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음감 May 31. 2021

지각하는 아이에게

노아의 방주(2)

   교차등교가 시작됐다. 4일을 멋대로 살다가 하루를 규칙적으로 살으라 하면 어른도 어렵겠지. 그래서 등교날 아침은 전쟁이다. 나 혼자 전쟁을 하면 애들의 전쟁을 막아줄 수는 있다. 자고 있는 애 양말을 '내가' 신겨주고 '내가' 옷 입히고 '내가' 밥 떠먹여서 '내가' 차로 가주면 지각할 일 없다. 하지만 안한다. 그렇게 하지 말라고 노아의 방주 서사가 말한다.     


   노아는 근 250일을 배에서 지낸다. 홍수가 날 것을 미리 말해주고 배의 크기까지 상세하게 지시하던 신은 그동안 침묵한다. 노아에게 앞으로의 일정을 말해주는 것쯤은 어렵지 않았을 텐데 말이다. 도대체 왜? 노아 속 터지라고?     


   이 생뚱맞은 질문은 더 생뚱맞게 드라마 <도깨비>로 풀었다. 도깨비에서 유덕화(육성재 분)를 빌어 했던 신의 대사다.


   “답은 그대들이 찾아라”     

   노아가 방주를 짓고 들어간 건 그의 선택이다. 지으라고 했어도 안 지으면 그만이니까. 짓기만 하고 안 들어가도 그만이니까. 요나가 니느웨로 안 갔던 것처럼 말이다. (요나 : 구약에 나오는 인물. 니느웨로 가서 신의 뜻을 전하라는 명령에 불순종하고 도망감)


   선택 이후의 답은 노아가 찾아야했다. “언제 물이 빠질 테니 이만큼 기다려라.” 라고 신이 개입하는 순간, 노아 스스로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다. 드라마 대사가, 노아의 방주가 “네가 할 수 있는 건 알아서 좀 해봐.” 라고 읽혔다. 신의 마음을 읽은 노아는 물 빠질 날짜를 요구하는 대신 비둘기를 날렸다.(두번째 날려보낸 비둘기가 나뭇잎을 물고 온 걸 보고 물이 점점 빠지고 있음을 짐작. 세번째 날린 비둘기가 아예 안 돌아와서 물이 완전히 빠졌음을 알아차림)     


   다 해 줄 수 있지만 해 주지 않는, 그게 신의 마음이고 그게 부모의 마음이다. 교문 닫히기 5분 전인데 양말 뒤집어 진걸 펴고 있는 모습을 보고 있으면 자동차 키가 나를 막 잡아 끄는 것 같다. 양말은 그냥 손에 들고 차로 뛰어! 3분이면 교문 앞에 내려줄 수 있어! 그래도 안한다. 너의 비둘기는 스스로 찾거라, 의 마음이다.


  파비우스 전략이라는 말이 있다. 파비우스는 고대 로마의 정치가이자 장군이다. 그가 이끄는 모든 전쟁은 결국에 다 승리였다고. 그래서 이 말은 파비우스처럼 과정이 어쨌든 결국은 이기는 전략을 말한다. 소모전이 있더라도 결과가 승리이면 된다는 뜻이다.


아이를 기다려 주는 건 일종의 파비우스 전략이다. 가방 챙기는데 10분 걸리는 걸 끝까지 기다려 주는 것, 기다리는 동안 내 속은 타들어갈지언정 결국에는 (스스로 하는 걸 배운다는) 승리를 준다는 점에서 파비우스 전략과 비슷하다.


   노아의 방주가 내게 말을 건다. 앞으로도 ‘내가 해주고 말지’ 하는 순간은 언제든지 올 거라고. 그때마다 파비우스 전략을 기억하라고. 그거 못하면 서른 살 먹은 자식 회사 조퇴계를 환갑 넘은 엄마가 냈다는 엽기적 소식의 주인공이 될 수도 있다고. 사랑하기에 나도 최선을 다했던 마음이라고 치자. 그 마음이 아이를 앞으로 나아가게 할 것이다. 사랑하기에 안 해주는 사랑을 하자고 머릿속에 밑줄을 긋는다.     


   맑아진 정신으로 계속 읽는다. 그랬더니 홍수 이후의 무지개까지도 달리 읽힌다.


(3편으로 이어집니다)


1편 : 온라인수업에 열받았을 때

매거진의 이전글 온라인 수업에 열받았을 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