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평론가 청람 김왕식 Jun 16. 2024

교육의 문제점과 대안책을 선생님이 묻고  제자가 답한다

문학평론가 김왕식





한국 교육의 문제점과 그 대안책을

선생님이 묻고  제자가 답한다.






교육은 '백년지대계'라 했다.
허나
요즘의 교육 정책은 수시로 바뀐다.
이에 모든 고통은
고스란히
직면한 학생과 학부모가 받는다.

이에 대해
교육에 각별한 관심을 갖고 있는
제자가 있어
심도 있게 대화를 나눴다.

제자는
정상적인 공교육을 받았지만  중간중간 부족한 교과목은  여느 학생들처럼  사교육으로 보충했다  
또한  입시를 앞두고  혼자 하기 힘든 구술 면접 교육도  약 3일 정도 받았다.  
고교 3년  대체로 자기주도학습을 했지만  
그리 녹록지만은 않았다.  

하여  

공ㆍ사교육을 바쁘게  넘나들며 결국  힘들게

S대를 합격하고  독어교육 및  영어교육을 복수 전공했다.


이번엔
뜻한 바 있어  
같은 대학원 독어교육과 석사과정에 입학하여
공부에 매진하고 있다.




선생님과 제자
고즈넉한 찻집에 앉아
잔잔히 흐르는 음악을 들으며
차를 마신다.

선생님께서
제자에게 묻는다.

" 자네, 한국 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제자는 마시던 찻잔을 내려놓고
차분한 어조로 답한다.

"경쟁 중심의 교육 시스템이 가장 큰 문제인 것 같아요. 학생들은 대학 입시를 위해 과도한 압박을 받고 있고, 이는 창의성과 자기 주도적 학습을 저해하고 있어요."

한국의 교육 시스템은 매우 경쟁적이다. 학생들은 대학 입시를 위해 높은 성적을 유지해야 하며, 이는 과도한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이러한 압박은 학생들이 창의적이고 자율적으로 학습하는 데 방해가 된다.

"맞아, 그렇다면 대안으로는 무엇이 있을까?"

" 예, 선생님, 저는 교육 평가 방식을 다양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기반 평가, 그룹 작업 등을 통해 학생들의 다양한 재능과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좋겠어요."

경쟁 중심의 교육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평가 방식을 다양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다양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창의성과 협력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이어 선생님께서는
또 다른 질문을 이어간다.

 "다음으로 또 다른 문제는 뭐라고 생각하나?"

 "여전히 많은 학교들이 주입식 교육을 하고 있다는 것이에요. 이런 방식은 학생들이 지식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게 하고, 비판적 사고 능력을 기르는 데 한계가 있어요."

주입식 교육은 학생들이 단순히 지식을 외우는 데 집중하게 만든다. 이는 비판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 데 어려움을 준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

제자는 한참을 생각하더니
조심스레 입을 연다.

"학생 중심의 교육 방식을 채택해야 해요. 예를 들어, 토론, 사례 연구, 실습 중심의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탐구하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해야 해요."

주입식 교육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학생 중심의 교육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스스로 생각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이를 받아
다음을 질문한다.

 "그럼 사교육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나?"

"한국 학생들은 많은 시간과 비용을 사교육에 투자해요. 이는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학생들의 여가 시간을 줄이죠."

과도한 사교육 의존은 학생들에게 경제적 부담을 주며, 여가 시간을 빼앗습니다. 이는 학생들의 전인적 발달을 저해한다.

"그래, 그럼 어떤 대안이 있을까?"

"정규 교육과정을 강화하고, 학교 내에서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해요. 또한, 학교 내에서 창의적이고 실질적인 학습 기회를 늘려 사교육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수 있어요."

사교육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정규 교육과정을 강화하고, 학교 내에서 다양한 학습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학교에서 충분히 배울 수 있다.

이번에
선생님은 정서적 측면을
질문한다.

 "학생들의 정서적, 심리적 지원은 어떻게 생각하나?"

"많은 학생들이 학업 스트레스와 경쟁 압박으로 인해 정서적, 심리적 문제를 겪고 있어요. 그러나 학교에서 이에 대한 충분한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어요."

학업 스트레스와 경쟁 압박은 학생들의 정서적, 심리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학교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충분한 지원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선생님은 이에 대한
대안을 질문한다.

"그렇다면, 학교에서 어떤 지원이 필요할까?"

교육학을 공부하는 제자답게
매우 전문성을 갖고 답변한다.

"학교 내에서 정서적, 심리적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상담 프로그램과 정신 건강 서비스를 확대해야 해요. 또한 교사들에게 학생들의 정서적 지원을 위한 교육을 제공해야 해요."

정서적, 심리적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학교 내에서 상담 프로그램과 정신 건강 서비스를 확대하고, 교사들에게 정서적 지원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기술적 적응과 혁신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나?"

"급변하는 기술 사회에서 한국 교육은 새로운 기술과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지 못하고 있어요. 이는 학생들이 미래 사회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하는 데 있어 한계를 가지게 만들죠."

급변하는 기술 사회에서 한국 교육은 최신 기술과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학생들이 미래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만든다.

"그렇다면,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

"교육 과정에 최신 기술과 트렌드를 반영해야 해요. 예를 들어, 코딩, 디지털 미디어, 인공지능 등의 주제를 교육 과정에 포함시키는 것이 중요해요."

기술적 적응과 혁신을 위해서는 교육 과정에 최신 기술과 트렌드를 반영해야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현대 사회의 요구에 맞는 기술과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선생님께서는 끝으로 한 마디 더 하신다.
 " 학교와 사회 간의 연계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나?"

학생은 야무지게 답한다.

"학교 교육과 실제 사회의 요구 사이에는 큰 격차가 있어요. 이로 인해 학생들이 사회에 나갔을 때 현실과 이론 사이의 차이를 경험하게 되죠."

학교 교육과 실제 사회의 요구 사이에는 큰 격차가 있다. 이는 학생들이 사회에 진출했을 때 현실과 이론의 차이를 경험하게 만다.

"어떻게 하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학교 교육과 산업계, 지역 사회와의 연계를 강화해야 해요. 예를 들어, 인턴십, 현장 학습, 프로젝트 기반 학습 등을 통해 학생들이 이론과 실제를 연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해요."

학교와 사회 간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 산업계, 지역 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실제 사회에서 필요한 경험과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두 사람의 대화는 끊임없이
이어졌다.

일반적으로 학생이 선생님께 질문하여
고견을 듣는데
이번 대화는 역의 관계다.
그만큼 선생님은 제자의 능력을 믿었던 것일 게다.

역시 제자는
교육학을 전공하는 학생답게
전문성을 갖고
한국교육의 문제점과 그 대안책을 제시했다.
 그 선생님의 그 제자였다.

이 제자의 미래를 생각해 본다.
10년 후
어떤 모습으로
우리 교육계에 일익을 담당할지
자못 기대가 된다.



ㅡ 청람 김왕식










.

작가의 이전글 김인덕 시인의 시 '억새꽃'을 청람 평하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