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이스 때 인천은 자유학기제를 실시했다. 1학년 1학기에 시험을 보고 2학기에 자유학기제를 운영한 후 2학년때 다시 시험을 보기 시작한.
전북 완주군 봉동읍 둔산리(헥헥) 시골에 있다가 6학년 때 인천송도로 올라오며 완전 쫄았던 것도 잠시, 1년 만에 차도녀로 완전 적응하고 국제도시도 별거 없다는 것을 깨달은 그레이스는 중학교 첫 시험에서 전교1등을 빡! 찍어서 선생님들의 주목을 쫙! 받으려고 했었다.
그런데 첫 수학시험에서 두 개나 틀렸다. 시간도 부족하여 찍은 문제도 몇 있었던 듯 하다. 집에 와서 너무 속상해 찔끔찔끔 울며 '백 점 맞아 선생님들이 모두 내 이름을 알게 되길 바랬다'는 얘기를 하는 것을 듣고 그제야 내 딸을 알게 되었다. 겸손하고 조용한 척 새침을 떨지만 사실은 돋보이고 싶고 칭찬받고 싶은 욕망이 강한 아이였다.
난감했다. 대체 수학 백 점을 맞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는거지?
수학교사는 수학을 '제대로' 가르치는 게 목표인 사람이지 내가 낸 수학시험을 백 점 맞을 수 있도록 아이를 훈련시켜본 적이 없기 때문에 누가 물어보면 '열심히?'라고 밖에 답을 못 한다.
그레이스가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다 했음에도 백 점을 못 받았으니 무엇이 더 필요한지 알아내야했고 그래서 수학학원을 가보기로 했다. 원래는 세 군데 상담을 가려고 했는데 학교 앞 한군데 학원에서 테스트 보고 상담하고 나니 더 이상 돌아다닐 에너지가 남아있지 않게 되었다. 그냥 여기 다녀라.
첫 주를 보내며 '학교 끝나고 학원 시간까지 애매하게 남는 시간이 버려진다', '학원 갔다오면 피곤해서 더 이상 공부를 못한다' 등등 자지레한 불만을 털어놓기 시작하는 그레이스. 두 번째 주에는 '학원이 의미가 없다'며 안 가고 싶다는 것이었다. 이유는 이랬다.
'내가 풀 줄 알아서 풀어간 문제를 선생님이 풀어주시는 걸 또 봐야하는데 그게 무슨 시간낭비에요? 내가 못 풀어 별표 쳐 간 문제라도 그걸 내가 고민해서 풀어야지 선생님이 홀딱 풀어줘버리면 그 문제는 더이상 고민도 못하고 버려지는 문제잖아요.'
수학 문제집을 푸는 것은 문제를 맞추기 위해서가 아니라 틀린 문제를 통해 내가 부족한 부분이 어떤 부분인지 알아내기 위함이고, 그 문제를 혼자 고민하는 과정을 통해 문제풀이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이므로 빨리 해답지를 보면 안된다.
고 어릴때부터 누누이 얘기했고, 혹시 아이가 모르는 문제를 가져와도 곧장 풀어주지 않고 사고를 유도할 수 있는 질문을 살살 하고는 돌려보내곤 했던게 나였다. 어느 날은 퇴근 후 너무 피곤해 그냥 풀어줘버렸더니 아이가 왕 울음을 터뜨려서 당황하기도 했다. '힌트만 줘야지 엄마가 다 풀어버리면 어떡해. 내가 못 풀거라고 생각하는거야?'하며.
내가 이렇게 키웠으니 할 말이 있나.
한 달치 학원비 냈으니 조금 더 다니자. 시험 준비는 어떻게 하는지 한 달만 더 다니자 어르고 달래 겨우 두 달 다니고 수학학원은 바이바이했다.
'기본유형은 툭 치면 나올 정도록 완전히 익히기 위해 문제집을 한 두 권 더 풀며 연습해야했는데 내 문제풀이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했었고, 시험 전에는 온 동네 기출을 다 모아 시간 재며 시험 문제 푸는 연습을 해야 시험때 시간이 부족하지 않다'는 두 가지 교훈을 얻었다고, 이제 자기 혼자 하겠다고 했다.
학원을 안 다니면 자기주도학습, 다니면 수동적인 학습이 아니다. 학원을 다녀도 문제는 본인의 힘으로 풀도록 해줄 수 있는 분위기여야한다. 둘째 셋째를 수학학원에 보내면서 여러가지 시행착오를 겪으며 학원을 옮기기도 했고, 엄마로서 학원선생님과 커뮤니케이션 하는 방법도 배워나가야했다. 그 모든 과정에서 수학공부의 목적과 옳은 방법에 대한 믿음을 잃지 않으며, 조급함으로 아이를 다그치는 것을 지양하는 것이 엄마로서는 가장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