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인성 Nov 20. 2023

중국의 토지자원 현황과 이용구조

중국경제지리(3)

경제지리 분야는 지리학 계통에서 크게 자연지리와 구분되는 인문지리 분야의 한 분과이지만, 자연지리적 기초 위에서 그 특성과 지역별 차이에 따른 영향과 분리할 수 없고, 자연지리는 육지의 산, 평원, 사막 등의 부분과 함께 수면 부분인 강, 호수, 바다 등을 주요 대상으로 포괄하고 있다. 한편, 광활한 중국 대륙 각지의 토지자원은 위치·지형·기후 조건, 강과 호수의 분포, 토양·식생·경제 조건, 개발 역사 등에서 다양한 차이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글에서는 중국의 토지 및 수자원의 특성과 관련 내용을 고찰·정리했다. 즉, 토지자원의 특징, 토지자원의 이용 현황과 문제, 그리고 생존의 기본 조건이며 생산 활동의 중요한 기초 자원인 수자원에 대해 고찰·정리했다.

               

중국의 토지자원 이용 구조     

중국은 지구 최대의 대륙인 유라시아 대륙의 동부 그리고 최대의 해양인 태평양의 서안에 위치하고 있다. 국토 총면적은 약 960만㎢로 그 규모가 러시아와 캐나다에 이어 세계 3위이고, 아시아 대륙 면적의 21.6%를 점하고, 남북한을 합한 한반도 면적(22만㎢)의 약 44배에 달한다.


중국 영토의 동서 방향의 길이는 동쪽의 흑룡강(黑龙江)과 우수리강(乌苏里江)의 합류 지점부터 서쪽으로 신장위구르자치구(新疆维吾尔族自治区)의 서단 우차현(乌恰县)까지 5200㎞에 달하고, 남북 방향으로는 북쪽의 모허(漠河)부터 남쪽의 난샤(南沙)군도까지 약 5500㎞이다. 또한 15개 국가와 접경하고 있는 국경선의 길이가 2만 2800㎞에 달한다. 광활한 중국 대륙 각지의 토지자원은 위치 지형 기후 조건, 강과 호수의 분포, 토양 식생 경제조건 개발 역사 등에서 다양한 차이와 특징이 있다.


중국의 지형은 복잡 다양하다. 산지 면적이 토지 총면적의 33.1%를 차지하고 있고 대략 318만㎢이다. 고원은 약 26%(249.6만㎢),  분지는 약 19%(182.4만㎢), 평원은 약 12%(115만㎢), 구릉은 대략 9.9%(95만㎢)를 차지한다. 토지 구성의 측면에서 볼 때, 산지가 많고 평원이 적다. 2009년 현재 전국 2862개 현(县)급 행정단위 중에서 약 65%의 현이 산지에 분포해 있다.


중국은 산지가 많을 뿐만 아니라 지세가 높아 해발 1000m 이상의 산지와 고원이 약 57.3%이고, 이 중 해발 3000m 이상은 약 26%이다. 산지의 고도 차이가 크고, 경사도는 가파르며, 토층이 얇기 때문에 평지와 비교해 볼 때 경작 조건도 떨어진다. 또한 생태자원도 취약한 편이고 이용하기가 적합치 않고 토지 유실과 자원 파괴도 비교적 쉽게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남방의 아열대·열대산지는 생물자원이 풍부하고, 일반적으로 수목의 성장과 다양한 특산품을 개발하기에 적합하다. 서북 지역의 산지는 중국의 주요한 목장이고 평원 지역에는 농업용 관개 수원지가 집중되어 있다.                  


토지 유형과 지역적 특성     

중국의 토지 는 광활한 면적과 다양한 자연 조건의 차이만큼 그 유형이 다양하고 명확한 지역적 특성을 드러내고 있다.


우선 동남부와 서북부의 차이를 보면, 대체적으로 북쪽 따싱안령(大興安崚)에서 시작해 남으로 황하(黃河)의 강줄기, 어얼둬쓰(鄂尔多斯)고원·닝샤염지(宁夏盐池)·통신(同心)지구를 거쳐 곧바로 징타이(景泰), 용덩(永登)과 황수이(湟水)의 계곡 지역에 이르며, 다시 칭장고원(青藏高原)으로 방향을 바꾸어 중국과 미얀마의 국경선에 이르러서 동남과 서북의 두 부분으로 나뉘게 된다.

동남부는 중국의 경작지, 삼림, 초지, 담수, 주민 거주지이자 광·공업 용지와 교통용지가 집중된 지역이다. 또한 농·임·어업의 집산지이며, 목축업은 우리에서 사육하는 것을 위주로 하고 있다.


