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염홍철 Mar 31. 2024

2050년 고용시장은 어떻게 변할까?


  2050년의 고용시장을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로봇이 거의 모든 분야의 일을 바꿔놓을 것으로 전망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이러한 견해는 엇갈리지요. 한쪽은 10~20년 이내에 수십억 명의 잉여 인력이 될 것으로 전망하지만, 다른 견해로는 자동화가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는 의견도 있지요. 그러나 답하기 매우 어렵습니다.


  오늘은 뇌과학자나 로봇 전문가가 아닌 역사학자의 분석을 통해 향후 고용시장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그는 다름 아닌 <사피엔스>의 저자 유발 하라리 교수입니다. 하라리 교수에 의하면 19세기에도 자동화가 대량 실업을 야기할 것이라는 공포가 있었는데 지금까지 현실로 닥치지는 않았다는 것이지요. 그러나 이번에는 사정이 다를 것이라고 조심스러운 전망을 하고 있습니다. 19세기에는 농업과 산업 분야의 수작업이 인지적 기술이 필요한 새로운 서비스직으로 이전하였는데, 지금은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인지적 기술인 학습과 분석, 의사소통, 특히 인간의 감정을 이해하는 능력까지도 AI가 인간을 초월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앞으로는 운전사, 은행원, 변호사, 의사까지도 AI가 대체할 수 있습니다. 인간만이 가지고 있다는 ‘직관 능력’을 AI는 ‘패턴인식(반복되는 패턴을 인식)’으로 대체하는데 이것은 인간을 능가한다고 하지요. AI는 적절한 센서만 갖춘다면 인간보다 훨씬 더 정확하면서도 믿을만하게 일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유발 하라리 교수는 AI 의사는 수십억 명의 사람들에게 훨씬 저렴하면서도 질 좋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AI 운전자는 지금에 비해 90퍼센트 가까이 교통사고 사망자를 줄일 수 있다고 했습니다.


  과거와는 달리 새로운 일자리는 모두 고도의 전문성이 필요할 가능성이 높고, 따라서 비숙련 노동자의 실직 문제를 해결할 수 없습니다. 1920년 농업이 기계화하면서 해고된 농장의 일꾼은 트랙터를 생산하는 공장에서 새 일을 찾을 수 있었고, 1930년 실직된 공장 노동자는 슈퍼마켓의 현금 출납원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2050년의 노동자들이 새 일을 찾기란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이 하라리 교수의 전망입니다.


  2050년에는 ‘평생직장’이나 ‘평생직업’이라는 말은 없어질 것입니다. 여기에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AI로 인해 남아도는 운전자, 은행원, 변호사, 의사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일단은 ‘보호해야 할 궁극의 목표는 사람이지 일자리가 아니다.’라는 주장에 공감해야 합니다. 그러나 대량 실직 상태는 정치적으로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것이 초래할 수 있는 사회적·정치적 혼란은 상상을 초월할 것이고 무섭기까지 합니다. 이 상태를 정부나 정치권에서 방치할까요? 틀림없이 정치적 판단을 할 것입니다.


  정부도 AI와 로봇에서 얻을 수 있는 긍정적 효과를 포기할 수 없으므로 실직 자체를 막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다만 정부는 실직의 충격을 줄이고 재적응에 필요한 시간을 벌기 위해 자동화의 속도를 늦추는 방법입니다. 정부의 규제를 통해 이것을 조정할 수 있고, 이런 조치를 통해서 새 일자리를 만드는 데 필요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때 정부는 평생교육이나 돌봄 서비스 분야를 지원하고, 불가피한 전직 기간에 필요한 사회 안전망을 제공해야 하겠지요. 예를 든다면 전직을 위한 재교육을 하는 동안 자신과 가족을 부양하는 비용을 정부가 지원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한다면 이미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의 정부 모토인 ‘일자리가 아닌 노동자를 보호하라.’라는 정책 추진과 맥을 같이하는 것이고 이를 위해서는 획기적인 사회경제적 제도 변화와 정책 수정이 불가피하지요.


작가의 이전글 고독, 외로움, 그리고 자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