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호세 Sep 15. 2024

정답 없는 세상에서 리더로 살아가기

1. 부모가 행복해야 아이가 행복하듯이 조직에서도 행복하지 않은 리더가 구성원의 행복을 지원하며 이끌어 갈 수 있을까??? 더 우려스러운 것은 이러한 리더를 보면서 구성원들도 더 이상 리더가 되기를 희망하지 않는 리더 포비아 현상이 함께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2. 대다수의 리더들은 어느 날 갑자기 리더로 보임하게 된다. 일을 잘했고, 그래서 인정을 받았고, 그러다 보니 리더가 된 것이다. 리더로서 역할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해 볼 겨를조차 없이 ‘느닷없이’ 리더가 되었다고 말한다.



3. 하지만 어느 순간 갑자기 리더가 된 것은 아니다. 담당 분야에서 경험과 전문성이 축적되었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갖고 헌신하며 기여한 결과, 조직 성과에도 기여도가 높았고 인정받았기에 ‘어느 순간’이 아닌’그 순간’에 리더가 된 것이다.



4. 리더가 되면 달라지는 것들이 있다. 스스로 일을 디자인해야 하고, 내가 잘하는 것을 넘어 다른 사람이 잘하도록 도와야 하며, 때로는 잘 모르는 영역에서도 의사결정을 하고 실행되도록 이끌어야 한다. 세상은 점점 낯선 영역에서의 삶을 요구한다. 더 이상 정답 없는 시대, 과거의 질서가 통하지 않는 시대로 접어들었다. 이것을 뷰카(VUCA;Volatile, Uncertainty, Complex, Ambiguous) 시대라고 한다. 리더로서 책임은 커졌고, 부담과 불안도 같이 늘어난다.



5. 링크드인에 따르면 사람을 채용하는 방식에 매우 급진적인 변화가 있다고 한다. 과거에는 어느 분야에서 어떤 일을 했는지에 대한 업무경험이 가장 중요했다. 이 사람이 얼마나 유능했는지, 미래에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는 방법이 결국 과거에 어떤 일을 했는지를 통해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6. 그런 데 이제 무게 중심이 변화하고 있다. 일 자체가 수시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존에 익숙하고 잘했던 일과는 질적으로 다른 일이 생겨나고 있다. 그래서 기업들이 관심 갖는 것이 바로 스킬이다. 과거에 무엇을 했는지에 멈추지 않고 그래서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다. 미래의 새로운 일이란 결국 어떤 스킬의 조합으로 할 수 이는 가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7. 우리 조직의 미래 변화를 고려할 때 새롭게 요구되는 미래 역량이 무엇인지 리더 스스로 정의할 수 있어야 한다.



8. 리더로서 구성원들에 대한 평가의 본질은 이번 한 번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더 좋은 성과와 성장을 만드는 데 있다. 회사는 망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생존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구성원 입장에서는 더 성정하고 경쟁력 있게 일할 수 있는 고용가능성이 중요하다.



9. 사회생물학자이자 행동생태학자인 최재천 박사는 ‘공감은 길러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무뎌진다’고 말한다. 우리는 모두 공감능력을 갖고 태어나는데 삶의 과정을 통해, 또 권력과 지위가 올라가고 경험이 축적되면서 오히려 우리의 공감 능력이 무뎌지고 있다는 것이다. 리더로서 자신이 지금 어떤 감정과 상태에 있는지 느끼고 구성원의 아픔과 열망을 알아차리는 것, 이것이 공감이고 혁신의 시작이며 이 시대 리더에게 가장 필요한 리더십 행동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미술관에 가고 싶어 졌습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