서북부는 중국 전역의 사막, 빙하와 내륙 하천 및 절대 다수의 천연 초지가 집중되어 있어 목축업 용지가 압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방목을 위주로 하고 있다. 이 지역은 수자원이 부족해 농업용도로 이용하기 어려운 토지 면적이 중국 전국 토지 총면적의 약 1/6을 차지한다.


남북의 차이도 비교적 명확하다. 서북부 목축업 지역은 그 안에서 다시 북부의 건조 관개농업 지역과 남부의 칭장 고랭지 농목업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동남부 농업지대 내에서는 친링(秦岭)산맥과 화이하(淮河)를 경계선으로 북방의 밭농사 지역과 남방의 논농사 위주의 두 개의 커다란 토지 이용 구역으로 나누어진다.

토지 이용 분포는 지형과 해발고도의 차이에 따라 수직적 차이를 보인다.                 



토지의 절대수량과 인구와의 관계     

중국의 토지 총면적은 러시아, 캐나다에 이어서 세계에서 세 번째이고, 주요 농업용지의 총면적 또한 세계에서 수위를 차지한다. 그러나 중국의 인구밀도는 전 세계 평균 수준의 약 3배이고 토지자원의 단위면적당 인구밀도도 높다.

1인당 경작지 평균 면적은 1.52무(亩)이고, 삼림 0.128㏊, 목재 축적량 약 9.412㎥, 천연 초지 3.5무이다. 농·임·목축업 용지의 합계는 평균적으로 1인당 6.7무이다. 이는 세계 1인당 평균 점유량의 1/6에 불과하다. 이 같은 상황에 대응하고자, 중국 정부는 용지 절약과 토지 낭비 근절, 인구 성장 억제를 장기적 전략 목표로 설정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출범 이후, 전국 누계로 4.9억 무의 황무지를 개간했고, 도시와 농촌의 기반시설 건설 및 기타 비농업용도 사용으로 감소된 토지는 약 4.7억 무이다. 따라서 토지의 증가량과 감소량이 비슷한 편이지만, 인구 증가로 인해 1인당 평균 경작지는 감소했다.

중국 내에 이미 개발·이용 중인 토지 면적은 약 98억 무로 국토 총면적의 68%를 차지한다.


경작 면적은 전 국토의 30% 정도이며 1인당 경작 면적은 세계 평균 수준의 약 47%에 불과하다. 아직 이용되지 않고 있는 토지가 약 46억 무이며, 이 중 개간하기 어려운 사막·자갈지대가 약 40억 무로 전국 총토지 면적의 약 28%를 차지한다.

아직까지 전국적으로 약 5.3억 무의 황무지가 있으며, 이 중 약 2억 무는 농지로 개간이 가능한 상태이다. 농지로 개간한 황무지의 농사 적합률을 60%로 계산하면, 개간 가능 농경지 면적은 약 1.2억 무에 불과하다.



중국의 토지자원 이용 현황     

중화인민공화국 출범 이후 중국 정부는 토지개혁을 실행했고, 군중 동원을 통해 일련의 농업 생산 조건을 개선했다.

전국적으로 대규모 농업기반시설을 건설해 구릉과 산지에는 다락밭(계단밭)을 만들고, 호수·해변에는 도랑으로 둘러싸인 밭을 그리고 강·하천·호수들이 많은 곳은 둑으로 둘러싸인 밭과 벽돌로 쌓은 밭을 조성해 농업 생산을 안정시키고 증대시켰다.

동시에 경작제도 개혁, 황무지 개간, 관개 면적 확대, 저생산 토지의 개간, 토지 유실의 관리, 농경지 방어림 조성 등의 방면에서도 상당한 성과를 얻었다.

이 같은 성과에 대해 중국정부는 “세계 9%를 차지하는 토지에서 세계 곡물 총생산량 21%를 생산해 세계 인구의 23%인 14억 인구의 먹는 문제를 해결했다”고 선전하고 있다.      


황무지 개간

중화인민공화국 출범 후 1980년대 말까지 2모작 지구를 확대면서 동시에 5억 무의 황무지와 900여만 무 이상의 임해지역 토지를 개간했다. 헤이롱장(黑龙江), 신장(新疆), 하이난(海南), 윈난(云南) 등의 변경(邊境) 지역에서 대형화·기계화 국영농장을 건립해, 식량 면화 고무나무 및 열대 경제작물의 생산기지를 조성했다.


