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강용원 Aug 03. 2024

옆 기대기 풍조에 부치다

  

지하철은 참으로 다양한 인간 행태를 관찰할 수 있는 공간이다. 대부분 스마트폰 들여다보는데 무슨 말인가 하겠지만 대부분 자던 풍경과 비교하면 뭐 꼭 그렇지만은 않다. 똑같은 행동을 하더라도 각양각색이기 마련이다. 요즘 내가 궁금해하는 색다른 풍조 하나가 있다. 많은 사람이 인지하지 못하거나 인지하더라도 신경 안 쓰고 넘어갈 문젠데, 옆 기대기 이야기다.   

   

전동열차 맨 앞이나 뒤 칸 가로 벽은 보통 너덧 사람이 기대서서 간다. 언제부턴가 기대는 방식이 달라졌다: 등을 대어 뒤로 기대지 않고 한쪽 어깨를 대어 옆으로 기댄다. 내가 이런 기대기를 불편하게 느껴서 유심히 살피게 됐다. 내가 뒤 기대기로 섰는데 어느날 누군가 옆에서 내 얼굴-실제로는 그 사람 스마트폰-을 보는 자세로 기대는 바람에 촉발된 일이 분명하다.  

    

며칠 동안 궁금해했다: 왜 사람들이 저런 옆 기대기로 바꾸었을까? 정답 없는 문제일 수도 있지만 내 결론은 코비드-19가 몰고 온 불안이 폐쇄 의식을 증폭시켰다, 다. 옆 기대기를 하면 뒤 기대기보다 폐쇄 면이 배가된다. 뒤 기대기는 등과 가로 벽이 폐쇄 면 하나를 이루지만, 옆 기대기는 어깨와 가로 벽으로 하나, 타인에게 돌린 등으로 둘, 이렇게 폐쇄 면이 늘어난다.  

   

폐쇄 면을 늘려 자신을 보호하려는 이 본능 또는 무의식은 팬데믹 이후에도 계속해서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 사람들 심리와 맞닿는다. 마스크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사람 대부분은 불안 지수가 높다. 불안 지수가 높은 사람이 위험에 더 잘 대비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대비 능력이 떨어지는 탓에 불안이 증폭된다고 거꾸로 생각하는 게 진실에 더 가깝다.  

   

옆 기대기 풍조가 우리 사회에 어떤 구체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없다. 그러나 이런 경향이 계속되고 증강될 때 공동체성은 약해진다는 추론이 불가피하다. 아니다. 그 반대다. 제국이 부리는 신자유주의 주술에 걸린 개인이 저렇게 고립되고 소외되는 거다. 사소한 문제처럼 보일지 몰라도 이런 풍조가 더 결 지고 겹 지면 평범한 인간 모두가 참혹함으로 내몰리고 만다.    

 

문제 삼아야 살아남을 수 있다. 문제 삼기 위해 섬세하고 치밀하게 사유하는 습관부터 길러간다. 대충 사유하고 대번 판단하면 대병 들어 죽기 마련이다. 이미 우리는 그 길로 너무나 깊숙이 들어왔다. 이제부터라도 죽을힘을 다해 살길을 찾는다. 제국이 풀어 놓은 악한 주술을 확인하고, 내가 거기 걸려 있음을 직시하고, 함께 벗어나서, 팡이실이 선한 주술로 번져간다.    

       


작가의 이전글 문제는 하청제국주의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