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RN Jul 22. 2021

지금 투자를 머뭇거리는 이유

대출금리가 상승하고 있다.

 그동안 모아놨던 돈으로 국내, 해외 주식을 소소하게 모으고 있었다. 코로나 시즌에 뭘 사도 수익이 나서 신기했다. 돈 쓸 곳이 필요해서 마이너스통장을 확인했는데 최근 대출 금리가 오르는 것이 영 마음에 쓰였다.



2.14%가 3.08%로 매일 찔끔씩 오르는 대출금리



 최근 주가지수가 지지부진했던 이유가 여기에 있지는 않을까 생각했다. 불과 1달 사이에 대출 금리가 0.94%나 올랐다. 아직도 저금리이기는 하지만 속도가 너무 가파르게 느껴졌다.


 대출금리 인상과 더불어 대출금액 축소 전화를 받았다. 마이너스 통장을 개설하고 오랜 기간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체 금액에서 20%를 감액하겠다고 했다. 지금 당장은 쓸 곳은 없지만 괜히 손해 보는 기분이었다.


 만약 영혼까지 끌어서 집을 샀거나 주식에 투자했다면 어땠을까. 이 상황이 꽤나 큰 압박으로 작용했을 것 같다. 아마도 나라면 위험성 높고 환금성이 빠른 주식부터 매도하지 않았을까?


 여전히 각국 중앙은행들은 통화량을 늘리고 있지만 최근 속도가 느려지는 것처럼 느껴진다. 정체가 되는 순간이 오면 지금처럼 뭘 사도 오르는 과열 현상은 식게 되지 않을까 싶다.


 내가 선택한 방법은 주식 일부를 현금화하는 것이다. 이 예측이 틀릴 가능성을 염두하여 일부를 남겨 놓았다. 그리고 앞으로 매달 보험료를 내듯 꾸준히 ETF를 적립할 예정이다. 15년 만기 종신보험을 만기까지 부은 이력이 있는 프로 끈기남의 조언이다.



9년 8개월 총 수익률 7.01%... 수수료 8.53%



 이건 여담이지만 9년 8개월간 적립한 연금저축 보험의 수익률이 연평균 0.71%였다. (수수료가 8.53%나 되다니...) 이 수익률이었다면 삼성전자를 매달 30만 원씩 사둘걸 그랬다. 적어도 70% 수익률은 넘었을 텐데 너무 아쉽다. 다행히도 9월에 연금저축이 10년 만기를 채우게 된다. 이제는 삼성전자만큼 안전한 미국 ETF를 10년간 적립할 예정이다.






 뉴스로만 접하던 대출금리 상승을 직접 체감하게  되니 얼른 이 내용을 공유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안정된 투자를 위해서 대출을 최소화하고 내가 감당할 만큼만 하도록 해야 한다.

 

물론 대출이 불가피한 부동산이나 공모주 같은 경우는 예외로 하고 말이다. 다음 주 카카오뱅크 청약이 끝나면 당분간은 투자를 조금 지켜봐야겠다.

작가의 이전글 아직까지 실패 없는 공모주 투자 일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