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금운사 Apr 16. 2024

90) 子規(자규) / 두견새

漢詩習作 (240416)

子規(자규) / 두견새

 - 금삿갓 芸史(운사) 금동수(琴東秀) 拙句(졸구)


子規莫哭三更越

자규막곡삼경월

●○●●○○●

자규야 울지 마라 밤이 깊었으니


若有天神已報仇

약유천신이보구

●●○○●●◎

천신이 있다면 이미 원수를 갚았으리.


哀愬傳聞雖共感

애소전문수공감

○●○○○●●

슬픈 하소연 전해 들어 공감은 하여도


無關倦客故深愁

무관권객고심수

○○●●●○◎

무관한 고달픈 나그네 시름 깊어지기에.

이 시는 봄이면 밤낮으로 슬프게 울어대는 두견새에 관한 회포를 읊은 시이다. 두견(杜鵑)은 두우(杜宇), 자규(子規), 귀촉도(歸蜀道) 등으로 불리고 있으며, 고전 문학에서는 소쩍새, 접동새 등과 혼용하여 사용하기도 하나, 엄밀한 분류에서는 다른 종류의 새이다. 중국의 전설에는 촉나라의 임금인 망제(望帝)의 이름은 두우(杜宇)인데, 어느 날 냇가에서 물에 빠져 죽은 사람을 건져주고 벼슬을 맡겼다가 도리어 그에게 쫓겨나서 먼 타국에서 죽게 되자 새가 되었다. 그 새가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어서 피를 토하면서 우는 두견새이고, 그 피가 맺혀서 진달래꽃이 붉게 핀다는 전설이다. 소쩍새는 시어머니의 구박으로 늘 작은 밥솥으로 밥을 해서 식구들을 주고 남은 것이 없어서 굶어 죽은 며느리의 혼이 소쩍새가 되어 날마다 솥이 적다고 소쩍, 소쩍 하고 운단다.

이 시의 기구(起句) 2번 자인 규(規)가 평성(平聲)이라서 평기식(平起式) 칠언절구(七言絶句)이다. 압운(押韻)은 기구(起句)에는 운이 없고 승구(承句)와 결구(結句)에 ◎표시를 한 구(仇), 수(愁)로 우운목(尤韻目)이다. 각 구(句)의 이사부동(二四不同)·이륙동(二六同) 조건을 잘 충족하였고, 기구(起句) 1번 자인 자(子), 5번 자인 삼(三), 전구(轉句)의 1번 자인 애(哀) 자의 평측(平仄)만을 변화시켰다. 어려운 시어(詩語)는 별로 없다. 哀愬(애소)는 슬픈 하소연이다. 倦客(권객)은 고달픈 나그네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89) 櫻花滿開(앵화만개) / 벚꽃 만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