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인환 Aug 13. 2024

[철학] 닥쳐! 원래 이렇게 하는 거야_초역 부처의 말

 불교는 부처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형성됐다. 그렇다고 부처가 만든 종교냐 하면 그렇지 않다. 부처는 인간의 삶이 수레바퀴처럼 돌고돌아 '고'와 '락'이 번갈아오는 '윤회'라고 여겼다. 그는 제자들에게 '고락'의 윤회를 끊어내는 방법을 가르쳤으며 자신의 깨달음을 설명하곤 했다.

 싯다르타는 스스로를 우상화하지 말라고 당부했다. 자신을 우상화 하지말고 스스로 정진할 것을 독려했다. 그러나 후대의 제자들은 스승의 가르침을 정리하고 체계화하며 결국 그를 숭배하게 되었다. 정보를 전달할 방법이 마땅치 않던 시기, 글을 읽을 수 있는 사람도 많지 않던 시기. 그들의 이야기는 왜곡이 불가피했다. 

 예수 그리스도는 유대교 전통에서 사랑과 자비를 가르쳤다. 예수의 가르침은 그의 많은 제자와 추종자를 길렀다. 예수의 가르침을 전하고자 하는 많은 이들은 그의 가르침을 체계화했다. 특히 사도 바울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것이 기독교의 시초다.

 예수와 싯다르타는 각각 기독교와 불교의 창시자가 아니다. 그들은 자신을 숭배하라고 강요하지 않았다. 다만 그를 존경하던 많은 이들의 선한 마음의 불가피하게 왜곡을 만들거나 강요를 만들기도 했다.

 불경과 성경은 '종교적 색깔'을 제하고 보면 무교인들에게도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계발서다. 인류의 스승조차 바라지 않았던 무조건 숭배를 다시 생각해 볼만하다. 왜 주말마다 교회를 나가야 하는가. 왜 부처님 오신 날에는 등을 다는가.

 이야기의 개요는 이렇다.

 여러마리 원숭이가 우리 안에 있다. 우리 위에는 바나나 하나가 달려 있다. 한 원숭이가 바나나를 잡으려 손을 뻗는다. 손을 뻗자 나머지 모든 원숭이에게 찬물이 뿌려진다. 찬물을 맞은 원숭이들은 손을 뻗은 원숭이를 폭행한다. 다시 새로운 원숭이가 우리 속으로 들어온다. 원숭이는 바나나를 잡으려고 손을 뻗는다. 역시나 다른 원숭이들에게 찬물이 뿌려진다. 찬물을 받은 원숭이들은 손을 뻗은 원숭이를 폭행한다. 이런 절차가 몇 번 반복한다.

 반복할수록 새로운 원숭이가 우리에 투입되고 기존 원숭이가 나간다. 결국 우리 안의 모든 원숭이는 새로운 원숭이로 교체됐다. 한 원숭이가 이어코 바나나를 향해 손을 뻗는다. 나머지 원숭이들은 손을 뻗은 원숭이를 구타한다. 찬물 사례가 없어도 그냥 폭행한다. 그러자 옆에 있던 원숭이가 묻는다.

 "왜 때리는거야?"

그러자 한참 구타를 하던 원숭이들이 말한다.

 "닥쳐. 원래 이렇게 하는 거야."

 본질을 생각하지 않고 행동만 반복한다면 그것은 진정 숭배의 대상이 원하는 바가 아니다. 아무런 비판적 사고없이 하던대로의 관성만 유지한다면 그것은 때로 목적없는 행위를 반복하는 원숭이와 다를 바 없다.

 부처가 죽고 난 뒤, 제자들을 결속하기 위해 마하가사파는 제도를 재정비한다. 깨달음을 얻은 제자만 모아 규율을 확인하고 이를 통채로 암기하도록 시켰다. 이렇게 부처의 말은 제자들에 의해 전해지다가 이를 해석하는 방식의 차이로 분파가 나눠졌다. 부처는 자신을 스스로를 '불상'으로 만들어 숭배하지 말라고 일렀으나, 스승을 그리워하던 제자들은 그를 '불상'으로 제작하고 숭배했다.

 조금씩 시간이 흐르며 변해가던 스승의 목소리는 이후 '절차'와 '법도'에 묻혀 어려워지고 중생을 위한 깨달음이라는 목적도 희미해졌다. 어려운 용어는 아는 이들끼리만 사용하는 사회적 방언으로 자리 잡았다.

 그리스도의 복음 또한 울타리 내에서만 사용하는 언어로 굳어지며 결국 가장 스승이 원하지 않는 방식으로 가르침이 전달됐다.

 중부경전, 사유경에는 이러한 대목이 나온다.

 강을 건너기 위해 뗏목을 만든다. 뗏목은 유용하다. 강을 건넌 뒤에는 유용했던 뗏목을 버리지 못하고 짊어지고 간다. 결국 더이상 무거워 걸을 수 없는 지경이 되면 뗏목이 짐이 었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업적이나 학력, 경력, 가르침 모든 것이 그렇다. 나를 위해 유용했던 어떤 것은 집착이 되면 짐이 된다. 위대한 스승의 가르침 조차 뗏목과 같아서 그 자체로 쓰임을 다했다면 아낌없이 버려야 한다.

 집착으로부터의 자유로움은 스승이 말하던 가르침이다. 이를 수행하던 제자들이 아이러니하게 스승에 대한 집착을 놓지 못하고 붙잡는다. 죽어 없어져야 할 육신은 '불상'이 되어 영생하고 영혼 또한 속세에 잡혀 있으니, 스승에 대한 옳지 못한 존경심이 그를 그렇게 만들었다. 우리는 인류의 스승들로부터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 단순한 숭배가 아니라 실질적 배움은 어떤 것인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