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금운사 Mar 21. 2023

1> 與隋將于仲文詩(여수장우중문시)

漢詩 工夫(한시 공부)

與隋將于仲文詩

(여수장우중문시) / 수나라 장수 우중문에게 주는 시

- 乙支文德(을지문덕) -


神策究天文

○●●○○

(신책구천문) / 신묘한 계책은 천문을 연구하였고


妙算窮地理

●●○●●

(묘산궁지리) / 기묘한 꾀는 지리를 통달하였네.


戰勝功旣高

●●○●○

(전승공기고) / 전쟁에 이겨 공이 이미 높으니


知足願云止

○●●○●

(지족원운지) / 족함을 알고 그만둔다 말하길 원하노라.


이 시는 오언절구(五言絶句)로 구체시(舊體詩)에 해당한다. 을지문덕이 활동하던 시기는 아직 당나라의 근체시(近體詩)가 제대로 정립되기 전이다. 근체시(近體詩)는 구체시(舊體詩)에 비해 압운(押韻)과 평측(平仄)이 엄격하게 지켜지는 형식인데, 이 시는 오언절구(五言絶句) 고유의 평측(平仄)도 없고, 압운도 측성(仄聲)인 상성(上聲)으로 되어 있다. 위 시에 표기된 ○는 평성(平聲)이고, ●은 측성(仄聲)이다. 기승전결(起承轉結)의 4구 중 승구(承句)의 마지막 자(字) 리(理)와 결구(結句)의 마지막 자(字) 지(止) 자(字)가 운(韻)이며 지(紙) 자(字) 운목(韻目)에 속한다. 절구시(絶句詩)의 대부분 평성(平聲) 압운(押韻)을 하는데, 이 시의 경우 상성(上聲) 압운(押韻)을 한 것이 특색이다.

 ★ 을지문덕(乙支文德) : 고구려 영양왕(嬰陽王) 23(612)년 때 수나라와의 살수대첩을 성공한 장수. 생년과 몰년 모두 미상이며, 심지어는 관직(官職)까지도 불분명하다. 612년 수나라의 양제(煬帝)는 113만의 대규모 군대를 동원해 고구려를 공격하였다. 육군은 40개의 부대로 편성하였는데, 각 부대를 군(軍)이라고 하였다. 우중문(于仲文)과 우문술(宇文述) 등은 40개의 군 중에서 9군을 지휘하였다. 9군의 병력 수는 30만 5천 명이었다. 출발할 때 인마(人馬) 모두 100일 치의 식량을 지급받았다고 한다. 별도의 군수 보급 없이 압록강 서쪽까지 빠른 속도로 행군하도록 한 것이다. 그 과정에서 무게를 못 이긴 병사들이 식량과 무거운 장비를 버리고 땅에 묻곤 했다. 우중문 진영을 찾아가 거짓 항복을 꾸며 말하면서 그들의 동태를 살피고, 현장에서 구사일생으로 도망하여 연신 거짓 패배로 우중문의 추격을 7월 24일에 살수(薩水)까지 유도하였다. 이 시기에 우중문에게 이 시를 보냈다고 한다. 살수에서 대승을 거두고 수나라 군대를 추격하여 섬멸하여 2,700여 명만 살아 돌아갔다. 당시 동아시아 최대의 국제전(國際戰)으로 중국의 주인이 수(隨)에서 당(唐)으로 바뀌는 계기가 되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