농업에 적합한 황무지는 약 5.3억 무이며, 주로 북위 35도 이북에 분포하고 있다. 동북지구에 가장 집중되어 있고, 네이멍구와 서북지구가 그다음이며 남방지구에도 일부 분포되어 있다.

황무지 가운데 그 질이 비교적 좋은 것과 중급은 약 1.7억 무이고, 비교적 열악한 것이 3.6억 무이다.

지역적 분포로 보면, 서북 건조 지역에 약 1.8억 무, 동북 3성 및 네이멍구 후룬베이얼맹(呼伦贝尔盟) 동부지구에 약 1.3억 무, 네이멍구의 반건조 초원에 약 4500만 무, 동남부 연해 지역에 개간 가능한 모래지역이 약 2000만 무이며, 하이난과 윈난성의 시솽반나(西双版纳)에 있는 약 300만~400만 무의 황무지에도 고무나무류를 심을 수 있다.

성(省)별로 보면, 황무지 자원이 1000만 무 이상인 곳은 신장, 헤이롱장, 네이멍구, 간쑤(甘肃), 닝샤(宁夏), 랴오닝(辽宁), 윈난, 장시, 광시(广西), 시짱(西藏: 티베트) 등이다.


현재 농지로 적합한 황무지의 약 44%가 사료용 작물 재배에 적합한 천연 초지로의 개발이 가능한 황무지다. 이 중 약 16~20%는 남방의 산지 혹은 구릉에 분포하고, 주로 목본성·식물성 기름작물과 차 혹은 귤 등 경제작물 생산에 적합하다. 이곳의 토지이용률은 50% 정도이다.


농지 개발에 적합한 자원 분포 및 개발 조건을 고려해, 중국 정부는 개발의 중점을 헤이롱장 동북부, 그리고 네이멍구의 후룬베이얼 동부, 그리고 신장지구에 두고 있다.

이곳에서도 특히 농지 개발에 적합한 자원은 산장평원(三江平原), 헤이하(黑河) 지역 그리고 따싱안령 동서 기슭에 집중되어 있다. 이 지역에는 총 1.1억 무의 황무지가 있고, 이 중 비교적 토질이 좋은 것은 약 8000여만 무로 전국 개간 가능 농지의 약 53%이다. 이 지역 황무지 개간의 중점은 산장평원이다.


헤이롱장성 동부 러시아와 접경한 지구에 위치한 산장평원은 흑룡강, 쏭화강(松花江), 우수리강의 3개 강이 만나는 지역으로, 토지 총면적은 10.6만㎢이고, 전체 헤이롱장성 총면적의 23%를 차지하는 중국 내 최대의 개간 지역이다. 현재의 농경지 면적은 약 4600여만 무, 연간 식량 생산량은 50여 억kg으로 콩 등 주요 상품식량 생산지이다.

헤이롱장과 네이멍구 동부지구에서 농지로 개간 가능한 황무지는 아직도 2000여만 무가 있고, 이 중 질이 비교적 좋은 것만도 약 절반 정도를 차지한다. 이런 황무지는 토지가 집중·연속되어 있고, 지형이 평탄하고 넓어 기계화 경작에 적합하다.


신장의 개간 가능 황무지 총면적은 1억여 무지만 질이 그다지 좋지 않다. 즉, 90% 이상이 알칼리화 또는 사막화된 토지다. 따라서 이곳 토지의 개간에는 대량의 물 사용이 요구된다. 신장이 가지고 있는 황무지 자원의 양과 질, 분포 및 개발 이용 조건으로 본다면, 금후 중점 개발 지역은 가얼(噶尔) 북부, 이리하(伊犁河) 유역, 타리무(塔里木) 북부 3개 지구이다.


닝샤인촨(宁夏银川)평원, 간쑤의 허시(河西) 회랑지대의 농업 발전 방향은 식량, 면화, 기름작물을 위주로 하는 것 외에 그 나머지는 사료와 목초 재배 위주의 인공사료 기지를 만들어 목축업 발전을 촉진한다는 것이다.

칭장고원과 헝단산(横断山) 지역에는 농지로 적합한 황무지가 약 1600여만 무 정도 있다. 연해의 9개 성과 2개 직할시의 개간할 수 있는 간석지는 약 2000만 무 정도이다. 간석지의 분포가 좁고 긴 가지 형태를 띠고, 온대, 난온대, 아열대와 열대를 통과하는 지역 차이가 명확해 북부, 중부, 남부의 3개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가운데 중부지구가 개발 역사가 가장 빠르고 개간 정도도 비교적 높다.     


