에 불과했고, 진중하거나 위엄 있는 성격과는 거리가 멀었다. 때문에 함께 '드래곤 젬'의 조각들을 찾아나서는 여정에서 사건에 휘말리기도 하고, 예기치 못한 일들이 계속 발생하지만 서로를 믿고 의지하며 왕국을 되찾기 위한 노력을 놓지 않는다.

왕자 No, 로맨스 No, 변화 중인 디즈니

 이번에도 어김없이 부족 족장의 딸을 주인공으로 설정하며 디즈니의 공주 스토리를 그대로 이어받는다. 하지만, 최근 변화하고 있는 디즈니의 행보가 이 설정에도 그대로 반영된다. 주인공 '라야'는 엄연히 공주 포지션의 롤이지만, 같이 합을 맞추는 왕자 포지션의 캐릭터가 등장하지 않는다.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디즈니의 공주 주인공들도 과거의 수동적인 면모에서 벗어나 극을 직접 이끌어나가는 주체적인 면모를 부각시켜 왔는데, 그럼에도 늘 왕자 캐릭터, 하다못해 로맨스 상대의 남성 캐릭터가 꼭 존재했다. <라야와 마지막 드래곤>에는 그 두 가지가 없다. 로맨스도 없고, 왕자도 없으며 주인공과 대결구도에 있는 캐릭터도, 드래곤도, 모두 여성이다. 일전에 <겨울왕국2>와 <모아나>가 있기는 했지만, 이 작품이야말로 여성 캐릭터가 중심이 되어 극을 이끄는 작품이라 할 수 있겠다.

결정적 실수, 드래곤의 괴상한 생김새

 <라야와 마지막 드래곤>이 뛰어난 수작이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스토리도의 완성도도, 캐릭터의 성격도, 모두 무난하게 감상할 수 있는 정도는 갖추고 있다. 영화의 결정적인 흠은 따로 있다. 바로 주인공 '라야'와 함께 극에서 가장 중요한 롤을 맡고 있는 드래곤 '시수'의 생김새. 시수는 드래곤임에도 얼굴이 <겨울왕국> 속 '엘사'와 판박이다. 공주 캐릭터 특유의 비정상적으로 큰 눈과 용의 느낌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얼굴의 생김새가 일종의 거부감을 일으키고, 결과적으로 영화에 대한 진입장벽 자체를 높여버린다. 아마 예고편이나 포스터만 보고, 드래곤의 작화가 거슬려 영화를 보지 않으려는 사람들도 제법 있을 것이다.

 '시수'는 동남아 지역의 상상의 동물 '나가'라는 형체에서 모티프를 가져왔다고 한다. 나가의 생김새 특징을 들어보면, 이 작품 속에서 그려낸 드래곤의 모습이 어쩌다가 이리도 끔찍한 혼종의 모습이 되었는지 약간은 이해가 된다. 하지만 이 점을 감안하더라도, 캐릭터 디자인에 성의가 없었다는 평가는 달라지지 않는다. 하물며 다른 제작사도 아니고 디즈니의 작품인데, 모두를 납득시킬 수 있는 캐릭터 디자인의 실패했다는 것은 영화의 오점으로 남을만 하다. 솔직히 영화를 보는 내내 드래곤의 괴상한 생김새가 극에 대한 몰입도를 떨어뜨렸고, 캐릭터에 정을 붙이기도 힘들었다.

뻔한 줄거리, 전형적인 감동 포인트

 <라야와 마지막 드래곤>은 신비로운 동남아 배경이 가져다주는 영상미, 그리고 기존의 디즈니 작품들과 결이 다른 배경음악, 캐릭터들의 개성에 강점이 있는 작품이다. 그 말은 즉슨, 음악과 영상미 외적인 부분에서는 완성도가 다소 떨어진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꽤나 큰 세계관을 가져온 것처럼 연출을 하고, 마블 스튜디오의 작품들을 오마주 한 듯한 장면들을 삽입하여 비장함을 더했지만 구멍 많은 설정과 매끄럽지 않은 전개는 극을 유치하게 만들어 버린다. 5개의 깨진 조각들을 찾아나서는 서사는 <어벤져스> 시리즈 속 인피니티 스톤을 차지하기 위해 싸우는 스토리와 상당히 유사한데, 이 작품은 이미 정해둔 결말에 맞춰 에피소드를 끼워 맞춘 듯한 느낌이 많이 든다. 부자연스러운 전개는 극에 대한 몰입을 떨어뜨리고, 세계관이 생각보다 비좁고 허점이 많다는 것을 여실 없이 드러낸다.

 메시지 역시 '믿음'이라는 간단명료한 주제를 꽤나 길고 장황한 서사로 풀어냈지만, 틀에 박힌 내용의 뻔함을 벗어나지는 못한다. 영상미가 설득력을 더하고, 캐릭터들의 생명력이 살아 숨쉬었기에 결말까지 무리없이 감상할 수 있는 영화라고 생각한다. 디즈니의 기술적 완성도는 말이 필요 없을 정도로 훌륭한 수준에 올랐지만, 영화 속 세계관과 스토리 구조의 탄탄함은 그를 전혀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 디즈니 작품에 여느 양산형 애니메이션 영화의 수준을 기대하지 않았을 것이기에 혹평의 목소리가 적지 않은 것이다.

작가의 이전글 [영화 리뷰] 미나리 (2021)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