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금운사 Jun 09. 2024

97> 峽口送友人(협구송우인)

漢詩工夫(240520)

峽口送友人(협구송우인) / 골짜기 입구에서 벗을 보내며

 - 司空曙(사공서)


峽口花飛欲盡春

협구화비욕진춘

●●○○●●◎

골짜기 입구에 꽃잎 날리니 봄이 다하려는데


天涯去住各沾巾

천애거주각첨건

○○●●●○◎

아득히 멀리 떠나고 남으니 각자 수건 적시는구나.


來時萬里同爲客

내시만리동위객

○○●●○○●

만 리를 올 때는 똑같이 나그네였는데


今日翻成送故人

금일번성송고인

○●○○●●◎

오늘은 변하여 친구를 보내게 되었네.

* 峽口(협구) : 골짜기 입구인데, 여기서는 서릉협(西陵峽)을 가리킨다.

* 天涯(천애) : 직역하면 하늘 끝이지만 이는 거리상으로 아득히 먼 곳을 뜻하는 말임.

* 沾巾(첨건) : 수건을 적시다는 뜻으로 이별의 장면에 자주 등장하는 표현.

* 翻成(번성) : 변하여 ~이 되다는 뜻.

此(차)는 送友而作也(송우이작야)라. 此時(차시)에 峽中之花(협중지화)가 東風飛去(동풍비거)하야. 春色(춘색)이 欲盡而君去我住分在天涯則雙行之淚(욕진이군거아주분재천애즉쌍행지루)가 各自沾巾(각자첨건)이라. 來此時與君同爲客於萬里之外(래차시여군동위객어만리지외)러니 至於今日(지어금일)하야. 送同留之故人(송동유지고인)하니 凄切悲情(처절비정)이 有倍於他日耳(유배어타일이)라.

이 시는 벗을 보내며 지은 것이다. 이때에 협곡 가운데의 꽃이 동풍에 날려가 봄빛이 다하려 하는데, 그대는 떠나고 나는 머물러 하늘 끝에 있으니, 두 줄의 눈물이 흘러 각자 절로 수건을 적시는 것이다. 여기에 올 때는 그대와 함께 만 리 밖의 객이었는데, 오늘에 이르러 같이 머물던 친구를 보내니 처절하고 슬픔 감정이 다른 때보다 갑절이 더할 뿐이다.

* 사공서(司空曙) : 720 ~ 790, 대력십재자(大曆十才子) 중의 한 명. 자는 문초(文初) 또는 문명(文明)으로 되어 있다. 광평(廣平), 지금의 하북성 영년현(永年縣) 출신. 대력 연간에 진사에 급제하고 검남절도사(劍南節度使)의 막료로 있다가, 좌습유(左拾遺), 장림현승(長林縣丞), 수부낭중(水部郎中) 우부낭중(虞部郎中) 등을 역임하였다. 집안이 가난하고 성정이 바르고 곧았으며 권력을 탐하지 않았기 때문에 폄적을 당해 떠돌다가 장사(長沙)에도 잠시 머물렀고, 강우(江右) 지역으로 유배를 가기도 했다. 이약(李約)과는 둘도 없는 친구로 지냈으며, 장안에 있으면서는 노륜(盧綸), 독고급(獨孤及), 전기(錢起) 등과 시로 교류하였다. 사공서의 시는 세상을 떠돌면서 지은 시가 많아서, 헤어지고 만나는 것을 슬퍼하고 기뻐한 다든지 자연의 풍광을 읊은 시가 많다. 약간은 어둡고 쓸쓸한 분위기로, 안록산의 난을 겪고 난 뒤의 심정을 표현하였다. 후인들이 명구로 꼽는 “잠깐 만난 것이 꿈이 아닌가 싶은데, 서로 슬퍼하며 지난 세월을 물어보네(乍見翻疑夢, 相悲各問年)”와 같은 구절도 절차탁마의 노력에 의한 산물이라기보다는 당시 사람들이 마음에 품고 있던 생각을 시로 표현한 것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사공서의 시는 현재 70여 수가 전한다. ≪전당시(全唐詩)≫에 2권이 있고 ≪사공문명시집(司空文明詩集)≫ 2권이 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