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도헌 Dec 20. 2019

단단히 준비된 아시아 전사, 림킴(Lim Kim)

신보 ‘Generasian’, 정체성에 매몰되지 않으려면


과격한 'Sal-Ki'로 김예림을 살해한 림킴은 < Generasian >으로 본인의 이미지 변신이 즉흥적인 일탈이 아님을 증명하려 한다. 얼마나 독한 결심인지 이름과 배경 지식을 가리면 그 누구도 과거의 그가 < 슈퍼스타 K3 >의 투개월로 데뷔한 솔로 가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없을 정도다. 유년기 유학 경험으로부터 발견한 '동양'과 '여성'의 정체성 아래, 거칠고 파괴적인 선동과 실험을 이어가는 림킴에게선 일단 '단단히 준비된' 모습이 포착된다.

'민족요'의 수미상관 구조 속 노래들은 확실히 충격과 공격, 전복을 의도하고 있다. 긴 공백기의 내면 탐구 과정을 호기롭게 '신세계'라 선언하는 '민족요(Entrance)'의 우리 가락부터 '아시아 현상'을 노래하는 'Yellow', 인더스트리얼으로부터 잔뜩 벼린 날붙이들의 거친 충돌 'Digital khan'과 신비로운 'Mong', 'Yo-Soul'까지. 프로듀서 노 아이덴티티(No identity)와 림킴은 전에 없던 소리와 전에 없던 콘셉트를 향해 거침없이 진군한다.


변화의 중심축이 잘 잡혀 있어 그 결과물도 나쁘지 않다. '호접몽'의 개념을 빌린 'Mong'과 마법(Magic)의 동양 개념 'Yo-Soul'의 신비로운 멜로디에서 림킴은 자연스러운 뮤즈가 되어 최적의 가창을 들려준다. 본인이 보컬보다 더 자연스럽다고 밝힌 랩도 'Sal-ki'에 비해 많이 발전했다. 일본 교복, 조신함, 중국 경극 등으로 희화화된 동양 여성의 고정관념을 비틀어 반항하는 'Yellow'의 삐딱함, 'Digital khan'의 당당함 모두 무리 없이 소화한다.

유교 문화권 하의 억압적인 젠더 구조, 가부장제 사회 속 고통받는 한국 여성들에게 림킴의 행보와 음악은 상당한 카타르시스로 다가온다. 동시에 < Generasian >은 무국적을 지향한다. 인터넷 시대 '디지털 유목민'을 유목 민족의 지도자 '칸'으로 격상하여 'Digital Kahn'이라 선포하고, '민족요(Entrance)'를 제외한 모든 곡을 영어 가사로 쓴 것이 그 증거다. 언뜻 장점 같지만, 언어나 문화 등 민족적 색채를 더 강화하는 것이 최근 세계 시장에서 더 호응을 끌어냄을 고려해보면 단점이다.


림킴은 수많은 아시아 여성 뮤지션들의 발화에 분노와 전통의 언어를 더하며 표현의 가능성을 확장했다. 우리의 민속 음악, 실험적인 테크노, 힙합을 자유로이 풀어내는 모습은 영국의 엠아이에이(M.I.A), 아프리카 토속의 리듬을 전자음으로 풀어낸 뉴욕의 제이린(Jlin)을 연상케 한다. 아시아의 경우 대만의 아리스토파네스(Aristophanes) 등 중화권 위주로 많은 아티스트들이 정체성을 당당히 표현하며 편견에 맞서고 있는데, 림킴이 이 흐름을 영리하게 포착했다.

아티스트 개인에게 < Generasian >은 훌륭한 '전세 뒤집기'지만 그것이 우리 세대에게 '지속 가능한' 작품인지에 대해선 물음표가 붙는다. 대개 독특한 콘셉트로 승부하는 아티스트들은 구성의 처음부터 끝까지 전권을 꽉 쥐고 있는데, 림킴의 '동양 여성'은 자주적인 모습 아래 앞서 언급한 레퍼런스와 프로듀서의 색채가 꽤 짙다. 거친 신생 혁명 여전사의 성공 여부는 정체성의 활용과 정체성에 매몰되는 것 사이의 진지한 고민에 달려있다.





매거진의 이전글 맥 밀러 < Circles >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