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진우 Sep 08. 2018

서치

'엄마도 자랑스러워 할 거야'


오프닝 시퀀스에서부터 이 영화는 관객들의 집중력을 최대치로 끌어올린다. 그 너무나도 익숙한 배경에, 그 너무나도 친숙한 모양을 가진 마우스 커서의 움직임을 나도 모르게 따라가고 있는데, 순간 정신을 차렸을 때 느껴지는 이 신선하면서도 낯설지 않은 익숙함이 작지 않은 충격으로 다가왔다.


누군가 사라지고, 사라진 누군가를 찾아 그 흔적을 추적한다는 이 익숙한 플롯이 이렇게 새롭게 다가온다는 사실만으로도 이 작품의 가치는 분명하다 여겨진다. 그런데 동시에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가족' 이란 존재에 대한 성찰과 그 주제의식은 뚜렷하게 제 역할을 다 해내고 있으니 더욱 놀라울 따름이다.

  페이스북, 텀블러, 유튜브, 페이스 타임 등 이 시대에 우리 모두가 애용하는 일상 속에 자연스럽게 자리하고 있는 온라인 서비스를 적극 활용한 부분이 이 영화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점임과 동시에 가장 큰 장점이라고 여겨진다. 어떤 말이 다음에 오게 될지를 끊임없이 생각하게 만드는 그 짧은 순간순간의 채팅창 커서의 깜빡임은 전혀 예기치 못한 부분에서도 깊고 짙은 몰입감을 불러일으킴과 동시에 긴장의 끈을 놓지 않게 만든다.

생각하면 할수록 참 신박하고 매력적인 연출이다. 단지 컴퓨터 화면을 띄워 놓고 채팅창에 몇 마디를 적고 지우기를 반복, 사진과 영상을 정리하고 달력 어플리케이션을 보여주는 것만으로 그들의 상황과 서로가 느끼는 애틋함과 감정들까지 느껴지니, 예상한 것보다 많은 것들을 담아내고 표현 해 내는 것 같아 더 인상적으로 다가오지 않았나 싶다.


우리는 이런 시대에 살고 있다고 말하고 있는 듯했다. 실제 얼굴을 맞대고 있는 시간보다 몇 인치, 몇 인치 하는 어떤 크기를 가진 스크린을 통해 서로를 보는 시간이 더 많아진 시대, 나만의 글씨체가 아닌 누군가 정해 놓은 똑같은 모양의 폰트만을 사용하는 시대. 그러한 시대를 등 뒤에 세워둔 채, 온라인이라는 벽으로 앞을 막아 놓은 채, 내 진심은 누구도 볼 수 없게끔 가리고 숨겨둔 채, 이러한 시대에 우리는 살아간다고 영화는 말하려고 하는 듯했다.

시대가 변하고 그 시대에 맞춰서 영화도 변화한다고, 영화라는 매체는 이렇게 계속해서 진화하고 신선할 수 있다는 걸 세상에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생각된다. '아니쉬 차간티' 감독, 그의 첫 연출작이라는 게 믿기가 힘들 정도로 세련되고 멋진 영화다. 앞으로의 행보가 상당히 기대된다.


단언컨대 극장에서 한번 더 볼 것을 확신한다. '서치' 정말 끝내준다.

매거진의 이전글 너의 결혼식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