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채한리 Chae Hanlee Aug 23. 2023

작가의 멜랑콜리

(한국미술재단 아트버스카프의 미술사랑 2022 5월호에 게재한 글)

예술은 “그리움”에서 출발한다. 그리움은 몸의 아주 오랜 기억과 관련된 마음의 문제로서, 그 엑기스는 “멜랑콜리”다. 그래서 어떤 이론가는 멜랑콜리를 “영혼의 검은 멍”이라고 부른다.  작가가 먹고사는 것이 바로 멜랑콜리다. 


멜랑콜리는 사랑과 죽음이 스쳐간 자리에 “아무것도 없음”을 보았을 때 생기는 고통스러운 감성이다.  이 감성의 영역을 가르는 경계선이 있다. 경계선 이쪽에서 멜랑콜리는 무(無)를 응시하고 관조하는 지혜로운 정서이며, 고통은 삶의 의지와 에너지로 승화한다. 경계선 저쪽에서 멜랑콜리는 무에 대한 환멸감과 두려움 및 극심한 죄책감으로 농축되고, 고통은 우울증이라는 병으로 진행한다.   


작가에게는 창작 욕망이 있다. 이 욕망이 그의 멜랑콜리를 경계선 이쪽에 머물게 하고, 백상현이 말하는 것처럼 “우울증으로의 파국을 지연”시킨다. 그러나 작가의 감성이 지나치게 격렬하면 그의 멜랑콜리는 저편으로, 우울증의 늪지대로 범람한다. 


뭉크 (Edvard Munch: 1863-1944) 작품의 인물은 만사가 무의미하게 느껴지는 극심한 무기력과 권태에 지쳐 있다. 김동규의 표현대로 “몸이 의식에 갇혀”있는 상태다. 감상자는 직관적으로 그림 속 이야기가 작가 자신의 이야기임을 안다. 반면에 피카소 (Pablo Picasso: 1881-1973) 작품의 인물은 통곡을 하지만, 감상자에게는 그 슬픔이 병적으로 느껴지지 않는다.  작가가 비통해 하면서 그렸다는 생각도 안 든다.  그저 작가가 마음껏 자유롭게 그렸다는 확신을 준다. 


멜랑콜리는 본래 서구적 감성이다. 그러나 검은 담즙(멜랑콜리의 원래 의미)을 뚝뚝 떨구는 기형도(1960 - 1989)류의 예술이 우리의 사랑을 받은 지 이미 오래다.  멜랑콜리는 더 이상 낯선 정서가 아니다.  


작가의 기분은 “정상”과 “비정상”을 수시로 왕복한다. 예술의 여신 뮤즈에게 작가의 멜랑콜리가 건강하냐 아니냐 하는 것은 사소한 문제일 것이다.  뮤즈가 이토록 매정하기에, 그녀를 짝사랑하는 작가는 사람을 그리워할 때 못지않게 멜랑콜리해진다.  


.


뭉크 <저녁__ 멜랑콜리 I, 1896>

MoMA

https://www.moma.org/collection/works/73795

피카소 <우는 여자 I, 1937>

MoMA

https://www.moma.org/collection/works/154917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