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오스터 <빵 굽는 타자기, 젊은 날 닥치는 대로 글쓰기>
‘저렇게 시시하게 살진 않을 거야’ 라거나 ‘내겐 이상적으로 그리는 삶의 방식이 있어’라는 생각의 방향이 사회 일반의 생활 궤도를 벗어난 쪽으로 심하게 기울어버리면 역설적으로 ‘이도 저도 아닌 인생’이 기다리고 있는 게 아닐까, 아니, 그보다 ‘이도 저도 아닌 인생’의 시간을 묵묵히 통과해야만 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한다. 그것을 견뎌낸 이후에나 ‘이상적인’ 삶이 허락될 수 있는 것이랄까. 아, 되게 케케묵은 고진감래 내러티브다.
<빵 굽는 타자기>는 결국엔 성공한 소설가 폴 오스터가 (그의 표현에 따르면) 성서적 양상을 띠고 있던 자기 과거의 불운의 역사를 솔직하게 늘어놓는 일종의 자서전이다. 워낙 유명한 책이라 글쓰기나 문학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어떻게든’ 읽어봤을 거라 생각한다.
20대 후반과 30대 초반에 나는 손대는 일마다 실패하는 참담한 시기를 겼었다. 결혼은 이혼으로 끝났고, 글 쓰는 일은 수렁에 빠졌으며, 특히 돈 문제에 짓눌려 허덕였다. 이따금 돈이 떨어지거나 어쩌다 한번 허리띠를 졸라맨 정도가 아니라, 돈이 없어서 노상 쩔쩔맸고, 거의 숨 막힐 지경이었다.
<빵 굽는 타자기>는 이렇게 글문을 여는데, 이후 뭐 하나 버릴 것 없는 문장들이 쉼 없이 휘몰아치면서 잠깐의 휴식 시간도 주지 않고 독자를 자기의 지독하게 불운한 글쟁이 인생에 동참시켜 뒤로 뒤로 자꾸만 밀고 간다. 김훈 작가는 언젠가 자신의 가난했던 과거를 이야기하며 ‘가히 설화적’이라고 말했는데, 폴 오스터는 자기의 가난과 불운을 ‘성서적’이라고 말하고 그걸 뒷받침하는 불쌍하고 치열했던 하루살이 생활을 꼼꼼하게 드러낸다. 풍족한 아버지, 낭비벽 있는 어머니 아래에서 태어나 어쨌든 ‘여유롭게’ 잘 자란 그가(대학도 심지어 컬럼비아가 아니던가) 인생의 바닥 체험을 하며 만나는 사람들과의 시시콜콜한 이야기 속에서는 언뜻 황석영 작가가 겹쳐 보이기도 한다. 체험~ 삶의 현장!
그렇게 배를 타고 떠나는 것으로 내가 무엇을 증명하고 싶어 했는지, 지금도 잘 알 수가 없다. 아마 어딘가에 안주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였을 것이다. 아니면 단순히 내가 그 일을 해낼 수 있는지 보기 위해서, 내가 속하지 않은 세계에서도 내 입장을 견지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였는지도 모른다. 그 점에서는 실패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 몇 달 동안 내가 무엇을 성취했는지는 말할 수 없지만, 그래도 역시 실패하지 않은 것만은 확실하다.
책의 앞단에서 폴 오스터는 말한다. 의사나 경찰관이 되는 것은 하나의 <진로 결정>이지만, 작가가 되는 것은 선택하는 것이기보다는 선택되는 것이라고. 흠, 글쎄? 나는 고개를 갸우뚱하게 된다. 작가들은 자기가 작가가 된 걸 하늘에서 내려준 기회나 운명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듯한데, 실상 모든 생활인들이 일반적으로 자기 삶에 지나치게 의미를 부여하는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누구나 자기의 직업에 관해서는 어쩔 수 없는 부름에 응답하게 된 꼴이라고 믿고 있는 듯하다. 겉으로는 아무렇게나 어질러놓고 막사는 것처럼 말해도, 속으로는 되게 자기를 애틋하게 보살피며 다양한 의미를 부여한달까. 결과적으로는 그것이 건강한 삶의 방식인 것 같기도 하지만.
오직 ‘글’을 쓰기 위해서 폴 오스터는 유조선에서 밥을 하거나 청소를 하고, 닥치는 대로 번역일도 맡아서 하지만, 어느 날 문득 그는 자기가 그저 ‘생존’을 위해 하루살이처럼 살고 있음을 깨닫는다. 글을 쓰고 살겠다며 안정적이고 반복되는 일자리를 거부했지만, 결국엔 사는 것도 자꾸 지치고 글은 글대로 못 쓰니(그야말로 이도 저도 아니니!) 나중엔 제대로 된 직업을 구하기 위해 애를 쓰거나 카드 게임을 만들어 팔겠다며 발악도 한다. 쩝. 아, 진짜 인생이란 뭘까!
어쨌든 나는 계속 글을 썼고, <컬럼비아 스펙테이터>지에 서평과 영화평을 기고하기 시작했다. 내가 쓴 기사는 제법 자주 실렸다. 출발선이 어디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어쨌거나 어딘가에서는 출발해야 한다. 원하는 만큼 빠르게 전진하지는 못했을지 모르나, 그래도 나는 조금씩 전진하고 있었다.
<빵 굽는 타자기> 속에는 좋은 생각, 특히 좋은 문장들이 몇 트럭은 된다. 맛있는 문장을 공부하고 싶은 분들에겐 일독의 가치가 어마어마할 것이라 확신한다.
며칠 전에 85세 번역가 김욱 선생님의 <취미로 직업을 삼다>라는 에세이를 읽는데, '사람들은 나의 실패담을 좋아했다'라는 담담한 표현을 만나고 그것이 가슴에 오래 남았다. '이유 없는 열등감'에 괴로워하는 사람들에게 폴 오스터의 성공적인 실패담, <빵 굽는 타자기>를 진심으로 권한다. 아, 참고로 이유 없는 열등감에 괴로워하는 사람 중 하나가 필자다. 솔직히 이유는 많잖아? 이유가 몇 트럭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