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금운사 Apr 13. 2024

53> 別李浦之京(별이포지경) / 이포를 서울로 작별하

漢詩 工夫 (240408)

別李浦之京(별이포지경) / 이포를 서울로 작별하며

 - 왕창령(王昌齡)


故園今在灞陵西

고원금재파릉서

●○○●●○◎

고향은 지금 파릉 땅의 서쪽인데


江畔逢君醉不迷

강반봉군취불미

○●○○●●◎

강가에서 그대 만나 취했으나 혼미하지 않네.


小弟隣莊尙漁獵

소제린장상어렵

●●○○●○●

이웃 장원 어린 동생 아직 고기 잡고 있으리라


一封書寄數行啼

일봉서기수행제

●○○●●○◎

편지 한 통 보내려니 몇 줄기 울음이 나네.

* 古園(고원) : 옛 동산. 옛집. 고향.

* 灞陵(파릉) : 일반적으로는 패릉(霸陵)을 말함. 강촌대묘(江村大墓)로도 불리며, (서한西漢) 문제(文帝) 유항(劉恒: BC.203~BC.157)의 능침(陵寢)을 말함. 지금의 섬서성(陝西省) 서안시(西安市) 파교구(灞橋區)에 있음.

* 江畔(강반) : 강변(江邊). 강가

* 隣莊(린장) : 이웃 마을. 이웃 별장(別莊).

* 漁獵(어렵) : 고기잡이. 狩獵(수렵 – 사냥)

此(차)는 送別而作也(송별이작야)라. 故園(고원)이 在於灞陵之西而江畔(재어파릉지서이강반)에 與君相逢而把酒相勸(여군상봉이차주상권)하야, 醉不至於迷(취불지어미)라. 小弟隣莊(소제린장)에 尙其漁獵而今寄一封書(상기어렵이금기일봉서)하고, 不禁數行之淚耳(불금수행지루이)라.

이 시는 송별하면서 지은 것이다. 고향이 파릉의 서쪽에 있어서 강가에서 그대와 만나 술잔을 잡고 서로 권하여 취해도 미혹함에 이르지 않은 것이다. 작은 동생이 이웃 장원에서 아직도 고기를 잡을 것이다. 이제 한 통의 편지를 그에게 붙이고 몇 줄기 눈물이 흐름을 금할 수 없었던 것이다.

○ 第一句(제1구)는 言故園之所在也(언고원지소재야)오. 二句(2구)는 言逢君而醉不迷也(언봉군이취불미야)오. 三句(3구)는 言弟之隣莊(언제지린장)에 漁獵爲事也(어렵위사야)오. 四句(4구)는 言寄書而下淚也(언기서이하루야)니, 並是凄涼句語也(병시처량구어야)로다.

○ 첫 구절은 고향의 소재지를 말했고, 둘째 구절은 그대를 만나 취해도 정신은 흐리지 않음을 말했고, 셋째 구절은 동생이 이웃 장원에서 고기 잡는 일을 말했고, 넷째 구절은 편지를 부치며 눈물을 흘린 것을 말했으니 모두 처량한 말이다.

王昌齡(왕창령698-755) : 자 소백(少伯). 강령(江寧) 지금의 강소성(江蘇省) 남경(南京) 출신. 727년 진사에 급제하여 비서성 교서랑(秘書省校書郞)이 되었고, 734년 박학굉사(博學宏詞)의 시험에 합격하여 범수(氾水) 지금의 하남성(河南省) 성고현(成皐縣)의 위(尉)가 되었다. 그러나 소행이 좋지 못하다 하여 강령의 승(丞), 다시 용표(龍標) 지금의 호남성((湖南省) 검양(黔陽)의 위(尉)로 좌천되었다. 왕강령 ·왕용표로 불리기도 하는 것은 그 임지의 이름을 딴 것이다. 안녹산(安祿山)의 난으로 고향으로 돌아갔으나, 자사(刺史)인 여구효(閭丘曉)에게 죽음을 당하였다. 그의 시는 구성이 긴밀하고 착상이 청신하며, 특히 칠언절구에서 뛰어난 작품이 많다. 여인의 사랑의 비탄을 노래한 《장신추시(長信秋詩)》 《규원(閨怨)》, 변경의 풍물과 군인의 향수를 노래한 《출새(出塞)》 《종군기(從軍記)》가 유명하다. 시집 《왕창령 전집》(5권)과 그의 저술로 전하여지는 시론서 《시격(詩格)》 《시중밀지(詩中密旨)》 각 1권이 남아 있다.

keyword
매거진의 이전글 52> 出塞行(출새행) / 변경에 가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