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딸에 대하여> 리뷰
레즈비언 딸, 그의 동성 연인과 함께 살게 된 50대 중년 여성의 소리 없는 외침이 스크린을 뚫고 나온다. <딸에 대하여>는 성소수자와 이를 바라보는 엄마의 이야기로 시작한다. 하지만 그게 끝이 아니다. 치매 노인 등 사회의 가장자리에 놓인 이들에게 시선이 옮겨지고, 이야기는 확장된다. 혐오와 배제의 세상 속에서 이 중년 여성은 무엇을 바라보고 있는가! 그리고 그 끝에는 무엇이 기다리고 있는가!
엄마(오민애)는 속이 뒤집힌다. 학창 시절 공부도 잘해 교수는 아니지만 대학 강사로 밥 벌어먹는 줄 알았던 하나밖에 없는 딸 그린(임세미)의 전화 한통 때문이다.
살던 집을 빼야 한다는 딸의 이야기에 대출을 알아봤지만 쉽지 않다. 엄마는 하는 수 없이 그린에게 집으로 들어오라고 말한다. 그 말인즉, 딸과 동거 중인 동성 연인 레인(하윤경)도 함께 산다는 걸 허락한다는 말이다. 맞다. 딸은 레즈비언이다. 성소수자인 딸을 인정하고 싶지 않은 마음은 굴뚝 같은 엄마지만 세상사 뜻대로 되는 게 어디있나. 그녀의 직장인 요양 보호 시설도 마찬가지다. 담당 치매 노인 제희(허진)를 잘 보살피기 위해 노력하지만, 시설 관리자는 사사건건 트집만 잡는다. 그러던 어느 날, 엄마는 레인에게 동료 강사의 부당해고에 분노하며 생계는 뒷전이고 투쟁에 앞장서는 딸의 이야기를 듣는다.
<딸에 대하여>는 너무나 가까워서 다 알고 있는 것 같은 딸을 새롭게 알아가고 이해하는 과정을 그린다. 그것도 조심스럽고 섬세하게. 말을 뱉기보다 삼키는 엄마의 침묵은 생각의 여지를 만들고, 그녀의 시선은 이해라는 물꼬를 틔운다.
제목 그대로 부당한 일에 참고 견디며 살아가는 게 미덕이라 여기는 엄마는 자신과 정반대의 길을 가는 딸에게 이렇다 할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 수긍이 아닌 가시 박힌 딸의 말을 듣고 싶지 않아서다. 대학교 측에 반기를 들지 말라는 말에 그린은 “엄마 같은 사람들이 못 하게 막고 있다고 생각은 안 해?”라는 말로 딱 잘라 말한다. 한 마디도 지지 않는 딸의 당당함에 엄마는 한숨과 침묵으로 일관하지만, 이런 부딪힘은 오히려 자신과 다른 딸을 알게 되는 계기가 된다. 더불어 딸, 그리고 딸의 동성 연인 레인과 동거를 하면서 자의 반 타의 반 이들에게 향한 시선은 영화의 가장 중요한 이해의 첫 발걸음이 된다.
엄마의 행동은 가부장적인 사회 안에서 철저하게 교육된 바를 실행에 옮기는 것에 기인하지만, 그 안을 살펴보면 혼자서 살아가기엔 힘들고 벅찬 사회의 가장자리에 사는 걸 걱정하는 마음이 담겨있다. 누구나 어떤 대상이든 사랑은 할 수 있지만, 사회가 지정한 부부, 가족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현실, 그 제도 밖에 머물러야 하는 딸의 외로운 미래가 그녀의 눈엔 선하기 때문. 그런 의미에서 엄마는 딸과 레인의 관계를 ‘소꿉장난 같은 거’라고 표현한다.
극 중 엄마의 얼굴에 드리워진 피곤함은 딸을 향한 걱정뿐만이 아니다. 자신의 든든한 노후 보험쯤으로 생각했던 딸의 보살핌을 받지 못할 거라는 공포감도 한몫한다. 이 불안의 시작은 과거 좋은 일을 많이 하며 이름을 건 재단까지 설립했지만 가족 없이 늙음과 치매에 주저앉아 요양 병원 신세를 지는 제희다. 엄마는 혈연관계가 아님에도 지나칠 정도로 제희를 돌본다. 어찌 보면 그녀의 노력은 자신이 제희를 대하는 것만큼 사람들도 자신에게 그래 주길 바라는 보상 심리가 담겨있다. 이는 자신 또한 제희의 삶을 살 수 있다는 공포를 잊기 위한 자기 합리화처럼 보인다.