경작지 개조

중국의 현존 경작지 중에 평원 지역에 분포하는 경작지는 약 55%이고 나머지는 구릉과 산지에 분포하고 있다. 현존하는 경작지 중에서 비교적 질이 좋은 경작지가 약 3분의 2이고, 나머지는 각종 장애 요소가 존재하는 경작지이며, 이 중 수렁지 6000만 무, 염전 약 1억 무, 바람·먼지 지역과 가뭄 지역이 약 1.4억 무이다. 이 때문에 생산력이 낮은 밭을 개조하기 위해 대량의 군중 동원 작업을 했다. 1989년 말까지의 수리 건설 실적은 다락밭 9600만 무, 염전지 개량 7324.5만 무이다. 한편, 관개 면적은 1949년의 2.4억 무에서 1989년의 6.7억 무로 증가했고, 2019년에는 11.1억 무로 세계 1위이다. 가뭄·홍수로부터 안전한 농경지 3.8억 무를 조성했다.

    

삼림자원 관리와 조림

한편, 임업을 부흥시키기 위해 일련의 방침과 정책들을 제정·시행했고, 식목일(매년 3월 12일)을 지정했다. 고대에 중국의 삼림 지역은 비교적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었으나, 인구의 증가와 남벌, 그리고 끊이지 않는 전란 등으로 삼림자원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출범 당시 중국 전국의 삼림 면적은 11.5억 무였으며 삼림 복개율은 8.6%에 불과했다. 그 후 1950년대부터 중국은 동북지구 서부, 네이멍구 동부, 허베이 서부, 허난(河南) 동부 등에 농경지 방호림을 조성했다. 서북 지역의 황토고원에는 토지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삼림을 조성했다. 연해의 몇몇 성에는 해안방호림을 조성했다. 1978년부터는 서북·화북 북부 동북 서부 지구에 ‘3북(三北) 방호림’을 조성했다.


1949년 중공 정권 출범 이후, 중국 전국을 대상으로 삼림자원 조사를 7회 실시했다. 2004~2008년 기간 중에 실시된 제7차 전국삼림자원조사(第7次全國森林資源淸査)에 의하면, 중국 전국의 삼림 면적 1억 9545만㏊, 삼림 복개율은 20.4%로 1949년(8.6%)보다 현저하게 높아졌다.(활입목 총축적량 149.13억㎥, 삼림 축적 137.21억㎥) 전국 삼림면적 중 천연림이 66%(1억 1969.3만㏊)를 점유하고 있고, 인공림이 34%(6168.8만㏊)를 점유하고 있다. 인공림 보존 면적은 중국이 세계 1위이다. 단, 삼림 총면적은 러시아, 브라질, 캐나다, 미국에 이어서 세계 5위이고, 삼림 축적량은 브라질, 러시아, 미국, 캐나다, 콩고에 이어 세계 6위이다.

1998~2008년 기간 중 중국 전국의 삼림 면적은 1억 5866만㏊에서 1억 9545만㏊로 증가했고, 삼림 복개율은 16.6%로부터 18.2%로 상승했으며, 활입목(活立木) 총축적량은 124.9억㎥에서 149.13억㎥로 증가했다. 2008년 전국의 삼림 면적은 1억 9545만㏊, 삼림 복개율은 20.4%에 달한다.


제8차 전국삼림자원조사(2009~2013) 결과에 의하면, 중국 전국 삼림면적 2.08억㏊, 삼림 복개율 21.6%이다. 활립목(活立木) 총축적량은 164.33억㎥, 삼림 축적량 151.37억㎥이다. 천연림 면적 1.22억㏊, 축적량 122.96억 ㎥이고, 인공림 면적 0.69억㏊, 축적량 24.83억㎥이다. 삼림 면적과 삼림 축적량의 세계 순위는 각각 5위와 6위이고, 인공림 면적은 세계 1위이다.

조사 결과, 중국의 삼림자원은 수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질적 수준도 안정적으로 높아지고 있고, 효능도 부단히 증가하는 등 양호한 상태로 나타났다. 천연림은 안정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인공림은 천연림보다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인공림의 채벌 비중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또한 삼림의 질과 임종(林種) 구조가 합리적인 방향으로 개선·발전하고 있다. 즉, 방호림(防護林)과 특수용도의 삼림 면적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생태건설을 위주로 하는 임업 발전 전략이 초보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다.

