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안 Dec 07. 2020

공간의 사용자 경험은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

BX 디자이너라면 해당 브랜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나 상품이 어떻게 경험될지를 고려하고, 또 앞으로 어떻게 개선할지를 항상 고민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점에서 공간이 메인 프로덕트인 회사에서 어떻게 해야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을지가 많이 고민되었습니다. 몇몇 사례를 통해 제 기준에서 사용자 경험을 개선시킨 경험을 얘기해 보고자 합니다.



개선 사례


1. 쓰레기통 구조

현황

기존에는 <상판 타공형 / 전면 타공형> 두 가지 타입의 쓰레기통으로 사용되고 있었음.

(좌) 상판 타공형 / (우) 전면 타공형


문제 파악

<상판 타공형>


<상판 타공형>

상판 위를 사용할 수 없다.(공간 활용도가 떨어짐).

 뚜껑이나 스윙 덮개가 자주 고장 난다.(수리에 리소스가 들어감)

오물 등으로 쉽게 더러워지고 냄새나 미관상으로 좋지 않다.(청소 리소스가 들어감)

구멍이 크지 않으면 큰 쓰레기 넣기가 불편하다.


<전면 타공형>

<전면 타공형>

전면 구멍 높이만큼 쓰레기를 버릴 수 없다.(공간 활용에 있어 비실용적)
→그래서 자주 쓰레기가 차올라, 자주 비워줘야 한다.(청소 인력 소모가 많이 들어감)

마찬가지로 쓰레기통 입구에 오물 등이 쉽게 묻어 더러워진다.












SO.

<서랍형 쓰레기통>

<서랍형>으로 변경.

구멍이 뚫린 곳이 없기에 미관상 개선됨. 

서랍을 열면 쓰레기통 입구 전체가 드러나기 때문에 쓰레기를 넣으면서 오물 묻을 걱정이 없다.

서랍 안 공간 전체를 쓰레기통으로 쓸 수 있기 때문에 쓰레기를 훨씬 많이 버릴 수 있다.(청소 인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2. 문서수거함 

현황

기존에는 문서 종이를 넣는 투입구가 상판 길이를 짧게 하여 위쪽에 투입구가 있는 구조.

(기존 문서수거함 형태)


문제 파악

옆 다른 서랍 혹은 쓰레기통 상판 높이가 비슷하여 사람들이 입구를 잘 찾지 못한다.
특히나 바로 앞에 서서 보면 투입구를 직관적으로 보기 쉽지 않다.

(구멍 어딨니... 입구 어딨니...)


SO.

(변경 된 문서수거함)

앞쪽 상판 면 중간에 구멍을 뚫어 문서를 넣는 투입구를 직관적으로 보이게 개선.




3. 로고 프레임

현황

입주사들이 본인 호실을 표현하고 싶은 수요가 파악되어 각 호실별 <로고 프레임>을 설치함.

로고 시트지가 붙여진 아크릴 판을 좌우로 뺄 수 있는 형태로 입주사가 바뀔 때마다 아크릴 판을 바꿔주는 형식.

(초기 로고 프레임 형태)


(관성의 법칙을 배울 수 있는 기존 로고 프레임)

문제 파악

좌우로 빼기에 문 폭이 아크릴 판보다 좁아서 삽입된 아크릴 판을 뺄 수가 없었음. 그래서 다시 떼어내어 검정 철제 판 자체를 자석 형태로 부착할 수 있게 재부착..
→ 아크릴 판을 바꿔줄 때마다 전체 프레임을 떼어내야 하는 번거로움 발생

도어를 여닫을 때 관성 때문에 좌우로 이동하며, 아크릴 판 위치가 변함.
→ 결국 맨날 제자리를 끼워주어야 하는 수고가... 발생. (관리의 리소스가 너무 들어가 버리는 형태가 되어버렸다..)








SO.

위에서 아래로 삽입할 수 있는 형태로 바꿔서 문 폭에 상관없이 교체할 수 있고, 관성에 따라 움직이지도 않게 수정.

또한, 아크릴 판도 투명 아크릴 + 종이로 변경하여 단가는 낮추고 퀄리티는 올렸다.

(기존에는 아크릴 판 자체를 변경해야 해서 개당 2-3만 원 단가. 투명 아크릴 + 종이로 변경 이후에는 종이만 갈아 끼워 2-3천 원대로 낮춤 / 이 정도면 단가의 혁신 아닐까^^)




4. 에스컬레이터

현황

우측으로 운행되는 에스컬레이터가 있는 지점에서 고장이 잦아 점검 진행.

