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by 김종관
**스포일러가 될 수 있습니다.
글을 쓰는 직업의 주인공 창석(연우진 분)은 영화가 진행되는 동안 이야기를 들어주는 이가 된다. 또는 누군가의 요청에 의해 이야기를 한다. 서로 이야기하는 듯하지만 창석은 외롭다. 공간이 있고, 사람이 있고, 대화가 오고 가지만 창석과 진짜 이야기를 나눌 이는 없는 ‘아무도 없는 곳’인 셈이다. 매일 사람들을 만나며 하루에도 수십 마디씩 주고받지만 정작 마음 속에 있는 이야기는 나누지 못하는 현대인의 삶을 사는 요즘의 나에게 큰 위로가 될 법한 주제임에도 나에게 큰 감흥이 되지는 못했다. 클로즈업 숏에서 나를 이끌었던 연우진 배우의 눈빛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 전체를 따라지 못했던 이유들을 정리해본다.
담화가 영화의 주제이자 주된 흐름이다 보니 같은 장소, 같은 인물에서 오는 지루함은 분명 존재할 것이다. 하지만, 예를 들면, 홍상수 감독의 영화처럼 한 컷이 긴 롱 테이크의 대사들 같은 경우는 대사 자체에 묘한 재미들이 있다. 반면 <아무도 없는 곳>에서 주된 대화는 '재미있는 대화' 혹은 '재미없는 대화'였다. 나에게는 대사 자체로 몰입하기는 어려웠고 감독이 의도한 대화조차 매 순간 재미있는 대화는 아니었을 것이다. 소소하지만 소중한 이야기를 '재미없는 이야기'로 치부해버리고 넘어가는 순간을 알리고 싶었던 것 같지만 정말 그렇게 넘겨버리게만 된 것이다. 대사 자체로 큰 매력을 느끼지 못했지만 쪼개진 컷들 덕분에 흐름은 호흡은 느리지 않았다. 영화를 이어볼 수 있는 효과는 있었을지라도 나에게는 아쉬운 부분이었다. 앞서 예를 들었던 홍상수 감독의 작품들에 비해 쪼개진 컷들이 영화를 이어가는 데에는 도움이 되고 이 이야기에 극 중 인물들이 깊게 들어가 있지 않다는 것은 보여줄 수 있었을지라도 관객마저 이 영화를 그렇게 '재미없는 이야기'로 넘겨버리게 만든 요소가 된 듯했다.
앞서 진행된 창석과 인물들의 대화에서 창석의 깊은 내면의 이야기와 사연이 있었음은 영화 후반에 밝혀진다. 또한 그로 인해 창석이 외롭고 괴로워하고 있는 사실 또한 후반부에 밝혀진다. 극 중 인물과 둘씩 배치된 공간과 달리, 인물들과의 대화가 지나고 창석 혼자 배치된 공간에서 느껴지는 공허함과 외로움은 영화의 흐름에 따라 공감할 수 있었다. 하지만 굳이 어떤 이야기가 있지 않아도 공감할 수 있는 외로움이었을 것이다. 여기서 말한 이야기는 인물을 구성하는 전사로 창석의 떨어져 있는 아내와 죽은 딸의 설정이다. 오히려 창석의 전사가 나오지 않았더라면 인물이 놓인 배경을 상상하는 폭이 생기지 않았을까. 딸이 죽었고 그걸 관객에게 '수연이 죽었잖아'라고 말하는 부분은 영화로서 세련되게 느껴지진 않았다.
마지막 하나는 아이유(이지은)의 캐스팅이다. 영화의 흐름에 가장 큰 도움을 준 부분이 배우들의 연기일 정도로 연우진을 포함한 연기력 좋은 배우들이 자신의 진짜 이야기인 것처럼 관객에게 전달한다. 하지만 영화도 결국 영화의 밖, 현실에서 상황들을 전혀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이미 <페르소나>에서 연기력을 증명했고 <아무도 없는 곳>에서도 흐름에 문제 없는 연기를 보여줬다.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모두 알만한, 그래도 배우보다는 이미지 확실한 가수를 굳이 여기에서 미영의 역할로 캐스팅한 데에는 무슨 의도였는지 의문이 든다. 이들의 이야기를 그들이 지어내었다 한들 더욱 진짜처럼 듣기엔 몰입이 흩어지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했다.
재미없는 이야기에는 눈을 감는 미영, 재미있는 얘기를 해주면 술을 사겠다는 주은. 소중한 이야기라 한들 재미없으면 귀를 닫고 눈을 닫는 시대이다. 영화도 같다. 일단 재미있어야 귀를 열고 눈을 열고 시간을 내서 보는 것이 영화이다. <아무도 없는 곳>은 감독의 소중한 이야기일지라도 나는 감독의 속 이야기를 듣기 전에 그냥 지나쳐버리게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