삼림자원이 비교적 집중된 곳은 동북지구의 대·소 싱안령(兴安岭), 백두산(长白山), 서남지구의 쓰촨성(四川省) 서부 및 남부 산맥, 윈난성 대부분, 시짱 동남부, 화남지구 저산 구릉지구, 서북지구의 친링(秦領), 텐산(天山), 아얼타이산(呵尔泰山), 치롄산(祁连山), 칭하이(青海) 동남부 등 산구(山區)이고, 반면에, 광활한 서북지구 네이멍구 중서부 시장 대부분, 그리고 인구가 조밀하고 경제가 발달한 화북지구 중원지구 및 장강 황하 중하류 지구에는 삼림자원이 비교적 적게 분포되어 있다.            



중국의 삼림 성장 추세와 특성

①삼림 면적은 안정적 증가, 삼림 축적량은 급증 추세이다. 즉, 전국 삼림 면적 1266.14만㏊ 순증(净增), 삼림 복개율 1.33% 상승으로 지속적 증가 추세를 유지하고 있고, 전국 삼림 축적량 22.79억㎥ 순증으로 급속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②삼림구조가 개선되었고, 삼림의 질이 부단히 제고되었다. 전국 교목림(乔木林) 중 혼교림(混交林) 면적 비율이 2.93% 증가했고, 진귀(珍贵) 수종 면적이 32.28% 증가했고, 중유령림(中幼龄林) 저밀도림 비율은 6.41% 감소했다. 전국 교목림의 매 ㏊당 축적량은 5.04㎥ 증가해 94.83㎥가 되었다. 매 ㏊당 연평균 생장량 0.50㎥ 증가해 4.73㎥에 달했다.

③임목 채벌 소모량은 감소했고, 소비 대비 생장 임목 축적량 잉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었다. 전국 임목 연평균 채벌 소모량은 3.85억㎥로 650만㎥ 감소했다. 임목 축적 연평균 순생장량은 7.76억㎥로 1.32억㎥ 증가했고, 소비 대비 생장 잉여는 3.91억㎥로 54.9% 증가했다.

④상품림(商品林) 공급 능력도 증가했고, 공익림(公益林) 생태 기능도 강화되었다. 중국 전국 채벌 가능 용재림(用材林) 자원 축적량은 2.23억㎥ 증가(净增)했고, 진귀용재(珍贵用材) 수종 면적은 15.97만㏊ 증가했다.


전국 공익림 총생물량은 8.03억 톤 증가했다. ⑤천연림(天然林)이 지속적으로 회복되었고, 인공림은 안정적으로 발전했다. 중국 전국 천연림은 면적 593.02만㏊, 축적량 13.75억㎥ 순증했고, 인공림은 면적 673.12만㏊, 축적량 9.04억㎥ 증가했다.      


남방 산지와 구릉의 이용

중국 남방의 산지·구릉은 주로 윈난, 구이저우(贵州), 쓰촨, 후난(湖南), 후베이(湖北), 광동(广东), 하이난, 광시, 푸젠(福建), 저장(浙江), 장시, 장쑤(江苏), 안후이(安徽), 상하이 등지에 분포한다. 이런 산지에서는 풍부한 동식물자원과 광산자원이 있고 에너지원이 잠재하고 있다.


이들 토지의 개발·육성·이용·경영은 지역 실정에 적합한 방식으로 다양한 경영을 통한 전면적 발전을 추진 중이다. 산지의 자연 조건이 복잡하고, 경제 발전이 불균형하고, 지역적 차이가 극도로 크기 때문에 특별히 지역 실정에 맞는 산지 생산 정책을 강조하고 있다.


중국 남방의 산지·구릉 지역에서 농경지로 개간 가능한 황무지는 약 8000만 무가 있다. 윈난이 가장 많고, 그다음은 장시, 광시, 광동, 하이난 순이다. 황무지는 주로 윈난의 동남과 고원 및 하이난에 분포하고 있다. 토양은 홍토, 황토, 전홍토, 자색토, 충적토 등이 있는데, 홍토와 황토가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분포 지역도 넓다. 기후는 따뜻하거나 덥고 비가 많으며, 아열대와 열대 유형에 속해 다양한 목본성 기름작물 및 고무나무 등 열대작물의 생장에 적합하다.


그러나 황무지의 식물이 파괴되고 수토유실(水土流失)이 심각하고, 토양 상태가 좋지 않아 농지 개간 후 반드시 토양 개량을 해야 한다. 하이난성과 시솽반나 지역은 고무나무 등 열대작물과 경제작물에 적합하다.      


#중국경제지리 #중국토지자원 #현황과 이용구조


      



작가의 이전글 2차국공내전 발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