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노랑 Feb 18. 2024

애잖아, 그리고 나는 어른이잖아

결국 다정함이 살아남는 사회

주말 오후 붐비는 지하철. 평일 출퇴근 시간 마냥 사람이 가득하다. 앞, 뒤, 양 옆 할 것 없이 사람이 빼곡해 휴대폰 하나 꺼내 보기도 힘들다. 인내하는 마음으로 인상을 쓴 채 그저 종착역에 도착하기만을 기다렸다. 참을 인 세 번쯤 새기고 나니 그래도 어느덧 목적지에 도착했다. 하지만 또 사람들이 워낙 많이 내리는 역이라 좁은 앞다투어 지하철 문을 향해 나아간다. 내린 후에도 에스컬레이터를 타기 위해 조금 빠른 보폭으로 걸음을 옮기는 사람들. 나도 그중 하나다.


그런데 인파 가운데 뻥 뚫린 구멍 하나가 생겨났다. 내 허리춤까지 올랑 말랑한 여자 아이가 엄마 손을 잡고 걷고 있었다. 바로 우뚝 걸음을 멈추고 엄마와 아이가 먼저 지나가게끔 비켜주었다. 그러자 아이 엄마가 날 보더니 꾸벅 가볍게 인사를 하고 갔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딱 가벼운 목례.


그 순간 마음속에 풍선이 두둥실 부풀어 올랐다. 그 풍선에 구겨졌던 미간은 다시 살아났고 얼굴엔 미소가 은은히 퍼져나갔다. '그래, 이게 사람 사는 맛이지' 따뜻한 생각과 함께.


그리고 내가 딱 저만했을 때, 엄마와 버스를 타던 때가 불현듯 기억났다. 자리가 없는 만원 버스를 탈 때면 처음 보는 할머니들이 '애기야 이리 와' 하시며 선뜻 무릎을 내어 주시곤 했다. 또랑또랑한 목소리로 감사합니다 인사한 후 폴짝 할머니 무릎에 앉아 편안하게 바깥 구경을 했다. 그 무릎으로 전해진 따뜻한 온정이 여전히 내 안에 남아있다. 


요즘은 사는 것이 팍팍하다 보니 눈총이 아이들에게까지 따갑게 닿는다. 한 때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자극적인 엄마-아이 진상 스토리가 우후죽순 올라오기도 했었다. 물론 정말 과한 경우도 있었지만 오히려 온 나라가 ‘엄마-아이’라는 한 카테고리를 하나하나 손가락질한 탓에 현실에서는 평범한 엄마-아이조차 괜히 약자가 되어 어딜 가든 맘 편히 있지 못하고 구석 한켠 겨우 자리만 잡은 채 있게 되었다.


아이 하나를 키우기 위해서는 온 마을이 동원되어야 한다는 말이 있다. 어린이는 어린이다. 에너지가 넘쳐 뛰고 싶을 때가 많고 높고 맑은 목소리가 때론 시끄러울 수 있다. 기억나지 않겠지만 우리도 그렇게 어른이 되었다. 어린이에게 조금씩 더 다정해보는 건 어떨까. 공공장소의 평화를 뚫고 나오는 아이들 소리에 나도 한 번씩 불쑥 짜증 날 때가 있다. 그럴 때마다 이 한마디로 툭 털어버리려 한다. ‘애잖아’ 잠깐 뛴다고 잠깐 시끄럽다고 지구가 멸망하지 않으니까.


최후의 승자는 선한 사람이다.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

이 말을 굳게 믿기도 하고 꼭 이 말이 진실이기를 간절히 바란다. 그렇기에 최대한 상냥하고 친절한 누군가가 되려고 매일 노력한다. 콜센터 상담원과 통화를 종료할 때 굳이 덧붙이는 ‘오늘 설명 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설날에 방문한 식당을 나서며 건넨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나의 작지만 적극적인 움직임이 닿아 좀 더 다정한 사회가 되기를 바라며 오늘도 감사합니다.

작가의 이전글 <2024 작심한달> 챌린지 함께 해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