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詩)는 여말선초(麗末鮮初)의 유학자이며 문신(文臣)인 양촌(陽村) 권근(權近) 선생의 학덕을 기리는 백일장에 제출하려고 지은 시이다. 선생은 젊어서 목은(牧隱) 이색(李穡)과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선생들로부터 학문을 배웠다. 학문과 문장에 뛰어나서, 명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응제시(應製詩)를 지어서 천자의 마음을 돌리고, 귀양살이를 할 때에도 성리학의 입학도설을 지어서 후학들을 가르쳤다. 저서로는 <양촌집>, <상대별곡>, <오경천견록>, <동국사략> 등 다양하다. 필자는 위와 같은 사례를 중심으로 작시(作詩)를 하였으나 비록 입상(入賞)은 못하여도 작품은 남긴다.
이 시는 제1구의 두 번째 자 능(能)이 평성(平聲)이라서 평기식 7언율시(七言律詩)이다. 율시는 절구(絶句)의 배(倍)가 되는 분량이다. 각구의 호칭도 달리하여 1~2구를 수련(首聯) 또는 기련(起聯), 파제(破題), 발단(發端), 3~4구를 함련(頷聯) 또는 승련(承聯), 5~6구를 경련(頸聯), 전련(轉聯), 7~8구를 미련(尾聯), 낙구(落句)라고 한다. 율시는 함련과 경련의 각 두 구절은 반드시 서로 대(對)를 맞추어야 한다. 즉 시어나 내용이 서로 대치 또는 상대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압운(押韻)은 ◎표시를 한 천(天), 선(先), 현(賢), 선(宣), 전(傳)이고, 선운목(先韻目)이다. 어려운 시어는 대체로 다음과 같다. 위위(巍巍)는 산이나 인품 등이 높고 높은 것을 말한다. 입도(入圖)는 양촌 선생의 저술인 입학도설의 준말이다. 교유(敎喩)는 가르치고 깨우쳐 주는 것이다. 화사(華士)는 중국의 선비이다. 빈빈(彬彬)은 문질이 빛나는 모양을 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