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HAN Dec 14. 2023

이제 소주 한잔 하겠습니다.

2차를 시작해볼까

올해는 이상했다.

찬바람이 불고부터

뜨끈한 국물에 소주 한잔이 그렇게 땡겼다.




소주와 빠이한지 어언 13년째.

결혼 전 남편의 친구들과 밤마다 피크를 달리던 시절엔 이렇게 술을 끊고 살 줄은 나도 남편도 내 주변도 정말 상상도 못했다.

소주에 거리낌이 없던 그 시절.

신나게 마시고 떠들고 2차를 가고, 3차로 노래방까지 갔다 결국 아침엔 콩나물해장국에 또 한잔하고 다니던 그때에 난 20대와 30대 초반이었다.


결혼 후 누구나 그렇듯 아이를 가져야 한다. 작은 나이가 아니다. 그건 시댁에서도 나의 내면 속에서도 줄기차게 따라온 강박적 무언의 압박이었다.


아이를 갖곤 완전히, 낳곤 수유를 이유로,

세상 누구보다 가장 멀리하게 된 소주. 나의 20대를 거쳐 30대를 화려하게 장식해 줬던 소주를 그렇게 딱 13년 함께한 만큼 13년간을  한번 돌아보지도 않고 매몰차게 등지고 살아왔다.




이제 아이가 사춘기 느낌 물씬 나는 12살, 곧 한 달 뒤엔 13살이 되는 시점이다. 술은 아이로 끊었으니 아이로 다시 시작인가.


점점 아이는 부모와 함께하기보단 친구와의 시간을 더 원하고, 자신의 일정을 알아서 하게 되자 내손은 밥때와 간식 때만으로 줄어들게 되었다. 물론 더 어렸던 나이 때보단 성숙한 아이와의 대화가 좀 더 잘 되는 건 참 신기한 일이다.

아이를 키우고 커가는 과정을 경험하는 건 부모로서 신기한 일 투성이긴 분명하다.


앞으로의 내 일에 대해, 나의 40대에 대해, 건강을 서로 걱정하는 남편과 나를  진지하게 마주 보아야 할 때인 것 같다.

그리고 소주가 문득 그리워진 것이리라.




소주를 한잔 마셨다.

20대의 나도 소주 첫 잔은 그렇게 쓰디썼다. 결코 달지 않았던 기억이다. 물론 두 잔 이후부턴 달디단 맛이었던 것도  분명하다.

지금 40대의 나도 역시 소주는  첫 잔의 맛이 몹시 썼다. 하지만 그 쓴 느낌이 이십 대와 같은 건 아니다. 다른 맛의 인생 좀 그래도 살아본 그 씀이다. 50대, 60대 땐 또 그 쓴 맛이  달라지리라.


이젠 다시 소주다.

남편과 가끔 밤산책길에  굳이 거창한 안주와 진지한 대화가 없더라도 따끈한 국물에 소주 한잔하고 손 꼭 잡고 집으로 돌아와도 꽤나 괜찮은 나일 듯하다.






작가의 이전글 새벽 6시 반에 레몬차를 끓이는 여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