조금 특별한 모녀간의 이야기는 뒤늦게 찾아온 엄마의 성장통 이후 혼자가 되는 게 무섭고 벌써 그런 상황에 놓인 이들, 힘도 능력도 없어 누군가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이들에게 놓인 현실적 이야기로 확장한다. 영화는 누군가에게는 행복한 삶이지만 누군가에게는 고통과 불안한 삶이 될 수 있다는 역설, 사회 제도 반대편에 놓인 이들의 삶을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고 이해해야 하는가에 대한 생각을 전한다. 감독은 여기서 더 나아가 가족, 혈연 간에서 벗어나 같은 처지에 놓인 이들의 연대 중요성도 설파한다. (후반부 주요 네 인물들이 보여주는 모습을 보면 이를 알 수 있다.)
영화는 한 개인의 고민으로 시작해 사회적 고민의 영역까지 생각하게 만들고 관객을 그 건강한 고민에 빠뜨린다. 이를 가능하게 한 건 이미랑 감독의 섬세한 연출력 덕분이다. 김혜진 작가의 동명 소설을 영화화한 이 작품의 가장 큰 걸림돌은 일인칭 화자(엄마)의 내면 독백으로 구성된 부분을 어떻게 영상으로 표현할 것인가다. 텍스트로 표현된 이 부분을 감독은 엄마의 미세한 표정 변화와 행동, 이를 담아낸 카메라 구도와 조명 등으로 텍스트를 오롯이 영상으로 변환한다. 이를 잘 보여주는 장면 중 하나가 엄마와 레인이 식탁에서 대화로 포장한 기싸움을 벌이는 장면인데, 미세한 카메라 앵글로서 누가 이 대화의 우위를 점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표현한다. 봉테일 저리가라다.
이런 감독의 의도가 빛을 발하는 건 배우들의 연기다. 오민애, 허진, 임세미, 하윤경 등 주요 인물들은 자신이 맡은 역할을 표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 느낌이다. 큰 사건보단 순간의 감정 동요에 따른 미세한 차이의 연기가 빛을 발한다. 그 중심에는 역시 작년 부산국제영화제 올해의 배우상을 수상한 오민애가 있다.
그녀는 1부터 10까지의 정수가 아닌 소수점 차이를 감정으로 보여주는 섬세한 연기를 펼친다. 집중하지 않으면 볼 수 없을 정도의 디테일을 잡아가며 엄마가 가진 복잡다단한 감정을 온몸으로 표현하는데, 그동안 다수의 작품에서 오민애 배우의 연기를 봐왔던 관객들도 새로움을 느낄 정도. 심지어 부당하다고 느끼는 것에 대항하는 딸 그린의 완고함과 다른 엄마만의 완고함을 극 중에서 너무나 잘 표현한다. 이 밖에도 강애심, 이창훈, 장선 등 조연 배우들의 연기도 너무 좋다.
<딸에 대하여>는 대상과 시선에 따라 ‘성소수자에 대하여’, ‘치매 노인에 대하여’, ‘중년 여성에 대하여’라고 바꿔 부를 수 있다. 그만큼 이 영화는 한 개인과 가족의 이야기만이 아닌 우리 모두의 이야기인 셈. 부디 이 작품을 통해 나와 다른 삶을 사는 이들을 이해하는 시간을 갖길 바란다. 그 작은 노력이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사랑의 씨앗이 될 거니까 말이다.
덧붙이는 말: 스포일러라서 자세히 설명할 수는 없지만, 오민애 배우의 마지막 엷은 미소는 내년 따뜻한 봄이 올 때까지 잊히지 않을 듯하다. 따뜻하고 열린 시선으로 바라보길 바란다.
평점: 4.0 / 5.0
한줄평: 다름을 바라보는 이해의 시선, 그 끝은 ‘사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