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The VIBE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용우 Jan 01. 2018

급식체로 병드는 공동체

말(話)에 개성이 있다.  유행어에 순응하며 사회의 개성은 병들었다.

'급식체'가 열풍이다.

'아재'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급식체를 알아야 한단다.

'급식'체라고 해서 청소년들만 사용하는 언어인 줄 알았으나, 꽤 넓은 연령층이 급식체를 사용하고 있었다.

사람들이 사용하는 말이 점점 비슷해져 간다.


자고로 언어는 한 인격(人格)의 개성(個性, 개인의 성품)을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다.

그 어떤 두 사람도 자라온 환경이 완벽히 일치할 수 없고, 생각과 견해 또한 100% 일치할 수 없다.

그렇기에 모든 개인은 개성을 가진다(가져야 한다). 그래야 남이 아닌 내가 살아가는 생이 가치가 있다.

그런 개성의 기본이 되어야 하는 언어가 similarize 되는 건 분명 큰 문제다.


개성을 잃어가는 많은 이들은 자신과 비슷한 사람만을 보고 세상을 말한다.

점점 '다름'이나 '새로움'을 불편해하고, 무서워한다.

지구촌에서 일어나는 많은 폭력과 부조화는 여기서 시작된다.


'성급한 공동체주의', 또는 '개인주의의 결핍' 쯤으로 설명될 수 있는 이 사회.

혹시, 개인을 부각해야 할 언어가 개인을 지우고 있는 건 아닐까.

매거진의 이전글 마지노선(Maginot line)과 9부능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