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신기혜 Aug 16. 2024

21 김밥을 마는 자리

김밥과 노동

프랜차이즈 김밥 전문점이 엄마 김밥의 맛을 제일 먼저 채어간 서울에만 살다가 도시에서 멀어질수록 ‘김가네’ 맛도 아니고, 내 엄마 맛도 아닌데 영락없이 맛있어 버리는 낯선 김밥들을 만났다. 바다가 한 번 가른 제주에서 아롱이다롱이 상호를 내 건 김밥집 문을 열 때, ‘이 집 김밥은 어떤 맛일까?’ 하는 기대감이 드는데 그건 ‘안에 계신 분은 누굴까?’하는 궁금증과 구별되지를 않는다. 그럴리 없는데도 혹여 반가운 사람을 만날 것 같은 설렘을 닮았다.      


주문과 조리를 모두 담당하는 1인 김밥집에 들어서면-선사부터 집의 구조가 그랬다던가-가게 제일 안쪽 깊은 곳에 사장님, 그러니까 음식을 만들어 내는 주인의 자리가 있다. ‘어서 오세요.’ 할 수 있는 자리, 문 열고 들어온 사람이 걸어가 멈춰 서는 자리다. 출입구에서 주방까지 거리를 나의 걸음으로 채우는 동안 주인과 손님의 관계는 명료해진다. 김밥대를 떠나지 않고도 가게 면적만큼은 눈길 한 번에 감싸 안는 사장님의 포지션과 사람을 찾아가 먹을 것을 달라 말하는 나의 동작이 대비되어서다.      


90년 초 시발한 프랜차이즈 김밥집이 인테리어로 구현한 집김밥의 역점은 눈앞에서 말아주는 ‘즉석’에 있어서, 주방은 길거리에 면한 앞으로 나왔고 김밥을 싸는 사람을 훤히 내보이는 구조를 만들었다. 이 전략은 이후 수많은 김밥집 브랜딩의 문법처럼 보였다.     


그런데 그 후로 30년이 족히 지나고도 나는 도무지 누군가의 엄마로 보이는 사람이 길가의 유리창에 붙어서 김밥을 만드는 가게에 익숙해지질 않는다. 이제는 김밥 한 줄이 먹고 싶을 때, 내 손에는 김발이 아니라 스마트폰이 들려 있다. 주변 검색으로 김밥집 리스트를 띄운 후, 엄지손가락이 동네 김밥집 이름을 고루 터치한다. 먹게 될 김밥이 아른거린다. 


눈을 부스스 뜬 채로 부엌으로 향한다, 김밥집 문을 연다. 

부엌에 선 엄마의 모습이 보인다, 사장님이 “어서오세요.” 인사를 한다. 

부엌으로 다가간다, 무얼 주문할지 고심하며 한 걸음씩 주방에 가까워진다. 

엄마 앞에 앉는다, “사장님, ○○ 김밥 한 줄이요.” 하고 기다린다.     


남이 싸 준 김밥이 맛없던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는데, 입맛을 다시며 다시 찾는 장소는 하나같이 김밥 마는 자리가 가게 제일 안쪽에 자리한다. 집김밥의 감성은, 즉석과 위생의 정도를 내 눈으로 확인하는 권한에서가 아니라, 만드는 이와 먹는 이의 관계가 재연될 때에 불려 나오나 보다. 그러니, 알고리즘과는 다른 나만의 김밥집 검색 조건은 김밥 마는 자리가 안으로 쑤-욱 들어가 있는 가게, 한 발 한 발 다가가는 동안 이미 맛있어 버리는 가게다.  아, 그리고 이런 가게에는 배달앱이 울리지 않는다.


<김밥을 마는 자리. 테트라팩 프린팅>


이전 20화 20 투명 앞치마와 chat김복동의 주관적인 이야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