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단상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진상명 Feb 01. 2022

앓고 있는 병을 내게 옮겨주세요

『구의 증명』을 통째로 씹어 삼키며

'만약 네가 먼저 죽는다면 나는 너를 먹을 거야.
(중략)
그래야 너 없이도 죽지 않고 살 수 있을 거야.' 
최진영, 『구의 증명』, 은행나무(2015)



너라는 기억의 몸뚱아리가 썩어 문드러질 때까지 살점 하나 남기지 않고 갉아먹고 뜯어먹고 핥아먹고 빨아먹고 절여먹고 말아먹어야 한다. 그래야 너는 홀로 사라지는 게 아니라 비로소 같이 살아질 수 있을 테니. 너의 존재와 부재를 증명할 방법은 그것밖에 없다. 이 크고도 좀 만한 구球 속에서 아끼는 거 쓸 데 없는 거 다 잃고서 잊고서 모든 게 텅 비어 너와 나만 남았을 때서야 깨끗하게 꽉 찬 사랑의 본질이 육감으로 느껴질 테니. 구球의 밀도를 조절하는 것은 오직 사랑뿐.


'너의 무거운 어둠을 내게 전부 심어줘' (0, 우물)


'피를 좀 더 흘려줘요 내게 침을 뱉어줘요 앓고 있는 병을 내게 옮겨주세요' (백치, 쏜애플)


'그대는 내 혈관의 피 그대는 내 심장의 숨 그대는 내 대지의 흙 그대는 내 바다의 물' (창세기, 9와 숫자들)


최진영 작가는 이 소설을 쓰다 지치거나 불행해지면 9와 숫자들의 '창세기'를 반복해 들었다고 한다. 그러나 나는 이 소설을 반복해 읽으며 위와 같은 가사들을 떠올렸다. 구와 담 만큼 나도 격앙됐고 끈적한 기억이 떠올라 애먼 부스러기를 털고 있던 걸까. 첫 장을 펴고선 앉은 자리에서 한달음에 꿀꺽 삼켜버렸다.


더부룩한 포만에 속을 쓸며 버스에 타서 구와 담에 관하여 멍하니 생각했다. 담은 구를 씹고 삼키는 데 한참 걸렸겠지. 그것이 오직 담만이 할 수 있는 구에 대한 질긴 애도의 방식이었을 터. 구口라는 수단으로.


구는 천 년을 이야기했지만, 어쩌면 구와 담은 창세기에 만나 사랑하던 사이가 아니었을지 상상한다. 무참한 신은 그들이 온전히 서로를 느끼고 씹어 삼켜 하나의 구球가 됐을 때 다시 둘을 갈라놓고 뿌린 거지.


한 독자가 이런 평을 남겼다. 두 사람이 이렇게까지 절절한 이유를 모르겠다고. 그럴 수 있다. 그럴 수 있다, 이것은 두 가지 의미의 이해다. 그렇게 생각할 수 있다는 것과 '이렇게까지 절절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한.

신은 참혹하며 구球는 무심하고 삶은 황폐하여, 우리는 우리를 갉아먹는 곳에 발 붙이고 있으니까.


그럴 수 있다, 다 그럴 수 있다.

구럴 수 있담.

●○


'터무니없는 것을 받아들여야 할 때 믿음은 아주 유용하다. 말도 안 돼, 라는 말이 튀어나오는 일에야 믿음이란 단어를 갖다붙일 수 있다는 말이다.
일단 믿으라. 그러면 말이 된다.'
최진영, 『구의 증명』, 은행나무(2015)
매거진의 이전글 영화와 음악을 기억하는 방식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