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권순범 Dec 24. 2023

<노량: 죽음의 바다>, 명량과 한산 그 사이에서

<명량>의 열기, <한산>의 이성


<노량: 죽음의 바다>를 봤습니다.


<명량>과 <한산> 사이에서 적절한 타협점으로 균형을 맞춘 영화입니다. 감정적으로 진한 드라마는 <명량>의 열기를 닮았고, 치열한 지략 싸움은 <한산>의 이성을 닮았습니다. 하지만 시리즈의 마무리 작품인 만큼 무게 중심은 <명량>에 좀 더 두었습니다. 태산 같은 위인의 마무리를 어떻게 보여줄지 고민이 많았을 텐데, 이 정도면 최선인 것 같다가 한편으로 아쉬움도 남습니다.


전반부의 외교 장면은 크게 돋보이지 않습니다.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처럼 엄격하고 절제된 연출로 드라마를 이어나갑니다. 감정적인 부분은 발라내어 <명량>처럼 난잡하지 않습니다. 다만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에 머물러 있어 기능적으로 느껴집니다. 복합적인 인간의 내면을 다루기보단 대국이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 집중합니다. <한산>은 해전 장면만큼이나 전반부 드라마 장면이 중요했는데, <노량>은 전반부 드라마에 중점을 두지 않습니다. 이순신 장군의 우직함과 아들을 잃은 슬픔을 비중 있게 다루지만, 정작 영화의 테마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노량>의 핵심은 '도대체 왜 싸우는가'라는 질문에 맞닿아 있습니다만, 희미하고 옅어서 존재감이 약합니다. 영화가 무척 조심스럽게 이야기를 다루고 있어 흡사 살얼음을 걷듯이 나아갑니다. (마치 탱크처럼 나아간 <서울의 봄>과 대조적입니다.)

이순신 장군의 슬픔을 드러내는 꿈 장면은 인상적입니다. 셋째 아들의 죽음이 이순신 장군의 필생의 아픔이었는데, 김훈 작가의 <칼의 노래>이 떠오를 만큼 묘사가 절절합니다.


결국 드라마의 측면에선 <명량>보단 좋았지만 <한산>보단 아쉬웠습니다. 영화 <한산>에서 '의(義)'라는 테마가 흥미롭게 드러났다면, 이번 <노량>은 테마가 희미합니다. 이야기가 다루고 싶은 큰 틀은 있는 것 같은데, 위인의 마무리에 신경 쓰느라 제대로 다루지 못합니다. 아무래도 마지막 작품인 만큼 <명량>에서 타협점을 찾아 균형을 맞추려고 한 것 같습니다.



해전 장면으로 들어가면 치열한 전술 싸움이 쾌감을 선사합니다. 해전 전반부는 <한산>이 떠오릅니다. 서로의 약점을 찾아 맹공을 펼치는데, 흡사 바둑을 보는 느낌입니다. 묘수, 변수, 실착이 오가는데, 이를 능수능란하게 구성하여 한 판의 치열한 전략전술 게임을 보는 것 같습니다. 연출도 부감과 버즈 아이즈 뷰를 활용하며 조망하는 감각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관객을 전쟁의 한복판에 두기보단 지켜보는 관전자로 둡니다. (게임 스타크래프트처럼 말이죠.) 야간에 일어나는 전투임에도 불구하고 관객이 명확하게 전장을 알 수 있습니다. 김현민 감독 특유의 연출 노하우가 활약하여 영화 <한산>보다 더 박진감 넘치게 다가옵니다.


해전 후반부는 <명량>이 떠오릅니다. 핸드헬드 기법과 슬로우 모션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며 전장을 실감 나게 전달합니다. 해전 전반부와 연출법이 아예 다르게 느껴질 정도입니다. 갑자기 영화의 연출을 전환하여 카메라를 가까이 두고 전쟁의 고통을 전달합니다. 이 과정에서 의중이 의심스러운 연출도 더러 존재합니다. 스포일러라 자세히 말할 수 없지만 특정 장면은 영화 전체의 감각과 심하게 동떨어져 있어 겉멋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RTS 게임을 하다가 갑자기 1인칭 FPS 게임 '콜 오브 듀티'나 '배틀필드'를 하는 느낌입니다. 관객을 관찰자로 두어 전쟁의 비극을 배제한 채 쾌감을 선사하다가, 뜬금없이 전장의 한복판에서 전쟁의 참혹함을 묘사합니다. 연출의 의도가 영화 전체의 맥락과 상관없을 뿐만 아니라, 그동안 해전 장면을 오락으로 즐긴 관객의 감정을 뒤집습니다. 이 연출과 구성은 그럴 의도가 없더라도, 관객에게 죄책감을 심습니다. 하지만 무엇을 위한 죄책감인지 알 수 없습니다.



영화의 후반부는 장엄합니다. 태산 같은 위인의 마무리에 고민이 많았을 텐데, 장중한 연출로 매듭짓습니다. 웅장한 사운드 활용으로 감정적으로 진한 먹선을 긋고, 마무리 구성을 한 땀 한 땀 공을 들여 묘사합니다. 영화의 종반부는 연출의 승리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다만 마무리를 설득하기 위해 감정이 지나칠 정도로 넘쳐흐릅니다. 위인을 향한 최선의 선택이지만, 조금 늘어지는 것 같아 아쉬움이 남습니다. 관객을 마음을 쥐어짜는 것은 아니지만, 개인 차이에 따라 지루하다고 느낄 수도 있습니다.


쿠키 영상은 조금 이상합니다. 영화의 중요한 질문에 해당하는 대답이 쿠키 영상으로 굉장히 직접적인 대사를 통해 전달합니다. 영화 전체 평가를 바꿀 정도는 아니지만, 영화 본편에 넣어둬야 할 내용을 왜 따로 빼어 구성했는지 의아합니다. 혹시 관객이 모를까 봐 걱정되어 직접적인 설명을 첨언한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설령 그 의도가 맞더라도 구태여 그럴 필요가 있는지 의문입니다.

작가의 이전글 [월간 영화기록] 가을의 기록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