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세상에 관심 없던 사이 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
아주 고통스러운 월요일이다. 기분 좋은 소식이 있어도 월요병을 이겨내냐 마냐 할 마당에 여러 종류의 자산 가격이 바닥을 치며 곡소리를 자아내고 있다. 하락의 핵심 이유는 물가 상승에 따른 강력한 금리 상승이다. 쉬운 게 좋다지만 당연히 이 한 문장에 모든 것이 담기진 않는다. 이것을 조금만 덜 쉬운 버전으로 풀어보겠다.
1. 물가 상승의 진정한 의미
물가가 오른다는 것은 돈의 가치가 하락한다는 뜻이다. 1,000원 짜리 김밥이 2,000원이 된다는 것은 풀어 말하면 원래 1,000원으로 김밥 한 줄을 살 수 있었는데 이제 반 줄 밖에 사지 못한다는 것과 같은 얘기다. 그러니까 천원의 가치가 절반으로 떨어진다는 뜻이다. 정부가 뽑아내는 화폐는 숫자가 계속 늘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이 가치하락을 동반한다.
2. 물가가 왜 오를까?
보통은 물가가 오르면 자산 가격도 상승한다. 하지만 수요 공급 법칙에서 꼭 수요가 증가해야만 물건 가격이 오르는 것이 아니다. 공급이 부족해서 물가가 오를 수도 있다. 지금은 전쟁으로 인해 공급이 부족한 상황에서 물가가 올랐다. 이 밑에 선순환 구조와 스태그플레이션을 정리했다.
1) 자산 가격이 상승하는 선순환 구조
낮은 금리 -> 대출 난이도 하락 -> 투자 및 사업 증가 -> 실업률 감소 -> 소비 증가 및 개인 투자 증가(자산 가격 상승) -> 수요 상승으로 물가 증가
2) 자산 가격은 하락하는데 물가는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 구조
수요가 아니라 공급 부족으로 물가 증가(전쟁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 -> 금리 상승 압박으로 공포 유발 -> 자산 매도세 증가 -> 자산 가격 하락 -> 투자 및 개발 감소 -> 실업률 증가 -> 소비 감소 -> 기업 매출 감소 -> 다시 실업륭 증가 (악순환)
3. 물가 상승의 위험성
물가는 여태 계속 상승해왔고 그거에 따라 임금도 상승했잖아, 왜 갑자기 난리야? 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사실 틀린 말은 아니다. 그러나 이 물가라는 놈은 폭탄을 지니고 있다. 그것은 하이퍼 인플레이션이라는 폭탄이다. 한번 상승을 잘못 막으면 모든 것이 망가진다. 실제로 베네수엘라, 아프리카 등에서 최근 이러한 일이 일어났다. (물가상승률 35만 %) 지금 달러의 가치는 첫 발행 당시의 가치보다 95 %이상 하락했다.
4. 유일한 해결 방안
유일한 해결 방안은 돈의 가치를 억지로 높이는 것이다. 돈의 가치를 높이는 방법은 무엇일까? 바로 금리를 높이는 것이다. 은행이 나에게 예금 이자를 더 많이 준다는 것은 은행이 그 돈을 더 필요로 한다는 것이고 그 만큼 돈의 가치를 더 쳐 주겠다는 의미다. 이것이 돈의 가치를 올리는 방법이다.
5. 금리가 높아지면 왜 자산 가격이 하락할까?
돈의 가치가 높아지니 당연히 현금을 보유하고 싶어진다. 굳이 위험한 주식에 넣을 필요없이 은행 예금에 넣어도 안정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 심지어 다수가 이런 상황을 예측하기 때문에 가격 하락을 기대하며 모두가 현금을 원하게 된다. 이런 과정에서 매도세가 강해지고 시장은 공포에 빠져 더더욱 현금을 원하게 된다. (즉 자기가 가진 자산을 판다는 의미)
6. 앞으로의 시장 예측 알고리즘
1) 연준이 금리를 높인다
2 - 1) 높아진 금리 때문에 물가가 잠잠해진다.
3 - 1) 시장이 어느 정도 안정화된다.
------------------------------------------------------------
2 - 2) 금리 상승에도 불구하고 물가가 잡히지 않는다. -> 또 금리를 올린다.
3 - 2) 당연히 자산 시장은 더 박살날테고 안정적이라 생각한 부동산까지 위험해진다. 더욱더 높아진 금리에 부채 부담이 늘기 때문이다.
3 - 3) 변동 금리로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세대의 대출 부담이 늘어나며 연체 비율이 늘어난다.
3 - 4) 높아진 금리가 어느 기준을 돌파하면 빚을 감당하지 못한 사람의 주택이 경매로 나오기 시작하며 많아질 것이다. (우리나라 2, 30대의 평균 대출 상환 능력은 이미 어느 정도 정해져있다)
3 - 5) 2, 30대가 대출을 끼고 산 부동산들은 자연스럽게 가격이 하락할 수밖에 없다. (평균적인 대출 상환 능력이 정해져있기 때문에)
[오늘자 기사 -> 주담대 7%까지 뛰면 서울 중형 아파트 월상환액 300만원 육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