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염홍철 May 05. 2024

세계. 최고의 커피 문화를 선도히는 대한민국



  우리나라 사람들은 커피를 얼마나 마실까요? 한국경제연구원의 발표에 의하면, 1인당 연간 353잔을 마시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평균 하루 0.9잔꼴이지요. 세계 성인 1인당 커피 소비량은 132잔인데, 그보다 2.7배 높은 수치입니다. 커피 전문점의 시장 규모도 약 7조 원에 달하여 미국, 중국에 이어 세계 3위 수준입니다. 작년도 커피 (생두와 원두) 수입액은 13억 달러(1조 5,990억 원)로 전년 대비 42.4%가 증가한 것을 보면 급속도로 커피 소비가 늘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이 공개한 2020년 기준 커피 브랜드 매출액은 스타벅스가 1위로 1조 8,695억 원입니다. 2위인 투썸플레이스의 3,288억에 비해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요. 스타벅스는 1999년 1호점으로 이화여대점이 개점한 이래, 작년 현재 1,700개의 점포로 확장되었습니다. 특이한 것은 이와 같은 브랜드 커피점을 제외하더라도 지역의 구석구석에까지 대규모 커피 전문점이 나름대로 특색을 가지고 문을 열어 멋진 ‘커피 문화 공간’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1896년 아관파천 당시 고종이 최초로 커피를 마셨다는 기록이 있으나, 최근의 뿌리는 70~80년대의 음악 DJ가 신청곡을 틀어주던 청바지 세대들이 만들어 낸 ‘다방문화’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습니다. ‘커피 한 잔을 시켜놓고 그대 올 때를 기다려 봐도...’로 시작되는 펄시스터즈의 ‘커피 한 잔’의 노랫말에서도 그 당시 커피가 젊은 층 문화를 대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커피와 관련하여 몇 가지 장면을 소개하면 하나의 문화로 정착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침 출근길 빌딩 앞에는 커피 테이크아웃 잔을 들고 출근하는 무리들을 발견할 수 있고, 점심시간에도 점심 식사를 커피 전문점에서 브런치 세트로 대신합니다. 저녁 귀갓길에 차를 타고 도심을 지나다 보면 불이 환히 켜진 길가의 커피숍 안에 젊은이들이 노트북을 들여다보고 앉아있거나 MP3를 귀에 꽂고 독서 중인 사람들을 투명 유리창을 통해 쉽게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코피스족 (커피 전문점을 사무실로 삼아 업무를 보는 사람), 카페맘 (자녀를 학교에 보낸 뒤 커피 전문점에서 교육 정보를 교환하는 엄마들), 카페브러리족 (커피점을 도서관처럼 활용하는 사람) 등의 신조어가 속속 나오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커피값은 외국에 비해 비싼 편입니다. 하지만 커피를 마시면서 누리는 효용은 단순한 커피 원가로 계산될 수 없습니다. 커피의 맛을 보는 소비 행위 자체에서 느끼는 만족감이 더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가정도 직장도 아닌 제3의 공간인지라 해방감과 색다른 긴장감을 동시에 누리는 것입니다. 이것이 ‘파노플리 효과 (Panoplie Effect, 개인이 소비하는 재화나 서비스를 통해 특정 집단에 소속된 듯한 느낌을 갖게 만드는 효과)’를 창출하는 것이지요.


  우리나라 사람들은 무엇에 꽂히면 종주국보다 더 깊고 넓게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성리학도 중국이 종주국이지만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더 깊이 연구되어 중국 송(宋) 대의 성리학을 능가하게 되었지요. K-컬처의 하나인 팝, 클래식, 영화, 음식은 물론이고 여자 골프 같은 스포츠도 종주국을 뛰어넘어 세계 최강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커피의 과소비를 지적하는 사람도 있지만 커피를 통해 창의적인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내고, 커피 종주국에서 마시지 않는 ‘아이스커피’를 겨울에도 마셔대는 한국 젊은이들의 당당한 모습에서 오히려 희망을 느낍니다.


작가의 이전글 자본주의와 민주주의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