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현 Nov 05. 2023

아부다비에서 온 편지(5)

누가 시키지도 않은 일(1)

누가 나더러 청소를 하고 밥을 하라고 시킨 적이 있었나?

누가 나더러 책을 읽고 요가를 하는 일상을 유지하라고 했었나?

직장에 얽매이지 않은 시간들이 쌓이고 쌓이면서 지금의 나는 ‘누가 시키지도 않은 일을 하고 사는 사람’으로 지내는 중이다.

전에 내가 아끼는 한 분이 지나가는 말로 “나는 누가시키지도 않은 일을 이렇게 열심히 한다.” 이야기 한게 떠오른다. 가볍게 흘렸던 그 말이 새삼 새롭게 다가오는 요즘.


설거지를 하다가 어떤 한 문장이 떠오른다. 얼른 물을 끄고 휴대폰 메모장에 떠오르는 것들을 메모해 둔다.  모아둔 단어와 문장들은 한 편의 글이 된다.

나만 보면 될 글들을 사람들에게 공유한다.

누가 나더러 글을 쓰라고 했나?


인간관계에서도 마찬가지로 누가 시키지도 않은 짓(?)을 많이도 했다 싶다.

애써 그 사람의 입장이 되어 오지랖을 떨기도 하고, 굳이 궁금해하지도 않을 나의 과거를 친구들에게 읊어가며 그들을 내 과거로 불러 들이기도 했다. 같이 하면 좋을 일들을 ‘이건 꼭 다 함께 해야 해.’하며 사람들의 마음을 혼란케 하기도 했다.

사람들은 아마도 ‘굳이... 그렇게 까지...?’하고 생각했을지도 모르겠다.


방 청소를 하다가 마지막으로 뿌린 향(나는 청소 마지막에 항상 향을 뿌린다)이 코 끝을 스치자 떠오르는 사람. 그 사람에게 편지를 쓴다. 여기 아부다비로 떠나온 뒤 부터는 그 간 나를 지나간 인연들과의 기억을 떠올리며 매주 편지를 쓰고 있다. 누가 시킨것도 아닌데..

떠오르는 한 사람을 두고 그 사람과의 기억을 중심으로 둘만의 키워드로 힌트를 주고, 답장을 쓰게끔 하는 편지다. 내 블로그에 공개하여 ‘나일까?’ 추측하게 하는 스무고개식 편지이다.

나름의 ‘함께 글쓰기’로 가는 첫 관문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마음이 열리면 하기 싫은 일도 흔쾌히 하게 된다.

주고받은 편지는 한 편의 글이 된다.

글쓰기 합작을 한 셈이 되는 것이다.

‘우리 함께 글 써보자.’ 하고 시켰으면 알았다며 함께 했을까?

기억을 꺼내오는 작업, 글로 마음을 표현하는 것, 특정한 대상을 떠올리는 시간을 갖는 것...

이 모든 게 ‘편지’라서 가능하다.

편지는 누가 ‘시켜서’ 쓰는 글이 아니니까.

‘함께 글쓰기’는 아마도 쉽고 재미있는 프로젝트로 계속 이어질 것 같다. 편지라는 형식을 빌려서...


직장에 다니고 있지 않은 게 다행인 건가.

틀에 박힌 일, 시키는 일에서 해방되는 자유로움을 느끼는 일상을 지내지만 ‘책임’이라는 무게는 늘 내 맘 한켠에 자리잡고 있다.

학창 시절에도, 직장인 일 때도 늘 틀 밖으로 나갈 생각뿐이었던 나는 아이러니하게 ‘책임’이라는 틀 안에서의 ‘자유’를 누리고 있다.

나를 둘러싼 모든 인연, 모든 상황에 대한 책임은 다름아닌 나에게 있다.

최근 다시 읽은 ‘어린 왕자’에서 ‘책임지는 것’에 대한 대사가 눈에 띄었다.

“넌 네 장미한테 책임이 있어.”

길들이는 것은 관계를 맺는 것이며, 관계를 맺는다는 것은 책임을 진다는 것이다.


“저녁엔 나에게 유리덮개를 씌워 주세요” <어린왕자>


나는 책임이라는 무거운 단어를 ‘사랑’이라고 바꾸어 부르고 싶다.

책임은 막중한 임무 같지만 사랑은 누가 시키지 않아도 할 수 있는 것 아닐까?

’사랑하려 애쓰지 말고 너 자신이 사랑이 되어라.‘하던 누군가의 말이 떠오른다.


내 곁의 한 ‘장미’를 지키는 책임으로 사랑하며 그렇게 하루하루를 살고 싶다.

‘누가 시키지도 않은 일’을 꾸준히 계속하면서...

매거진의 이전글 아부다비에서 온 편지(4)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