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겉으로 보기에는 문화 종교, 생김새들이 모두 다르지만 삶의 근본 문제는 하나다”라고 말한 키아로스타미의 말처럼 그의 영화는 이란 보통 사람들의 삶을 세상의 보편적인 삶으로 녹여내었던 거장이었다. 그러한 영화중의 하나가 바로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가 이다.
이 영화는 이란의 코케르라는 마을의 초등학교 2학년생인 아마드가 실수로 잘 못 가지고 온 짝꿍의 숙제 공책을 돌려주기 위해서 친구의 집을 찾기 위해 애쓰는 하루 동안의 이야기가 중심이다. 왜냐하면 오늘 실수로 네마자데 공책을 아마드가 가져왔는데 이 숙제 공책에 숙제를 하지 못하면 내일 또 네마자데가 선생님한테 혼나고 울 것이 마음에 걸렸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 평범하기 그지없고 살림은 그리 넉넉지 않아 보이는 한 이란 시골 가정의 어린 아이의 이야기가 어떻게 삶의 근본적인 목적으로 우리를 이끌어 갈 수 있을까? 우선 이 영화에서 아마드가 친구의 집을 찾아가는 과정은 집 찾기를 방해하는 어른들의 완고한 벽을 헤쳐 나가야 하는 고난의 과정이다. 아마드의 엄마는 아마드에게 숙제를 먼저 하라고 닦달해대지만 계속 아마드에게 자잘한 집안 심부름을 시킨다. 또한 아마드의 할아버지는 훈육이 사람을 바르게 한다며 자기 주머니에 담배가 있는 줄 번연히 알면서도 아마드에게 담배 심부름을 시킨다. 선한 의도가 아이에게는 폭력이 된다.
이렇듯 누구도 비난할 수 없는 블랙코미디의 역설성을 키아로스타미는 이 영화에서 동적으로 연출해낸다. 예를 들면 무서운 엄마의 시선을 피해 숙제 공책을 옷에 숨기고 살금살금 몰래 나가는 아마드의 긴장감과 지그재그로 난 높은 언덕길을 달려 오르는 힘겨움은 장난스럽고 경쾌한 음악으로 인해 훨씬 가벼운 느낌으로 이완된다. 그리고 자기의 체구보다 더 큰 나무 더미를 얹은 지게 때문에 가려진 노인의 뒷모습은 마치 옆으로 크게 퍼진 한 그루의 나무가 뒤뚱뒤뚱 걸어가는 것 같은 모양새로 연출되면서 노인이 겪는 힘든 삶의 애환을 웃음으로 뒤집는다. 이것이 “인생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면 모든 것이 긍정적으로 보인다”는 키아로스타미의 철학을 대변하는 이미지일 것이다.
이 영화에서 보자면 어른들의 안하무인, 무관심, 고압적 자세는 아마드의 친구 집 찾기를 방해하는 것 같지만 자기들도 모르는 사이에 아마드의 집찾기를 도와주는 조력자 노릇을 하기도 한다. 그때 한 노인이 처음으로 아마드가 왜 친구의 집을 찾는가를 묻고는 아마드와 동행한다. 숙제 공책을 돌려주지 못하게 된 낙담과 빨리 빵을 사러가야 하는 아마드의 복잡한 마음과는 달리 할아버지의 이야기는 끝이 없고 노쇠한 노인의 걸음걸이는 느리기 그지없다. 아마드는 급한 마음에 혼자 집으로 돌아가려고 길을 오르지만 갑자기 부는 세찬 바람과 어둠속에서 짓는 개들이 무서워서 다시 할아버지에게 돌아간다. 그러나 자신의 집 앞에 도착한 할아버지는 아마드에게 “이제 혼자 가거라 내가 지켜볼테니”하며 아마드를 혼자 집으로 돌아가게 한다. 현자(賢者)처럼 나타난 할아버지는 이미 아마드 친구의 집을 알고 있었던 것이다.
결국 숙제 공책을 돌려주지 못하고 돌아온 아마드는 친구가 내일 또 선생님한테 혼나고 울게 될 생각에 마음이 무거워 저녁조차 먹지 않는다. 그때, 갑자기 세찬 바람이 아마드가 있던 방의 문을 활짝 열어 제친다. 이때 방안에서 방 밖을 보는 아마드의 얼굴 표정이 클로즈 업 된다. 지금 마당에는 바로 몇 시간 전 어느 할아버지와 걷던 밤길에서 불던 세찬 바람이 불어대고 마당의 빨랫줄에는 엄마의 고단한 손길이 머문 빨래가 있다. 빨래가 바람에 날릴 새라 급히 빨래를 걷는 엄마의 삶도 아마드의 눈에 잡힌다. 그렇지만 영화는 아마드 얼굴의 표정을 클로즈업한 화면만을 보여줄 뿐 아마드가 어떤 생각을 했는지에 대한 더 이상의 단서를 생략한 채 관객에게 해석의 공백을 남긴다.
집은 밤이면 고단한 삶과 그로인해 서로가 무심하기도 했던 가족이 다시 모이고 저녁을 먹고 갑자기 바람이 불면 마당에 널린 빨래를 걷는 것처럼 자연의 시간과 순리에 순응하는 일상적 삶의 공간이다. 그러므로 친구가 더 이상 울지 않도록 찾아야 하는 친구의 집은 아마드의 집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그 아마드의 집에 네마자데의 숙제 공책이 있으니 이제 아마드가 할 일은 네마자드의 숙제 공책에 숙제를 해 넣는 것이다. 영화에서 아마드가 한 실수의 시작은 둘의 공책이 똑같다는 것이다. ‘내 친구의 집 찾기’는 처음부터 원점으로 돌아와야 했던 ‘우리들의 집 찾기’ 였던 것이다.
다음날 교실의 분위기는 어제와 다름없다. 숙제 검사가 막 시작되었을 때 아마드가 조금 늦게 교실에 들어온다. 자리에 앉은 아마드는 겁을 먹고 울상이 되어있는 네마자데에게 “내가 네 숙제 해왔어”라고 말하며 조용히 네마자데의 숙제 공책을 건네어준다. 네마자데의 숙제 공책 갈피에는 하루 전날 만난 할아버지가 건네 준 작은 한 송이 꽃이 끼워져 있었고 ‘잘 했다’는 선생님의 싸인이 남겨진 네마자데의 공책이 클로즈업되며 영화는 마무리가 된다. 결국 칭찬은 아마드의 고운 마음에 대한 것이다. 아이들의 세상이 어른들의 세상에 한 송이 꽃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