알고 보니 에스컬레이터가 일제라 좌측으로 운행이 되어야 했었다.(반대 방향으로 운행하고 있어서 고장이 잦았다) →기존과 방향을 바꿔 좌측으로 운행

(지금 보니 바닥 층수 표기도 방향이 있었는데 왜 몰랐을까...)


문제 파악

기존에 우측통행이었기도 하고, 기본적으로 통행이 우측 보행이다 보니.. 사람들이 무의식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가서 사고 위험성이 높아짐.

에스컬레이터 앞쪽이 물기가 묻으면 매우 미끄러워 특히나 비 오는 날에는 위험성이 더 커짐.

(다시 봐도 바닥 층수 표기 방향이 있었는데 왜 몰랐을까...)


SO.

(최소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보통 많이 쓰는 시트지 등으로 방향을 표시하려 했으나 부착위치도 애매하고 훼손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

그래서 직관적으로 방향을 인쇄하여 동선에 혼동을 줄이고, 물기도 닦일 수 있는 발판을 제작 및 설치.




5. 창 측 바 테이블

현황

창가 쪽 라디에이터가 있는 곳에 상판을 제작하여 창가 쪽을 바라보는 형태의 바 테이블이 설치되어 있었음.

(기존 바 테이블)


문제 파악

라디에이터를 가릴 목적으로 라디에이터 폭과 동일한 폭으로 책상 제작
→그래서 의자에 앉으면 무릎이 라디에이터에 부딪혀 들어가지 못해 불편하다.

(무..무릎이.. 안들어 가..)


SO.

(무릎이 들어갑니다..)

라디에이터 폭보다 더 넓은 폭으로 제작하여 라디에이터도 가리고, 무릎도 들어가 이용도 편하게 할 수 있게 개선.




나는 무엇을 느꼈나

크게 생각나는 사례들을 적어 보았는데, 실제로 읽어보면 이게 그래서 뭐? 할 수도 있고 크게 변화를 못 느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저는 여기서 역시 고객 입장에서 '직접' 겪어봐야 한다는 것을 한 번 더 깨달았습니다.

디자이너라고 앉아서 예상이나 이론에 따라 컴퓨터만 두드리기보다는 현장에 나가서 타 직군들과 얘기도 해보고, 실제 고객 접점인 곳에 상주해 보기도 하고, 고객 입장처럼 이용해 보면서 생산자의 입장에서 벗어나 보는 경험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실제 대부분의 문제를 직접 써보거나, 현장에서 일하시는 크루, 고객들의 목소리를 통해 파악할 수 있었거든요.

문서수거함도 커뮤니티 데스크에 앉아 있었는데 입주사분이 오셔서 문서수거함이 잠겼는데(문서수거함은 보안 때문에 잠겨져 있음) 어떻게 사용하냐 하시길래 보았더니 입구는 가려져 보이지 않았고, 에스컬레이터도 방향이 바뀐 걸 알면서도 무의식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가서 다칠 뻔한 상황도 있었고, 바 테이블도 직접 앉아보니 너무 불편해서 별로 앉고 싶지 않았습니다.


특히나 앞서 말한 것처럼 저희는 공간 기반의 프로덕트를 만드는 회사이기 때문에 최대한 열심히 돌아다니며 이곳저곳 방문 및 이용을 해보는 경험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고객 접점에 있는 커뮤니티 매니저와 친분을 유지하면서 그들 입에서 아무렇지 않게 나오는 VOC나 개선할 수 있는 요소를 캐치! 하는 것도 공간 기반의 BX 디자이너가 필요한 역량 중의 하나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래서 굉장히 체력도 은근 중요한 거 같고... 노는 거 같아 보이는 시선도 참아야 하고.. 하는 그런...^^)




사실 저는 위에 같은 사항이 시각적인 포트폴리오로 어떻게 쓰일 수 있을까 참 고민이 많습니다.  

제가 인테리어 디자이너라면 모를까 전 그래픽 기반에 BX 디자이너이니까요. 그렇지만 이런 일들을 하면서 이런 생각도 많이 바뀌어 가고 있는 것 같아요. 브랜드 경험이란 단순히 보이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를 경험할 수 있는 모든 접점에서 사용성이 개선되거나 좋은 인상을 남겨줘야 한다는 점을 느꼈습니다. 제가 추구하는 방향이기도 하고요.. 그래서 저는 저만의 강점을 쌓아 간다고 생각합니다!

작가의 이전글 디자이너도 파워포인트(ppt)가 필요하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